
000 | 00624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675965 | |
005 | 20100806053012 | |
007 | ta | |
008 | 001024s2000 ulk 001a kor | |
020 | ▼a 8975484939 ▼g 93370 : ▼c \13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68849 ▼f 개가 ▼l 111168850 ▼f 개가 ▼l 111168851 ▼f 개가 |
082 | 0 4 | ▼a 374.001 ▼2 21 |
090 | ▼a 374.001 ▼b 2000 | |
100 | 1 | ▼a 한준상 ▼0 AUTH(211009)123043 |
245 | 1 0 | ▼a Lifelong education : ▼b 모든 이를 위한 안드라고지 / ▼d 韓駿相 著. |
260 | ▼a 서울 : ▼b 학지사 , ▼c 2000. | |
300 | ▼a 326 p. ; ▼c 24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 : p.311-32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001 2000 | 등록번호 1111688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001 2000 | 등록번호 1111688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001 2000 | 등록번호 1111688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4.001 2000 | 등록번호 15109298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4.001 2000 | 등록번호 1510929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001 2000 | 등록번호 1111688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001 2000 | 등록번호 1111688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001 2000 | 등록번호 1111688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4.001 2000 | 등록번호 15109298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4.001 2000 | 등록번호 1510929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목차
목차 서언 = 7 제1장 평생교육발전론 = 23 1. 평생교육의 의의 = 24 2. 평생교육의 기능과 역할 = 26 3. 평생교육활동의 참여 = 30 4. 평생교육법 제정의 의미 = 32 5.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 = 37 6. 평생교육 지원정책과 인프라 = 41 제2장 사회교육해체론 = 53 1. 사회교육학의 정체성 위기 = 53 2. "사회교육"과 "사카이 교이쿠" = 57 3. 일제 사회교육사업의 개요 = 58 4. 일제 사회교육사업의 행정 = 60 5. 일제 사회교육사업의 내용 = 61 제3장 학습인간론 = 79 1. 열린 학습사회와 호모 에루디티오 = 80 2. 열린 학습사회와 인간성 회복 = 84 3. 인간의 행복과 학습자율주의 = 86 4. 학습하는 인간의 의식화 = 88 5. 열린 학습사회, 열린 학습방법론 = 93 6. 의식의 소통과 평생학습 = 97 제4장 평생학습공동체론 = 107 1. 에지케이션과 평생학습 = 110 2. 평생학습의 유형 = 112 3. 평생학습사회의 틀 = 120 4. 평생학습형태의 공동체 = 121 5. 평생교육사의 핵심역량 = 133 제5장 지식사회론 = 147 1. 멘토훽쳐와 디지털 문화 = 149 2. 에코 아나키즘 = 150 3. 홀로닉 네트워크의 학습경영 = 151 4. 지식사회와 사회조직의 변화 = 154 5. 지식의 속성과 학습인 = 158 6. 지식의 쓰임새와 평생학습 = 165 제6장 인력개발론 = 181 1. 교육종합자본의 양성 = 182 2. 인력자원개발의 요소 = 184 3. 지식인의 역량 = 185 4. 직업교육훈련의 문제 = 186 5. 평생직업교육의 과제 = 191 6. 평생직능개발학습체제 구축 = 192 제7장 문화교육론 = 219 1. 한국인의 문화생활 = 219 2. 현대인의 포화정체감 = 220 3. 학습능력과 문화창조력 = 226 4. 문화교육의 유형 = 231 5. 남근위주 돌출문화교육 = 239 6. 문화교육 인프라구축 = 241 제8장 열린고등교육론 = 253 1. 평생학습차원의 고등교육 = 254 2. 평생학습사회구축과 고등교육기관 = 255 3. 열린 평생학습의 고등교육 = 256 4. 열린 고등평생학습의 수요전망 = 258 5. 고등교육의 평생학습전략 = 261 제9장 시민운동론 = 283 1. 교육환경 개선운동 = 284 2. 시민학습권의 회복 = 288 3. 시민운동의 리터러시 = 291 4. 민주문화의 정착 = 296 참고문헌 = 311 찾아보기 =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