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글 = 3
독자에게 드리는 글 = 5
역자의 글 = 7
예문에서 사용된 약어 목록 = 13
1. 통사론은 무엇인가 = 15
1.1 몇 가지 개념과 그릇된 개념들 = 15
1.1.1 통사론 연구는 무엇에 대한 것인가? = 15
1.1.2 언어변화 = 27
1.2 언어학 예문의 사용 = 33
1.2.1 왜 영어 예문들만을 사용하지 않는가? = 33
1.2.2 언어학 예문을 읽는 방법 = 36
1.3 왜 언어들은 통사론을 갖는가? = 46
1.3.1 어순 = 46
1.3.2 상승과정과 하강과정 = 50
1.3.3 모든 언어는 구조를 갖는다 = 53
추가 참고 문헌 = 57
연습문제 = 57
2 단어들은 다른 부류에 속한다 = 63
2.1 유어 구별하기 = 63
2.1.1 우리는 단어들이 다른 부류에 속하는 것을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 63
2.1.2 유어들을 구별하는 몇 가지 방법 = 65
2.1.3 설명 : 어떻게 언어의 화자들은 유어들을 구별하는가? = 69
2.2 주요 유어들의 통사론 = 74
2.2.1 동사류에 대한 소개 = 74
2.2.2 명사구 = 77
2.2.3 형용사구 = 88
2.2.4 전치사구 = 92
2.2.5 부사 = 95
2.2.6 맺음말 = 98
2.3 문법 범주 = 99
2.3.1 머리말 = 99
2.3.2 주요 문법 범주들의 개관 = 101
2.4 요약 = 114
추가 참고 문헌 = 115
연습문제 = 115
3. 문장 내부 구조 = 121
3.1 단문과 한정성 = 121
3.1.1 절과 단문 = 121
3.1.2 한정성과 조동사 = 124
3.1.3 비한정동사 = 129
3.1.4 요약 = 134
3.2 복문에 대한 소개 = 134
3.2.1 정의와 예문 = 134
3.2.2 영어의 주절과 종속절 구별하기 = 138
3.3 절 유형에서의 교차 언어적 변이 = 143
3.3.1 부정사절이 없는 언어들 = 145
3.3.2 굴절된 부정사절 = 145
3.3.3 등위관계 전략 = 146
3.3.4 명사화 = 146
3.3.5 연속동사 = 149
3.3.6 요약 = 152
3.4 관계절 = 152
3.4.1 예문과 정의 = 152
3.4.2 관계절에서의 교차 언어적 변이 = 156
3.5 요약 = 159
추가 참고 문헌 = 159
연습문제 = 160
4. 핵 단어와 구 = 165
4.1 핵과 핵의 의존어 = 165
4.1.1 핵의 특질 = 165
4.1.2 의존어에 관하여 = 170
4.1.3 핵은 구안에서 어디에 위치하는가? = 182
4.2 핵 표시와 의존어-표시 언어들 = 187
4.2.1 정의와 설명 = 187
4.2.2 언어사이의 어떤 유형적 구분 = 197
4.2.3 요약 = 200
추가 참고 문헌 = 201
연습문제 = 201
5. 어떻게 구성소를 구별할 것인가 = 207
5.1 문장의 구조 분석 = 207
5.1.1 문장의 구조에 대한 증거 = 208
5.1.2 구성소 구조에 대한 통사적 검증 = 211
5.1.3 구성소 구조 수형도 = 218
5.1.4 요약 = 222
5.2 표지 수형도와 수형도내의 관계 = 223
5.3 상세한 수형도 개발하기 = 228
5.3.1 구성소 구조 검증법 적용하기 = 228
5.3.2 구성소 검증을 위한 대등 접속 = 237
5.3.3 모든 언어가 동일한 구성소를 갖는가? = 241
5.3.4 바 표시에 대한 소개 = 242
5.4 요약 = 247
추가 참고 문헌 = 248
연습문제 = 248
6. 문장내의 관계 = 253
6.1 머리말 = 253
6.2 문장내의 구의 순서 = 255
6.2.1 기본 어순과 유표적 어순 = 255
6.2.2 어순 변이 = 257
6.2.3 통계적 양상 = 259
6.3 격 체계 = 262
6.3.1 핵 논항을 분류하는 방법 = 262
6.3.2 주요 격 체계 설명 = 264
6.4 일치 = 272
6.5 문법 관계 = 279
6.5.1 머리말 = 279
6.5.2 주어 = 280
6.5.3 목적어 = 292
6.6 요약 = 294
추가 참고 문헌 = 295
연습문제 = 295
7. 통사적 과정들 = 303
7.1 수동태와 반 수동태 = 304
7.1.1 수동태 구문과 타동사 = 304
7.1.2 수동태 구문과 자동사 = 312
7.1.3 반 수동태 = 313
7.2 문법 관계를 변화시키는 다른 과정들 = 324
7.2.1 응용 구문 = 324
7.2.2 이유 구문 = 330
7.3 문법 관계를 변화시키지 않는 통사적 과정 = 336
7.3.1 WH - 의문문 = 337
7.3.2 다른 전치 구문들 = 339
7.4 통사적 과정과 구성소 구조 = 340
추가 참고 문헌 = 342
연습문제 = 342
8. 맺음말 = 349
예문에서 사용된 자료 출처 = 353
참고문헌 = 357
한영 용어 대조표 = 368
영한 용어 대조표 =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