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第一章 序論 = 13
第1飾 間題의 所在 = 13
第2節 證明責任의 實踐的 意味 = 14
第3節 本槁의 基本的 構想 = 16
第二章 證明責任의 判斷過程에 관한 理論 = 19
第1飾 序 = 19
第2節 證明不在時 法適用모델 = 21
1. 證明性說 = 21
2. 不適用說 = 22
3. 特別規範論 = 22
4. 消極的 基本規範說 = 23
第3節 不確實性의 克服方法 = 24
1. 事實에 대한 不明確性의 完全排除 = 24
1) 超自然的 眞實發見(神判) = 24
2) 決鬪 = 24
3) 拘束力있는 證明規範 = 25
4) 認識强制 = 25
2. 裁判의 拒絶 = 28
1) 證明不在時 裁判中斷 = 28
2) 旣判力이 없는 法院의 裁判 = 29
3. 法規範의 特別한 形成 = 30
1) 規範을 통한 事實의 不明確性의 除去 = 30
2) 構成要件標識로서의 眞僞不明 = 31
4. 補充的 解決 = 32
5. 法規의 不適用을 통한 判決 = 33
1) 證明性說(Erwiesenheitstheorie) = 34
2) 法規不適用說 = 34
第4節 證明責任親範에 의한 判決 = 37
1. 證明責任規範의 內容을 否認하는 見解 = 37
2. Leipold 特別規範說 = 38
3. Musielak의 消極的 基本親範說 = 39
4. Schwab의 見解 = 40
第5節 方法論의 解明 = 42
1. 證明責任理論의 基礎 = 42
2. 證明責任親規範 없는 경우의 眞爲不明의 克服 = 46
1) 機能原理의 實質的 內容 = 46
2) 機能原理의 本質 = 48
3) 機能原理의 實質的 根據 = 49
3. 結 = 50
第6節 證明責任規範의 立法例 = 54
1. 實體法에 規定한 立法例 = 54
1) 一貧約·抽象約으로 規定한 例 = 54
2) 個別的으로 規定한 例 = 55
2. 訴訟法 또는 證據法에 規定한 立法例 = 56
3. 우리나라의 立法規定 = 57
第三章 證明責任의 槪念 = 58
第1節 序 = 58
1. 主觀的證明責任과 客觀約證明責任 = 59
2. 抽象的證明責任과 具體的證明責任 = 61
3. 本證責任과 反證責任 = 65
第2節 客觀的證明責任 = 66
1. 眞僞不明(Non Liquet)의 槪念 = 66
2. 客觀的證明責任의 機能 = 68
3. 客觀約證明責任의 方法論上의 作用 = 68
4. 客觀的證明責任이 意味하는 時點 = 70
5. 客觀的證明責任의 效果 = 71
第3節 主觀的證明責任 = 72
1. Rosenberg의 見解 = 72
2. Musielak의 見解 = 73
3. 日本學者의 見解 = 74
4. 우리나라의 見解 = 75
第4飾 訴訟上의 負擔 내지 責任으로서의 證明責任 = 76
第5節 證明責任의 通用領城 = 77
1. 人事訴訟 및 行政訴訟에 있어서의 證明責任 = 77
1) 適用範圍 = 77
2) 行政行爲의 公定力과 證明責任 = 78
2. 刑事訴訟에 있어서의 證明責任 = 80
3. 先決關係의 要件事實 = 82
4. 訴訟法上의 要作事實 = 84
5. 準據外國法의 要件事實 = 84
第6節 主張責任 = 88
1. 意義 및 範圍 = 88
2. 證明責任과의 關係 = 89
3. 對象 및 範圍 = 90
1) 原則 = 90
2) 例外 = 91
第7節 證明責任과 證明 = 92
1. 序 = 92
2. 證明評價 = 93
3. 證明 = 94
4. 證明度 = 95
1) 意義 = 95
2) 證明과 疏明 = 97
3) 本陸法系와 英美에 있어서의 證明度 = 97
4) 日本에 있어서의 證明度 = 100
5) 우리나라에 있어서 證明度 = 101
第8節 證明責任의 法的 性質 = 103
第四章 證明責任의 分配 = 110
第1節 證明責任分配法則의 沿革과 根據 = 110
1. 意義 = 110
2. 沿革 = 111
3. 根據 = 114
第2節 學說과 判例 = 115
1. 法律要件分類說(摘逸 및 日本) = 115
1) 槪說 = 115
2) 權利根據規定과 權利障碍提定의 區別 = 118
(1) Rosenberg의 見解 = 118
(2) Leipold의 見解 = 121
(3) Misielak의 見解 = 123
(4) Reinecke의 見解 = 124
(5) 石田穰의 見解 = 124
(6) 倉田卓次의 見解 = 125
3) 間接反證 = 128
(1) 意義 = 128
(2) 批判內容 = 128
2. 各國의 分配基準 = 133
1) 불란서의 경우 = 133
2) 이탈리아의 경우 = 136
3) 英國의 경우 = 136
4) 美國의 경우 = 138
5) 스웨덴의 경우 = 141
3. 우리나라의 경우 = 142
1) 學說 = 142
2) 判例 = 144
(1) 法律要件分類說을 適用한 主要判例 = 144
(2) 其池 = 150
4. 結 = 151
第3節 證明責任의 轉換 = 153
1. 意義 = 153
2. 證明의 國難性과의 關係 = 155
第4節 證明責任과 推定 = 159
1. 意義 = 159
2. 內容 = 159
1) 事實上의 推定 = 159
2) 法律上의 推定 = 165
3) 擬以的 推定 = 168
第五章 證明責任分配에 관한 新理論의 登場 = 171
第1節 序 = 171
第2節 危險領域說 = 171
1. 槪要 = 171
2. 獨逸判例와 學說의 發展過程 = 175
1) 判例 = 175
2) 學說 = 179
3. 日本의 경우 = 181
4. 우리나라의 경우 = 183
5. 問題點 = 183
第3節 蓋然性說 = 185
1. 槪要 = 185
2. Reinecke의 見解 = 186
3. Wahrendorf의 見解 = 187
4. 日本 및 우리나라의 立場 = 189
第4節 證據距離說(實質的利益較量說) = 190
1. 槪要 = 190
1) 立法者義思 = 190
2) 證明責任規範의 創出 = 191
(1) 證據와의 拒離 = 192
(2) 立證의 難易 = 192
(3) 蓋然性 = 193
(4) 實體法의 立法趣旨 = 193
(5) 信義則(反禁言) = 194
2. 間題點 = 196
第5節 特殊訴訟에 있어서의 分配原則 = 200
1. 序 = 200
2. 公害訴訟에 있어서 證明責任 = 201
1) 意義 = 201
2) 學證 및 判例 = 202
3. 製造物責任訴訟에 있어서의 證明責任 = 209
1) 意義 = 209
2) 獨適最高栽判所에 있어서의 包險領域에 의한 證明責任의 分配 = 211
3) 우리나라의 경우 = 213
4. 醫療通誤訴訟에 있어서의 證明責任 = 214
1) 意義 = 214
2) 證明責任을 轉換시 킨 事例 = 215
(1) 獨逸의 경우 = 215
(2) 日本의 경우 = 217
(3) 우리나라의 경우 = 217
第六章 結論 = 219
1. 證明責任의 判斷過程에 관한 理論의 問題 = 219
2. 證明責任의 槪念에 관한 間題 = 220
3. 證明責任의 分配에 관한間題 = 222
4. 證明責任分配에 관한 新理論의 登場 =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