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13
1. 세계정치경제 연구의 중요성 = 15
2. 이 책의 구성 = 19
제1부 21세기 세계정치경제의 일반적 성격
제1장 세계정치경제와 행위자
제1절 국가 = 35
1. 개념 = 35
제2절 주요 집단 = 44
1. 종교집단 = 45
2. 인종집단 = 46
3. 전문가집단 = 47
제2장 국제기구
제1절 국제기구와 국제 레이짐의 개념 = 48
1. 국제기구 = 48
2. 국제 레이짐의 개념 = 50
제2절 주요 국제기구 = 52
1. 유엔 = 52
2. 다른 주요 국제기구와 세계정부 = 55
3. 비정부기구 = 56
제3장 다국적기업
제1절 다국적기업의 성격 = 60
1. 개념 = 60
2. 다국적기업과 정보기술 및 세계화 = 62
3. 다국적기업에 관한 논쟁 = 64
4. 다국적기업에 관한 이론적 시각 = 67
제2절 다국적기업과 국가이익 = 71
1. 국가이익에 관한 논쟁 = 71
2. 다국적기업의 변화와 국가이익 = 73
제2부 세계정치경제학의 토대
제4장 세계정치경제 이론
제1절 세계정치경제의 변화 과정 = 82
1. 중상주의 시대의 세계정치경제 = 82
2. 제국주의 시대의 세계정치경제 = 84
3. 전후부터 탈냉전시대까지의 국제정치경제 = 85
제2절 정치경제학의 개념과 접근 = 89
1. 고전파(정통파) 정치경제학 = 92
2.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 = 94
3. 신고전파 및 케인즈 정치경제학파 = 96
4. 기타 정치경제학파 = 97
제5장 세계정치경제학의 개념과 실제
제1절 이론적 접근 = 103
1. 현실주의 = 103
2. 자유주의 = 105
3. 마르크스주의 = 108
4. 민족주의 = 110
5. 접근법들에 대한 비판 = 111
6. 세계정치경제에 대한 관심 고조 = 114
제2절 세계정치경제의 실제 문제와 이론 변화 = 115
1. 세계정치경제의 실제 문제들 = 115
2. 세계정치경제 이론 변화 개관 = 119
제3부 공산주의 붕괴와 새로운 세계정치경제질서
제6장 공산주의 붕괴과정의 기본 이해
제1절 공산주의 퇴조과정 = 127
1. 출발의 원천적인 잘못 = 127
2. 공산주의 붕괴 증후군 = 131
3. 비(非) 마르크스주의자들에 의한 공산주의 사망 예언 = 132
4. 마르크스주의자들의 공산주의 비판 = 136
제2절 공산주의 붕괴 이론과 관련된 규범적 논의들 = 138
1. 공산주의의 완전 종말론에 대한 재음미 = 139
2. 마르크스주의의 논리적 모순 = 141
3. 악마의 이론과 경영 실패론 = 142
4. 자유화 과정을 위협하는 요소 = 144
제7장 공산주의 몰락과 세계질서 혁명
제1절 세계질서의 '혁명' = 146
1. '혁명' 개념의 혁명시대 = 146
2. 혁명의 고전적 및 전통적 개념 = 149
3. 기존 개념의 유용성과 한계 = 152
4. 세계질서 혁명의 의미 = 154
제2절 세계질서 혁명의 이념적 특징 = 160
1. 기존 양대 이념의 수렴적, 통합적 성격 = 160
2. 이념적 수렴의 발전방향 = 163
3. 비폭력적 성격 = 168
4. 기회와 도전의 양면성 = 170
제8장 세계화
제1절 세계화의 복합성 = 174
1. 세계화의 구성차원과 요소 = 176
제2절 세계화 시대의 한국과 새로운 국가발전전략 방향 = 183
1. 세계화 개념 출현의 배경 = 183
2. 한국의 세계화 전략에 대한 합의점 = 185
3. 한국의 세계화에 대한 4가지 요구 = 187
4. 선진복지국가가 갖추어야 할 5가지 자질 = 189
제4부 세계정치경제의 3체제
제9장 남북(南北) 의존체제
제1절 의존의 형태 = 197
1. 남북의 불평등 관계 = 197
2. 의존 형태 = 198
제2절 의존이냐 종속이냐 = 200
1. 종속이론 = 200
2. 종속이론 비판 = 202
3. 돌연변이 이론 = 208
제10장 유럽연합체제
제1절 기원과 목적 = 225
1. 기원과 발전과정 = 225
2. 목적과 구조 = 228
제2절 기능 = 234
1. 단일내부시장 = 234
2. 경제 및 금융통합 = 235
제3절 대외관계 = 236
1. 러시아 = 237
2. 신생독립국가 = 238
3. 중앙 및 동부 유럽국가 = 239
4. 지중해 동남부 국가 = 239
5. 중국과 한국 = 240
6. 기타 아시아 국가들 = 241
7. 호주와 뉴질랜드 = 241
8. 개발도상국 = 242
9. 라틴 아메리카 = 242
10. 유럽 자유무역지대 = 242
제4절 EU의 향후 전망과 과제 = 243
제11장 서방상호의존체제
제1절 서방상호의존체제의 성격 = 251
1. 상호작용의 본질 = 251
2. 서방상호의존체제의 문제와 전망 = 254
3. 국제통화관리체제 = 255
4. 국내정치와 국제무역 = 273
5. 다국적기업 = 290
제2절 서방 각국의 관계 = 294
1. 미국과 캐나다 및 NAFTA = 294
2. 미국과 EU = 296
3. 캐나다와 EU = 298
4. 미국과 일본 = 298
5. 일본과 EU = 302
제5부 팩스 아메리카나의 세계정치경제
제12장 팩스 아메리카나의 성격
제1절 미국 주도의 세계정치경제질서 = 315
제2절 미국 쇠퇴론의 대두와 각 [학파]의 입장 = 319
1. 경제력 결정주의파 = 320
2. 미국 정치경제구조의 문제를 지적하는 구조주의 학파 = 321
