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철학

법철학 (7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경선 정태욱
서명 / 저자사항
법철학 / 강경선 ; 정태욱 공저.
발행사항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2000.  
형태사항
287 p. ; 25 cm.
ISBN
8920901309
000 00553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674678
005 20100806050337
007 ta
008 001009s2000 ulk AZ 000a kor
020 ▼a 8920901309 ▼g 93360 : ▼c \52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66932 ▼f 개가 ▼l 111166933 ▼f 개가
085 ▼a 340.1 ▼2 21
090 ▼a 340.1 ▼b 2000b
100 1 ▼a 강경선 ▼0 AUTH(211009)139821
245 1 0 ▼a 법철학 / ▼d 강경선 ; ▼e 정태욱 공저.
260 ▼a 서울 : ▼b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c 2000.
300 ▼a 287 p. ; ▼c 25 cm.
700 1 ▼a 정태욱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0b 등록번호 1111669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0b 등록번호 1111669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장 법철학의 의의와 과제

 Ⅰ. 법철학의 의의 = 1

 Ⅱ. 법철학을 하는 이유 = 3

 Ⅲ. 법철학의 과제 = 5

  1. 법철학의 학제적 과제 = 5

  2. 법철학의 실존적 과제 = 8

 Ⅳ. 법철학 하는 방법 = 9

제2장 법철학 사조의 개관

 Ⅰ. 서언 = 13

 Ⅱ. 법철학 사조의 개관 = 14

제3장 법률실증주의-독일

 Ⅰ. 서언 = 19

 Ⅱ. 개념법학 = 19

 Ⅲ. 일반법학 = 22

 Ⅳ. 순수법학 = 25

 Ⅴ. 결어 = 30

제4장 법률실증주의-영·미

 Ⅰ. 서언 = 33

 Ⅱ. 벤담 = 33

 Ⅲ. 오스틴 = 38

 Ⅳ. 하트 = 41

 Ⅴ. 결어 = 47

제5장 법사회학

 Ⅰ. 서언 = 49

 Ⅱ. 베버 = 52

  1. 합리성의 개념 = 52

  2. 형식적·합리적 법 = 53

 Ⅲ. 루만 = 56

  1. 복잡성 감축의 개념 = 56

  2. 자기생산으로서의 법 = 58

 Ⅳ. 결어 = 62

제6장 사회학적 법학과 법현실주의

 Ⅰ. 서언 = 65

 Ⅱ. 사회학적 법학 = 67

  1. 에일리히 = 67

  2. 파운드 = 70

 Ⅲ. 미국의 법현실주의 = 73

  1. 르웰린 = 74

  2. 프랑크 = 76

 Ⅳ. 스칸디나비아 법현실주의 = 77

 Ⅴ. 결어 = 79

제7장 마르크시즘과 법

 Ⅰ. 서언 = 81

 Ⅱ. 마르크스의 법이론 = 82

  1. 비판적 법현실주의 = 82

  2. 법사회학 = 84

  3. 혁명적 자연법론 = 86

 Ⅲ. 마르크스 법이론의 계승 = 87

  1. 비판법학 = 89

  2. 국가론 = 89

  3. 사회변혁론 = 91

 Ⅳ. 결어 = 93

제8장 자연법론

 Ⅰ. 서언 = 95

 Ⅱ. 자연법론의 다양성 = 96

  1. 합리적 자연법과 비합리적 자연법 = 96

  2. 종교적 자연법과 세속적 자연법 = 98

  3. 진보적 자연법과 보수적 자연법 = 99

 Ⅲ. 자연법 이론 = 100

  1. 토마스 아퀴나스 = 100

  2. 현대의 자연법론 = 102

 Ⅳ. 결어 = 109

제9장 라드브루흐의 법철학

 Ⅰ. 서언 = 111

 Ⅱ. 법개념론 = 112

 Ⅲ. 법이념론 = 115

 Ⅳ. 법효력론 = 119

 Ⅴ. 결어 = 123

제10장 존재와 당위

 Ⅰ. 서언 = 125

 Ⅱ. 규범의 타당근거에 대한 여러 견해 = 126

 Ⅲ. 예제-일부일처제의 타당근거에 대하여 = 131

