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20n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00672223 | |
005 | 20100806041931 | |
007 | ta | |
008 | 000907s2000 ulk 001a kor | |
020 | ▼a 8935653179 ▼g 04900 : ▼c \7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49 | 1 | ▼l 111162845 ▼f 개가 ▼l 111162846 ▼f 개가 ▼l 111162847 ▼f 개가 |
082 | 0 4 | ▼a 401.41 ▼2 21 |
090 | ▼a 401.41 ▼b 2000 | |
100 | 1 | ▼a Henault, Anne ▼0 AUTH(211009)134193 |
245 | 1 0 | ▼a 기호학사 / ▼d 안느 에노 지음 ; ▼e 박인철 옮김. |
246 | 1 9 | ▼a Histoire de la semiotique |
260 | ▼a 서울 : ▼b 한길사 , ▼c 2000. | |
300 | ▼a 200 p. ; ▼c 21 cm. | |
490 | 0 0 | ▼a 한길크세주 : 나는 무엇을 아는가 = Hangil que sais-je ; ▼v 18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 : p.[179]-186 | |
700 | 1 | ▼a 박인철, ▼e 옮김 ▼0 AUTH(211009)22179 |
950 | 0 | ▼b \7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401.41 2000 | 등록번호 1111628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41 2000 | 등록번호 1111628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41 2000 | 등록번호 1111628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01.41 2000 | 등록번호 1510893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01.41 2000 | 등록번호 1510893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401.41 2000 | 등록번호 1111628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41 2000 | 등록번호 1111628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41 2000 | 등록번호 1111628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01.41 2000 | 등록번호 1510893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01.41 2000 | 등록번호 1510893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 나아가 기호는 인간과 세계, 인간과 인간을 맺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언어와 기호는 인간의 의미활동을 위한 가장 중요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단순히 기호에 관한 학문이 아니라 의미에 관한 이론으로써 기호학을 바라보고 그 역사를 설명한 책이다.
기호학의 시작을 현대 구조언어학의 시조인 소쉬르로 잡은 저자는 이 책 1장에서 소쉬르와 그의 기호학 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소쉬르를 계승한 여러 기호학자들과 학파들에 대해, 3장에서는 소쉬르가 예시한 기호학을 그 기본 출발점으로 삼은 파리학파의 기호학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안느 에노(지은이)
1943년 태어나 프랑스 파리고등사범에서 수학하였으며, 고전문학 교수 자격을 취득하였다. 그레마스의 제자로서, 그의 기호학 이론을 심화시켜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현재 파리 10대학 언어학과에 출강하고 있으며, PUF에서 간행하는 총서 '기호학적 형식들 Formes Se'miotiques'의 책임 편집자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기호학으로의 초대 Les enjeux de la se'miotique>(1979) <서사, 일반 기호학 Narratologie, se'miotique ge'ne'rale>(1983) <기호학사 Histoire de la se'miotique>(1992) <정념으로서의 권력 Le Pouvoir comme passion>(1994) 등이 있다.
박인철(옮긴이)
연세대학교 불어불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파리8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불문과 교수로 있다. 지은책으로 <프랑스 언어학의 방법과 실제>(함께지음), <현대 기호학의 발전>(함께지음) 등이 있고, 옮긴책으로 <조형기호학>, <위험한 관계>, <변화>, <기호학의 역사> 등이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9 제1부 소쉬르와 기호학 = 17 제1장 해결할 수 없는 갈등 = 19 제2장 과학적인 기도 = 43 제3장 언어학의 특이성 = 59 제2부 언어학에서 기호언어학으로 = 81 제1장 옐름슬레우 혹은 추상화를 통해 구체화하기 = 83 제2장 러시아 형식주의에서 프라하학파의 구조주의까지 = 115 제3부 기호언어학에서 기호학으로 : 파리학파 = 141 제1장 구조의미론 : 첫번째 종합(1966) = 147 제2장 내용 옮기기의 행정 : 두번째 종합(1966∼79) = 155 제3장 세번째 종합을 향하여(1980∼91) = 169 맺음말 = 175 참고문헌 = 179 옮긴이의 말 = 187 찾아보기 =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