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인간, 매체, 커뮤니케이션

인간, 매체, 커뮤니케이션 (Loan 5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기순
Title Statement
인간, 매체, 커뮤니케이션 = Human, Media, Communication / 박기순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0.  
Physical Medium
286 p. : 삽도 ; 23 cm.
Series Statement
커뮤니케이션 신서 ; 32
ISBN
898808999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680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73172
005 20100806043729
007 ta
008 000921s2000 ulka 000a kor
020 ▼a 8988089995 ▼g 03300 : ▼c \12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65649 ▼f 개가 ▼l 111165650 ▼f 개가 ▼l 111165651 ▼f 개가
082 0 4 ▼a 302.2 ▼2 21
090 ▼a 302.2 ▼b 2000
100 1 ▼a 박기순 ▼0 AUTH(211009)8928
245 1 0 ▼a 인간, 매체, 커뮤니케이션 = ▼x Human, Media, Communication / ▼d 박기순 지음.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 ▼c 2000.
300 ▼a 286 p. : ▼b 삽도 ; ▼c 23 cm.
490 0 0 ▼a 커뮤니케이션 신서 ; ▼v 32
504 ▼a 참고문헌 수록
950 0 ▼b \12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02.2 2000 Accession No. 1111656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 2000 Accession No. 11116565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Call Number 302.2 2000 Accession No. 1111656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간, 매체,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춰 체면, 눈치, 기분 등 세 가지 개념들을 이용해 한국인만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정신 분석 방법으로 밝혀냈다. 그리고 텔레비전 정치 시대의 총아인 텔레비전을 이용해 전개되는 정치 토론의 역사, 법적규제, 이론과 연구, 그리고 한국의 정치 토론 등을 살폈다. 디지털 정보 시대의 뉴미디어에 관해 이론적으로 고찰했다.

* 커뮤니케이션북스 큰글씨책은 다양한 독자층의 편안한 독서를 위해 기존 책을 135~170퍼센트 확대한 책입니다. 기존 책과 내용과 쪽수가 같습니다. 주문받고 제작하기에 책을 받아 보는 데 3~4일 소요됩니다.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원형(prototype)은 대인적인 것이다. 따라서 인간이 어떤 매체를 사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행하든 이 원형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인식틀은 텔레비전 같은 구 미디어뿐만 아니라 컴퓨터가 매개하는 뉴 미디어에서도 여전히 유용하며, 현실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과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또한 다르지 않다. 저자가 지난 5년 간 학회에서 발표했거나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들을 모은 {인간, 매체, 커뮤니케이션}은 시종일관 '인간'을 중심에 놓고 커뮤니케이션을 논한다.