 Ⅳ. 존재당위 논의의 실천적 의의 = 135

 Ⅴ. 결어 = 140

제11장 이념과 현실

 Ⅰ. 서언 = 143

 Ⅱ. 이념과 현실의 관계 = 144

 Ⅲ. 예제-민주주의의 이념과 현실(다수결의 원리) = 148

 Ⅳ. 법이념 = 152

 Ⅴ. 결어 = 154

제12장 법의 안정성

 Ⅰ. 서언 = 157

 Ⅱ. 법적 안정성의 체계적 지위-정의와의 관계 = 158

 Ⅲ. 법적 안정성의 내용 = 159

  1. 결정강제의 요청 = 160

  2. 실정화의 요청 = 161

  3. 법적 결정의 안정성의 요청 = 164

  4. 법적 사실의 안정성의 요청 = 166

 Ⅳ. 결어 = 167

제13장 정의의 이론

 Ⅰ. 서언 = 171

 Ⅱ. 정의의 특징 = 172

 Ⅲ. 정의의 분류 = 174

  1. 분배적 정의와 평균적 정의 = 175

  2. 절차적 정의와 실체적 정의 = 177

  3. 형식적 정의와 실질적 정의 = 178

 Ⅳ. 실질적 정의의 규준 = 180

  1. 재산권에 따른 분배 = 180

  2. 필요에 따른 분배 = 182

 Ⅴ. 정의의 기능 = 184

 Ⅵ. 정의의 과제-전인격적 염원 = 186

 Ⅶ. 결어 = 189

제14장 사회정의론-자본주의에 대한 평가

 Ⅰ. 서언 = 191

 Ⅱ. 자본주의의 정의 = 192

  1. 각자에 그의 생활수단을(효율성의 원칙) = 192

  2. 각자에 그의 성과에 따라 = 195

  3. 각자에 그의 자질에 따라 = 197

  4. 각자에 그의 선택에 따라(교환적 정의) = 199

 Ⅲ. 자본주의의 부정의 = 200

  1. 자본주의의 비효율성 = 200

  2. 분배적 부정의 = 202

  3. 교환적 부정의 = 204

 Ⅳ. 결어 = 206

제15장 법의 도덕

 Ⅰ. 서언 = 211

 Ⅱ. 도덕적 법적 강행화의 문제 = 213

 Ⅲ. 해악의 원칙(사회적 유해성의 원칙) = 216

 Ⅳ. 법과 도덕의 특성 = 219

 Ⅴ. 결어 = 221

제16장 법과 힘

 Ⅰ. 서언 = 223

 Ⅱ. 실력설의 비판 = 224

 Ⅲ. 힘의 분류와 단계 = 226

  1. 힘의 분류 = 226

  2. 힘의 단계 = 228

 Ⅳ. 법의 과제 = 231

 Ⅴ. 국가의 사법(司法)독점 = 231

 Ⅵ. 결어 = 233

제17장 법의 해석

 Ⅰ. 서언 = 237

 Ⅱ. 법해석의 네 가지 방법(카논) = 238

 Ⅲ. 사례-책임능력 있는 미성년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부모의 책임 = 241

 Ⅳ. 법학방법론에서 법철학으로 = 246

 Ⅴ. 결어 = 247

제18장 법의 효력

 Ⅰ. 서언 = 253

 Ⅱ. 법효력론의 개관 = 253

  1. 사회학적 효력이론 = 254

  2. 합법성실 = 256

  3. 정당성실 = 257

  4. 승인설 = 259

 Ⅲ. 성공한 쿠데타의 법효력 = 260

  1. 쿠데타의 범죄성 혹은 면책의 가능성 = 261

  2. 쿠데타정권의 법질서의 효력 여부 = 263

  3. 판례 = 265

 Ⅳ. 결어 = 271

제19장 규범적 사고와 규범운동

 Ⅰ. 서언 = 275

 Ⅱ. 규범적 사고의 요청 = 276

  1. 규범의 의의 = 276

  2. 규범의 유일성과 진보적 운동 = 277

  3. 규범의 혼란 = 278

 Ⅲ. 세 개의 인식과 세 단계의 법 = 278

  1. 인식 = 278

  2. 세 단계의 법 : 주관적 법, 객관적 법, 주권자적 법 = 281

 Ⅳ. 결어-규범운동 = 282

  1. 규범운동의 기초 = 282

  2. 정확한 실천론 = 283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진원 (2022)
Montesquieu, Charles de Secondat, baron de (2023)
신동호 (2023)
최유경 (2022)
이준서 (2022)
조태제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2023)
한미법학회 (2022)
Engstrom, David Freeman (2023)
Dreier, Horst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