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法人稅와 會計 : 法人稅法上 損益의 歸屬時期

法人稅와 會計 : 法人稅法上 損益의 歸屬時期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창희
서명 / 저자사항
法人稅와 會計 : 法人稅法上 損益의 歸屬時期 / 李昌熙 著.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2000.  
형태사항
xiii,358 p. : ; 24 cm.
ISBN
8910507853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601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675361
005 20100806051735
007 ta
008 001017s2000 ulk 001a kor
020 ▼a 8910507853 ▼g 93360 : ▼c \15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67710 ▼f 개가 ▼l 111167711 ▼f 개가 ▼l 111170390 ▼f 개가
082 0 4 ▼a 343.53066 ▼2 21
090 ▼a 343.53066 ▼b 2000
100 1 ▼a 이창희 ▼0 AUTH(211009)88857
245 1 0 ▼a 法人稅와 會計 : ▼b 法人稅法上 損益의 歸屬時期 / ▼d 李昌熙 著.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0.
300 ▼a xiii,358 p. : ; ▼c 24 cm.
500 ▼a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3.53066 2000 등록번호 1111677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3.53066 2000 등록번호 1111677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3.53066 2000 등록번호 1111703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3.53066 2000 등록번호 1510979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3.53066 2000 등록번호 1111677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3.53066 2000 등록번호 1111677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3.53066 2000 등록번호 1111703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3.53066 2000 등록번호 1510979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창희(지은이)