3. 윤리적 가치관의 상실을 강조하는 견해 = 323
제3절 반론의 제기 = 324
1. 과학적 입증의 한계 = 324
2. 중심이동설 = 333
3. 쇠퇴론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개연성 = 337
제13장 첨단 정보사회 선도자로서의 미국
제1절 과학기술발전과 세계질서 = 342
1. 과학기술과 국가의 흥망 = 342
2. 정보사회와 세계정치경제질서 = 345
제2절 정보사회의 선도자로서의 미국과 세계적 영향 = 347
1. 정치생활에 있어서의 통합과 분산 = 348
2. 정보화 기술의 정치적 행동주의에 대한 영향 = 353
3. 정보사회에서의 정치 = 354
제3절 정보사회의 위험 요소들과 세계정치경제 = 357
1. 정보사회의 이율배반성 = 357
2. 세계정치경제에 대한 함의 = 359
제6부 아태평양·한반도 정치경제질서
제14장 동북아 주요 행위자 중국·일본·러시아
제1절 새로운 세계질서와 동북아질서의 특징 = 371
1. 동북아질서에 접근하는 이론적 시각 = 374
2. 동북아질서 맥락에서의 이론적 평가 = 375
제2절 중국 = 378
1. 역사적 배경 = 380
2. 정치경제 = 384
3. 새 정치질서와 옛 정치질서 = 386
4. 시장경제의 발전과 사회주의 경제의 잔재 = 389
5. 이념의 부조화 = 391
6. 중국과 대만관계 = 393
7. 21세기의 중국 전망 = 395
제3절 일본 = 404
1. 역사적 변신 = 404
2. 일본의 정치경제 발전 = 406
제4절 러시아 = 409
1. 소련연방에서 새로운 러시아 체제로 이행 = 409
2. 러시아의 정치경제 현실 = 411
제15장 동북아시아와 인도차이나 정치경제질서
제1절 동북아 정치경제질서 = 414
1. 동북아에서의 미국의 정치경제적 역할 = 414
2. 동북아에서의 일본의 정치경제적 역할 = 417
3. 동북아에서의 중국의 정치경제적 역할 = 420
4. 동북아에서의 러시아의 정치경제적 역할 = 422
제2절 인도차이나 = 424
1. 캄보디아 = 424
2. 베트남 = 427
3. ASEAN = 433
제16장 한반도와 국제환경
제1절 남북한 관계와 주변 4대국 = 438
1. 남북한 갈등의 역사 = 438
2. 한반도와 주변 4대국 = 440
3. 북한과 주변 4대국 = 443
4. 북한과 김정일 체제 변화 가능성 = 446
제2절 새로운 세계질서와 한반도의 진로 = 450
1.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정치경제 요인들 = 450
2. 군사적 차원의 변화 = 452
3. 현상유지 상태의 붕괴 가능성 = 454
4. 한반도 정세 변화 전망 = 455
5. 남북 문제 접근의 원칙적 전제 = 459
6. 결론 - 한반도 위기 구조와 해소 방향 = 466
제7부 21세기 세계정치경제질서와 국가경영 패러다임의 모색
제17장 기존 패러다임에 대한 도전
제1절 세계화 시대의 이론변화 추이 = 475
1. 21세기에 나타난 국제관계의 문제 = 475
2. 현실주의의 몰락과 대안 = 478
3. 통찰력으로서의 자유주의와 제도주의 = 481
4. 새로운 이론 개발의 필요성과 개연성 = 482
제2절 세계질서 혁명에 대한 과학적 전제 = 485
1. 과학기술의 변화 = 486
2. 경제의 세계화 = 487
3. 정치적 세계화 = 488
4. 아이디어의 세계화 = 489
5. 사회과학이 직면한 도전 = 493
제18장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제1절 패러다임의 변화 = 496
1. 생산성 혁명의 도전 = 496
2. 생산성 혁명과 새 패러다임 개연성 = 497
제2절 경영혁명과 새패러다임 개연성 = 503
1. 과학경영 개념 = 503
2. 국가와 기업의 관계 = 512
3. 기업인의 자질과 역할 = 517
제19장 지식교육과 새 패러다임 개연성
제1절 21세기의 지식혁명 = 524
1. 자본주의의 미래 = 525
2. 사례연구 : MIT = 527
3. 배분성과 연결성 = 531
제2절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 = 535
1. 국가경쟁력 기여도 : 한국대학과 MIT 비교 = 536
2. 한국 대학교육 정책의 문제 = 542
제20장 정보화 혁명과 새 패러다임 개연성
제1절 새 패러다임과 지식혁명의 보편성 = 548
제2절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 = 549
1.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시도 = 549
2. 포스트모더니즘과 세계정치경제 질서 = 553
3. 결어 = 555
제8부 세계정치경제의 현실과 한국의 대응
제1절 새로운 세계사회의 모델과 환경문제 및 전망 = 560
1. 21세기 세계사회의 모델 = 560
2. 환경문제 564
3. 세계화와 세계정치경제 = 572
4. 전망 = 576
제2절 결론 - 세계화와 한국정치의 대응 = 591
1. 한국 정치의 낙후와 국가경쟁력 = 591
2. 맺는 말 = 602
에필로그 : 한국정치개혁의 문제와 전망 = 611
참고문헌 = 621
색인 =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