체면, 눈치, 기분이 중시되는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특성(1장), 텔레비전을 이용하여 전개되는 정치 토론의 역사와 이론, 그리고 한국의 정치 토론(2장), 미디어가 특정한 이슈를 틀로 엮어내는 과정과 이러한 틀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3장)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와 함께 뉴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이론을 소개하면서(4장), 구 미디어와 뉴 미디어 사이에서 일어나는 차용, 경쟁, 도전, 개선 등을 '재매개 이론'을 통해 고찰한다(5장). 또한 컴퓨터를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CMC)에서 이루어지는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특성과 문제를 논하고 있다(6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기순(지은이)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를 졸업하고 미주리대학교(콜럼비아) 저널리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시건주립대학교(이스트랜싱)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석사학위와 오하이오대학교(애신스)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성균관대학교에 재직 중 사회과학대학장과 학부장을 역임했다. 한국PR학회와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의 회장에 각각 선출되어 학회 발전에 기여했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관련 저서로 「한국인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공저, 2001) 등이 있고, 역서로는 「세계 문화 이해: 김치에서 오페라까지, 상징과 비유로 읽는 세계 문화」(공역, 2002),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공역, 2007)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3
제1장.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 체면-눈치-기분 = 13
 1. 머리말 = 13
 2. 체면-눈치-기분의 정의와 특성 = 14
  1) 체면 = 14
  2) 눈치 = 23
  3) 기분 = 27
 3. 체면-눈치-기분의 구조적 통합성 = 31
 4. 체면-눈치-기분의 상호 거래적 분석의 토대 = 38
  1) 자아 = 38
  2) 부모 자아와 체면 = 41
  3) 성인 자아와 눈치 = 41
  4) 어린이 자아와 기분 = 42
 5. 제면-눈치-기분의 상호 거래적 분석 = 44
  1) 두 사람 사이의 상호 거래적 분석 = 46
  2) 대화를 토대로 분석한 상호 거래적 분석 = 47
 6. 맺음말 = 51
제2장. 정치와 토론 = 52
 1. 머리말 = 52
 2. 정치 토론의 역사 = 58
  1) 1960년도 TV 토론 = 58
  2) 1976년도 TV 토론 = 60
  3) 1980년도 TV 토론 = 62
  4) 1984년도 TV 토론 = 62
  5) 1988년도 TV 토론 = 63
  6) 1992년도 TV 토론 = 64
 3. 정치 토론에 대한 찬반 양론과 법적 규제 = 65
  1) 찬반 양론 = 66
  2) 법적 규제 = 68
 4. 정치 토론의 이론과 연구 = 70
 5. 한국의 정치 토론 = 84
 6. 맺음말 = 86
 참고 문헌 = 89
제3장. 뉴스 담론과 틀(frame) = 93
 1. 머리말 = 93
 2. 뉴스 담론의 틀 분석(frame analysis)에 대한 이론적 배경 = 96
 3. 연구 방법 = 102
  1) 틀 장치의 네 가지 구조적 차원 혹은 카테고리 = 104
  2) 틀의 네 가지 기능 = 106
  3) 틀의 네 가지 소재 = 106
  4) 틀짜기 확인 메모(framing memo)를 작성하는 방법 = 107
 4. 틀 분석 결과 = 109
  1) 누가 틀을 짜고, 누가 틀짜기를 돕는가? = 110
  2) 뉴스 텍스트 속에 반영된 뉴스 틀 = 111
 5. 맺음말 = 137
 참고 문헌 = 140
제4장. 뉴 미디어 시대와 정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 새로운 개념과 이론의 정립 = 143
 1. 머리말 = 144
  1) 문제의 제기 = 144
  2) 연구의 목적 = 148
 2. 연구의 배경 : 정보 사회와 뉴 미디어 시대의 특성 = 149
 3. 이론의 정립 방법 : 메타 이론적 설명 = 162
 4. 뉴 미디어의 특성 : 이론적 개념 = 167
  1) 상호 작용성 = 168
  2) 탈대중화 = 170
  3) 비동시성 = 171
  4) 감각적 데이터의 결핍 = 171
  5) 기계적 형태성(mechanomorphism) = 174
  6) 탈집중성 = 174
  7) 수용자의 통제력 = 175
  8) 사이버 공간(가상 현실) = 175
  9) 현재성(presence)과 원격 현재성(telepresence) = 178
  10) 사회적 현재성(social presence) = 179
 5. 커뮤니케이션 모형과 이론 = 180
  1) 중재된 커뮤니케이션 모형 = 180
  2) 원격 현재 모형 = 181
  3) 현재 모형 = 183
  4) 커뮤니케이션의 수렴 이론 = 185
  5) 상호 작용 과정 이론 = 186
  6) 플로 이론(Flow Theory) = 188
  7) 구조화 이론(Structuration Theory) = 190
  8) 사회적 현재(Social Presence)이론 = 193
  9) 사회적 맥락 단서 이론 = 195
  10) 미디어 풍부성(Media Richness)이론 = 196
  11) 제2세대 매체 이론 : 정보 시스템 이론 = 198
  12) 탈구조주의적 정보 양식 이론 = 200
 6. 한국 사회의 정보화 및 뉴 미디어 현황과 연구 : PC 통신을 중심으로 = 202
 7. 맺음말 = 207
 참고 문헌 = 210
제5장. 매개와 재매개 = 217
 1. 머리말 = 217
 2.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과 새로운 이론의 탐색 : 매개와 재매개 = 219
  1) 매개(mediation)와 재매개(remediation) = 220
  2) 재매개 이론의 특성 = 223
 3. 재매개 이론에 대한 비판 = 238
 4. 맺음말 = 241
제6장. 인간·사이버 공간·커뮤니케이션 = 243
 1. 머리말 = 243
 2. 사이버 공간과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 245
  1) 사이버 공간이란 무엇인가? = 245
  2)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 :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 247
 3. 새로운 이론과 연구 = 253
  1) 매체의 제한적 특성에 주목한 이론적 접근 방법 = 254
  2) 사회적 정보 처리 접근 방법 = 257
 4. 커뮤니케이션 주체와 정체성 = 260
 5. 언어적/비언어적 메시지 = 267
 6. 인간 관계 = 269
  1) 사이버 공간 내 인간 관계의 특성 = 270
  2) 사이버 공간 내 상호 작용과 실제 공간 내 상호 작용 사이의 관계 = 272
  3) 사이버 공간의 인간 관계에 반영된 한국인의 특성 = 274
 7. 가상 공동체 = 277
 8. 사이버 공간의 병리적 문제와 윤리적 문제 = 280
  1) 사이버 공간의 병리적 문제 = 280
  2) 사이버 공간의 윤리적 문제 = 283
 9. 맺음말 = 28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Kylie Jarrett (2022)
Stirner, Max (2023)
김원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