공인회계사, 미국변호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석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학박사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전) 하버드대, 뉴욕대, 도쿄대 교수(Visiting Professor)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표와 범위 = 2
 제2절 현행법의 얼개 = 6
제2장 소득의 개념과 손익의 귀속시기
 제1절 과세객체로서의 소득개념의 형성사 = 18
  Ⅰ. 영국 = 20
  Ⅱ. 독일 = 24
  Ⅲ. 미국 = 28
 제2절 회사제도와 회계정보의 공시 = 32
 제3절 복식부기 = 35
 제4절 현행법의 소득개념 = 44
  Ⅰ. 익금·손금·수익·손비의 개념 = 45
  Ⅱ. 거래 : 익금과 손금에 대한 법적 평가의 단위 = 48
  Ⅲ. 과세소득의 범위 : 순자산증가액과의 차이 = 52
  Ⅳ. 손익의 귀속시기 : 소득의 시간적 단위 = 54
   1. 손익의 귀속시기는 규범적 기준을 요구한다 = 55
   2. 귀속시기의 의의 = 57
   3. 귀속시기의 오류 = 60
   4. 돈의 시간가치 = 63
제3장 실현주의 회계의 형성과 한계
 제1절 현행법의 틀 = 69
 제2절 현금주의 대 발생주의 = 73
  Ⅰ. 현행법과 입법례 = 74
  Ⅱ. 현금주의라니? = 77
  Ⅲ. 현금주의와 발생주의 각각의 영역 = 78
 제3절 실현주의 = 83
  Ⅰ. 영국세법상 실현주의의 태어남 = 85
   1. 실현주의와 보수주의의 형성 = 85
   2. 실현주의와 기업회계 = 88
   3. 실현주의와 보수주의의 연원 = 91
  Ⅱ. 독일세법상 실현주의의 형성 = 93
   1. 독일법의 회계규범 = 94
   2. 기준성의 원칙 = 94
   3. 실현주의의 연원 = 96
  Ⅲ. 미국세법상 시현주의의 형성 = 98
   1. Eisner v. Macomber = 98
   2. 실현주의와 기업회계 = 99
   3. 실현주의의 유래 = 100
  Ⅳ. 실현의 개념 = 101
   1. 논점 = 101
   2. 법인세법 : 권리의무확정주의? = 103
   3. 실현개념의 형성 = 107
   4. 권리확정기준의 예외 = 109
  Ⅴ. 손금의 귀속시기 = 112
   1. 실현주의는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을 필요로 한다 = 113
   2. 채무확정주의란 수익·비용의 대응에 종속되는 개념이다 = 116
   3. 직접대응과 기간대응 = 119
 제4절 실현주의의 문제점 = 120
  Ⅰ. 수익·비용 대응원칙의 모순 = 121
   1. 기간대응과 실현주의의 모순 = 121
   2. 노무의 제공 = 123
  Ⅱ. 실현주의는 소득개념과 모순된다 = 125
  Ⅲ. 실현주의 적용범위의 축소 : 확정손익과 미확정손익 = 132
  Ⅳ. 실현주의는 경제를 왜곡하고 손익을 조작한다 = 136
   1. 실효세율의 차이로 인한 투자왜곡 = 137
   2. 동결효과 = 139
   3. 손익의 조작 = 140
   4. 불필요한 거래의 유인 = 141
  Ⅴ.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이연과 시가평가 = 142
제4장 기업회계와 세법
 제1절 현행법의 틀 = 149
 제2절 기업회계규범의 형성 = 152
  Ⅰ. 영국의 기업회계제도 = 153
  Ⅱ. 독일의 기업회계제도 = 155
  Ⅲ. 미국의 기업회계제도 = 159
  Ⅳ. 일본의 기업회계제도 = 162
  Ⅴ. 회계제도의 국제화 = 164
 제3절 우리 나라의 기업회계 = 167
  Ⅰ. 우리 회계기준의 연혁 = 168
  Ⅱ. 현행회계제도의 법적 틀 = 169
   1. 발행시장공시제도 = 170
   2. 유통시장공시제도 = 171
   3. 그 외 특수한 공시 = 171
  Ⅲ. 기업회계규범의 법률적 성격 = 171
 제4절 손익의 인식시기에 관한 기업회계의 규범 = 176
  Ⅰ. 손익의 구분 = 177
  Ⅱ. 실현개념 = 179
  Ⅲ. 수익·비용이 대응 = 180
  Ⅲ. 보수주의 = 181
  Ⅴ. 시가주의 = 183
 제5절 기업회계의 세법상 지위 = 183
  Ⅰ. 독일 = 184
  Ⅱ. 미국 = 187
  Ⅲ. 영국 = 188
  Ⅳ. 우리 법인세법상 기업회계의 지위 = 190
   1. 보충적 법원시기 = 190
   2. 우선적용시기 = 192
   3. 현행법 = 194
   4. 법적 기준과 기업회계의 관계 = 194
  Ⅴ. 기준성은 기업회계를 왜곡한다 = 198
제5장 영업손익
 제1절 물건의 매매나 제조판매 = 209
  Ⅰ. 현행법의 틀 = 209
  Ⅱ. 익금 : 귀속시기의 일반원칙 = 211
   1. 권리확정기준 = 212
   2. 계속적 회계관행의 존중 = 214
   3. 부동산 = 215
  Ⅲ. 손금 : 직접대응과 간접대응 = 217
   1. 취득원가개념은 불안정하다 = 218
   2. 취득원가와 기간비용의 구별 = 220
  Ⅳ. 매출원가와 매출총이익 = 222
  Ⅴ. 재고자산의 평가 = 225
 제2절 할부 기타 장기외상매매 = 229
  Ⅰ. 현행법 = 229
  Ⅱ. 현재가치에 의한 손익계산 = 231
  Ⅲ. 현재가치계산과 회수기준의 관계 = 235
  Ⅳ. 현재가치손익계산의 적용범위 = 238
 제3절 도급공사와 용역제공의 손익 = 242
  Ⅰ. 제작물공급계약(예약매출)과 도급공사 = 243
  Ⅱ. 용역계약 = 250
 제4절 충당금의 손금산입 = 255
  Ⅰ. 대손 = 255
  Ⅱ. 퇴직급여충당금 = 259
제6장 금융자산의 투자손익
 제1절 이자 기타확정소득 = 265
  Ⅰ. 이자의 개념과 귀속시기 = 265
  Ⅱ. 할인액과 환매조건부매매차익의 귀속시기 = 271
  Ⅲ. 채권이나 어음의 중도매매 = 281
  Ⅳ. 지급이자의 손금산입과 가공손실 = 285
  Ⅴ. 채권·채무의 평가 및 상환손익 = 286
 제2절 주식 = 289
 제3절 확정·미확정 이분법의 파탄 = 294
  Ⅰ. 간접투자 : mutual fund와 투자신탁 = 295
  Ⅱ. 파생금융상품 = 297
  Ⅲ. 주식·채권 구별의 상대성 = 303
제7장 고정자산
 제1절 취득가액과 건설자금이자 = 309
 제2절 감가상각 = 314
  Ⅰ. 현행법 = 314
  Ⅱ. 손익의 조작 = 318
  Ⅲ. 감가상각을 이용한 tax shelter = 321
 제3절 임대차와 리스의 손익 = 324
 제4절 고정자산처분손익 = 328
  Ⅰ. 원칙 = 329
  Ⅱ. 대금지급조건이 자산판매손익의 과세시기에 미치는 영향 = 331
   1. 대금청산기준 = 331
   2. 장기할부조건 = 333
 제5절 무형고정자산과 이연자산 = 334
  Ⅰ. 영업권 = 334
  Ⅱ. 산업재산권 기타 권리 = 337
  Ⅲ. 이연자산과 선급비용 = 337
제8장 실현주의에 대한 대안
 제1절 과세이연이자의 추징 = 343
 제2절 일정한 수익률로 계산한 투자수익을 과세하는 방법 = 345
 제3절 전망 = 347
사항색인 = 351


관련분야 신착자료

지평. 기업·금융소송그룹/금융규제팀 (2023)
이준봉 (2022)
송상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