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판을 내면서 = 5
1판 머리말 = 7
제1장 배경과 범주
1 문화기호학의 배경 = 18
1.1 문화의 개념 = 18
1.2 인류학적(상징) = 21
1.3 기호학적 연원 = 25
2. 문화기호학의 범주 = 30
2.1 (문화기호)의 범주 = 30
2.2 문화기호학의 개념 = 37
2.3 문화기호학의 시각과 방법 = 40
제2장 기본개념
1. 소쉬르 기호학의 기본개념 = 52
1.1 기호학의 위상 = 52
1.2 기호의 개념과 특성 = 55
1.3 공시성과 통시성 = 59
1.4 체계와 가치 = 62
1.5 병렬적과 계기적 = 64
1.6 소쉬르와 문화기호학 = 66
2. 퍼스 기호학의 기본개념 = 73
2.1 기호학의 위상 = 73
2.2 삼항성의 범주 = 77
2.3 기호와 기호작용 = 81
2.4 기호의 분류 = 87
2.5 퍼스와 문화기호학 = 93
3. 소쉬르와 퍼스 - 이론의 비교와 통합 가능성 = 98
제3장 학파와 이론
1 로만 야콥슨과 프라그 학파 = 104
1.1 기호학의 위상 = 106
1.2 기호의 개념과 범주 = 110
1.3 언어학적 개념의 문화기호학적 활용 = 114
1.3.1 변별적 자질 = 114
1.3.2 양항대립 = 118
1.3.3 유표성과 무표성 = 121
1.3.4 언어의 두 축 = 128
1.3.5 언어의 기능 = 133
1.4 야콥슨과 레비스트로스 = 137
1.5 프라그 학파의 문화기호학이 갖는 의의 = 142
2. 유리 로트만과 모스크바 타르투 학파 = 148
2.1 기호학의 개념 = 152
2.2 문화와 텍스트 = 156
2.2.1 문화에 대한 시각 = 156
2.2.2 텍스트의 개념과 유형 = 160
2.2.3 문화텍스트, 문화적 텍스트, 문화적 모형 = 164
2.2.4 텍스트의 기능 = 170
2.2.5 텍스트의 의미 산출 = 173
2.2.5.1 자체 전달 = 173
2.2.5.2 수사 = 175
2.2.5.3 문체론, 수사학, 의미론 = 180
2.2.5.4 발신자와 수신자 = 183
2.2.5.5 상징 = 186
2.3 기호계 = 189
2.3.1 경계의 구분과 대화의 메커니즘 = 192
2.4 문화유형론과 문화사 = 198
2.4.1 문화의 유형 = 198
2.4.2 역사기호학과 문화사의 기술 = 201
2.5 로트만과 바흐친 = 211
2.5.1 바흐친 이론의 기호학적 특성 = 212
2.5.2 바흐친과 모스크바 타르투 학파 = 222
2.6 모스크바 타르투 학파의 문화기호학이 갖는 의의 = 228
제4장 통합적 방법론
1. 문화기호학적 텍스트 읽기 = 234
1.1 해체적 읽기의 도전 = 235
1.2 문화기호학적 텍스트 읽기의 과정 = 238
2 약호의 추론 = 243
2.1 약호의 다양성 = 243
2.2 보편적 약호의 가능성 = 261
3 체계의 전이를 통한 해석소의 산출 = 268
3.1 내포와 메타언어 = 269
3.2 해석소와 가치전이 = 278
3.3 발생과 메타발생 = 288
4 문화의 반성성 = 299
제5장 의의와 전망
참고문헌 = 309
찾아보기 / 인명 = 323
찾아보기 / 내용 =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