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동티모르 분쟁
Ⅰ. 개요 = 15
1. 인도네시아 개황 = 16
2. 동티모르 개황 = 18
Ⅱ. 분쟁의 진행 과정 = 21
1. 포르투갈 식민통치의 종결 = 21
2. 인도네시아의 침공 = 26
3. 인도네시아의 통합정책 = 30
4. 독립을 위한 투쟁 = 34
5. 카톨릭의 역할 = 37
Ⅲ. 인권문제의 실상 = 39
1. 인권침해에 대한 주장들 = 39
2. 인도네시아 정부의 입장 = 40
Ⅳ. UN 등 국제사회의 개입 = 42
1. 내외 정세의 변화 = 42
2. UN의 중재 및 개입 = 44
3. 오스트레일리아 등 서방의 외교정책 = 45
4. NGO의 지원활동 = 50
Ⅴ. 독립 이행 과정과 전망 = 52
1. 주민투표의 실시 = 52
2. 민병대와 평화유지군 = 53
3. 한국군의 파병 = 56
4. UN 과도행정부 설립 = 59
5. 동티모르 사태의 영향 = 60
6. 동티모르의 미래 = 71
동티모르 분쟁 일지 78
제2장 티베트 문제
Ⅰ. 개요 = 87
Ⅱ. 분쟁의 진행 과정 = 89
1. 티베트 역사의 특수성 = 89
2. 중국의 티베트 침공 = 92
3. 티베트인들의 저항 = 96
4. 중국의 통합정책 = 98
Ⅲ. 중국의 민족문제 = 101
1. 중국 소수민족의 현황 = 101
2. 중화사상과 한족주의 = 103
3.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 103
4. 소수민족의 독립투쟁 = 105
Ⅳ. 인권문제의 실상
1. 티베트 망명정부의 주장 = 107
2. 중국정부의 주장 = 111
3. 티베트 인권문제의 평가 117
Ⅴ. 중국-티베트 교섭과 국제적 개입 = 119
1. 티베트 망명정부의 수립 = 119
2. 중국-티베트의 교섭 과정 = 120
3. 국제사회의 개입 = 127
Ⅵ. 독립 자치의 전망 = 133
티베트 분쟁 일지 = 135
제3장 미얀마 분쟁
Ⅰ. 개요 = 143
Ⅱ. 미얀마의 정치 변동 = 145
1. 우 누의 불교사회주의 = 146
2. 네 윈의 버마식 사회주의 = 148
3. SLORC와 아웅 산 수지 = 152
Ⅲ. 종족문제의 고찰 = 158
1. 종족집단의 개념 및 분류 = 159
2. 식민지배와 다종족사회 = 160
Ⅳ. 분쟁의 진행과정 = 162
1. 신헌법의 연방제도 = 163
2. 소수종족의 무장투쟁 = 163
3. 반정부 공동전선의 결성 = 166
Ⅴ. 앞으로의 전망 = 168
미얀마 분쟁 일지 = 170
제4장 필리핀 내전
Ⅰ. 개요 = 175
1. 필리핀 개황 = 175
2. 필리핀의 정치변동 = 176
3. 분쟁의 개요 = 178
Ⅱ. 역사적 문제의 고찰 = 180
1. 이슬람 세력의 확장 = 180
2. 미국의 식민통치 = 181
3. 필리핀 독립 후의 내란 = 182
Ⅲ. 분쟁의 진행 과정 = 183
Ⅳ. 이슬람권과의 연계성 = 187
Ⅴ. 앞으로의 전망 = 189
필리핀 내전 분쟁 일지 = 190
제5장 캐시미르 분쟁
Ⅰ. 개요 = 193
1. 인도 파키스탄 개황 = 193
2. 캐시미르 개황 = 195
3. 분쟁 배경 = 196
Ⅱ. 분쟁의 전개 = 198
1. 일반 상황 = 198
2. 인도-파키스탄 전쟁 = 199
3. 최근의 충돌 = 202
Ⅲ. 인도-파키스탄의 정책 대응 = 205
1. 기본 정책 = 205
2. UN의 평화유지활동 = 206
3. 양국간의 교섭 과정 = 207
4. 국내정세의 변화 = 212
Ⅳ. 핵개발 경쟁 = 219
Ⅴ. 앞으로의 전망 = 223
캐시미르 분쟁 일지 = 225
제6장 남중국해 분쟁
Ⅰ. 개요 = 233
1. 남사군도 분쟁 = 234
2. 서사군도 분쟁 = 234
Ⅱ. 분쟁의 원인과 의미 = 236
1. 분쟁의 원인 = 236
2. 의미 및 영향 = 238
Ⅲ. 분쟁의 진행 과정 = 240
1. 중국의 영해법 제정 = 241
2. UN 해양법과 남중국해 = 243
3. ASEAN의 개입 = 247
4. 미국의 관여 = 248
Ⅴ. 중국위협론의 대두 = 251
Ⅳ. 앞으로의 전망 = 258
남중국해 분쟁 일지 = 261
제7장 동중국해 분쟁
Ⅰ. 개요 = 269
Ⅱ. 역사적 문제의 고찰 = 271
1. 지리적 문제 = 271
2. 역사적 문제 = 272
3. 류큐 분할문제 = 274
4. 기타 문제 = 275
Ⅲ. 분쟁의 진행 과정 = 277
1. 등대 설치와 홍콩인의 죽음 = 278
2. 일본의 유화정책 = 279
3. 중일 어업협정 = 280
Ⅳ. 한국과의 연관성 = 281
1. 동중국해 어업권 문제 = 281
2. 독도문제와의 연관성 = 282
Ⅴ. 앞으로의 전망 = 285
동중국해 분쟁 일지 = 287
제8장 양안관계(중국-대만)
Ⅰ. 개요 = 291
Ⅱ. 양안관계의 발전 과정 = 294
1. 중국의 무력 해방 시도 = 294
2. 미-중 화해 후의 양안 대립 = 297
3. 대만의 민주화와 대륙정책 변화 = 302
4. 교류 협력의 제도화 = 304
5. 정치 군사적 대립의 반복 = 306
6. 1999년의 양안 갈등 = 310
7. 2000년의 양안관계 = 314
Ⅲ. 미국의 양안관계 정책 변화 = 320
1. 탈냉전시대의 미국외교 = 320
2. 대 중국정책의 변화 = 323
3. 대 대만정책의 변화 = 328
Ⅳ. 중국과 대만의 통일정책 비교 = 336
1. 중국과 대만의 통일관 = 337
2. 중국의 통일정책 = 340
3. 대만의 통일정책 = 348
Ⅴ. 양안관계의 몇 가지 시나리오
1. 양안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56
2. 현상유지론 = 360
3. 전쟁론 = 361
4. 중국연방론 = 363
Ⅵ. 결론 : 양안관계의 변화 전망 = 367
아시아 및 양안관계 일지 =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