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진로상담의 기초
제1장 진로상담의 개요 = 13
1. 개념의 이해 = 13
2. 진로상담의 역사적 전개 = 15
1) 진로상담의 출발 = 16
2) 진로상담의 성장 = 19
3. 진로상담의 필요성 = 24
1) 청소년들의 고민사항으로서의 진로문제 = 24
2) 진로상담의 필요성 = 26
4. 진로상담의 목표와 내용 = 30
1) 진로상담의 일반적인 목표 = 30
2) 학교 수준별 진로상담의 내용 = 34
5. 학교에서의 진로지도의 방법 = 37
1) 교과학습을 통한 진로지도 = 37
2) 학급관리를 통한 진로지도 = 38
3) 학교행사를 통한 진로지도 = 39
제2장 진로선택 이론 = 41
1. Parsons의 특성-요인이론 = 42
1) 이론의 배경 = 42
2) 이론의 내용 = 43
3) 평가 = 44
2. Roe의 욕구이론 = 45
1) 이론의 배경 = 45
2) 이론의 내용 = 46
3) 부모-자녀관계와 직업선택 = 51
4) 평가 = 52
3. Holland의 인성이론 = 53
1) 이론의 배경 = 53
2) 이론의 내용 = 54
3) 평가 = 60
4. Krumboltz의 사회학습 이론 = 61
1) 이론의 배경 = 61
2) 이론의 내용 = 62
3) 시사점 및 평가 = 67
5. Dawis Lofquist의 직업적응 이론 = 68
1) 이론의 배경 = 68
2) 이론의 내용 = 69
3) 실제적 적용 = 70
6. Blau 등의 사회학적 이론 = 71
1) 이론의 배경 = 71
2) 이론의 내용 = 71
3) 시사점 = 73
제3장 진로발달 이론 = 75
1. Ginzberg의 발달이론 = 75
1) 이론의 배경 = 75
2) 직업선택의 과정 = 76
3) 평가 = 78
2. Super의 발달이론 = 79
1) 이론의 배경 = 79
2) 자아개념 = 79
3) 진로발달 요인과 주요 명제 = 80
4) 직업발달의 단계와 과업 = 81
5) 평가 = 84
3. Tiedeman과 O'Hara의 발달이론 = 84
1) 이론의 배경 = 84
2) 직업 자아정체감 = 85
3) 진로 의사결정 단계 = 85
4) 요약 = 87
4. Tuckman의 발달이론 = 88
1) 개요 = 88
2) 발달단계 = 88
3) 평가 = 90
5. 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이론 = 90
1) 직업적 포부의 발달 = 90
2) 직업포부의 발달단계 = 91
3) 절충 개념 = 92
6. 진로이론의 최근 경향 = 93
1) 인지적 정보처리 이론 = 93
2) 가치중심적 진로접근 모델 = 95
3) 자기효능감 이론 = 99
4) 사회인지적 진로이론 = 100
제2부 직업세계와 의사결정
제4장 직업세계의 이해 = 105
1. 직업의 개념과 의의 = 106
1) 직업의 개념 = 106
2) 직업의 중요성 = 109
2. 직업세계의 구조 = 112
1) 직무의 내용을 기초로 한 분류체계 = 113
2) 심리적 특성 및 유사성을 기준으로 한 분류체계 = 126
3. 직업세계의 변화와 전망 = 131
1) 기술환경의 변화 = 131
2)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 = 133
3) 산업구조의 변화 = 136
4) 정부의 경제정책 변화 = 137
5) 생활수준의 향상과 생활방식(life style)의 변화 = 138
6) 세계화 = 139
7)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 = 141
제5장 의사결정의 이해 = 143
1. 진로 의사결정 모델의 배경 = 144
2. 기술적 진로 의사결정 모델 = 145
1) Vroom의 기대모델 = 145
2) Janis와 Mann의 갈등모델 = 148
3. 처방적 진로 의사결정 모델 = 152
1) Mitchell의 재개념화 된 선택 모델 = 152
2) Mitchell과 Beach의 주관적 기대효용 모델 = 155
3) Tversky의 관점에 따른 배제모델 = 159
4. 의사결정 유형 = 161
제6장 직업훈련의 이해 = 165
1. 직업훈련 제도의 필요성 = 166
2. 직업훈련 제도의 변천 = 167
1) 직업훈련의 태동 = 167
2) 직업훈련 의무제도의 도입 = 167
3) 현행 직업능력 개발훈련 제도의 도입 = 169
3. 직업훈련의 유형과 체제 = 171
1) 직업능력 개발훈련의 체계 = 171
2) 직업능력 개발훈련의 유형 = 173
3) 직업능력 개발훈련 기준 = 177
4. 직업능력 개발훈련 시설 및 과정 = 178
1) 직업능력 개발훈련 시설 = 178
2) 직업능력 개발훈련 과정 = 181
5. 직업능력 개발사업과 직업능력 개발훈련 현황 = 183
1) 직업능력 개발사업 내용 = 183
2) 직업능력 개발훈련 실시 현황 = 187
제3부 진로정보와 검사의 활용
제7장 진로정보의 활용 = 201
1. 진로정보의 의미 = 201
1) 진로정보의 개념과 성격 = 201
2) 진로정보의 영역 및 유형 = 203
2. 진로정보의 전달체계 및 평가 = 206
1) 진로정보의 전달체계 = 206
2) 진로정보의 평가 = 220
3. 진로정보 센터 = 222
1) 진로정보 센터의 개념 및 성격 = 222
2) 진로정보 센터의 운영방안 = 224
제8장 검사의 활용 = 229
1. 검사의 기초 = 230
1) 검사의 목적 = 230
2) 검사의 난점 = 231
3) 검사의 기본가정 = 232
4) 좋은 검사도구의 조건 = 233
2. 진로상담과 심리검사 = 235
1) 가치관의 탐색 = 235
2) 흥미의 탐색 = 236
3) 성격의 탐색 = 238
4) 적성의 탐색 = 239
3. 진로성숙도의 이해와 측정 = 241
1) 진로성숙의 개념과 정의 = 241
2) 진로성숙도 검사도구 = 243
4. 진로결정 수준의 이해와 측정 = 248
1) 진로결정 수준의 개념 = 248
2) 진로결정 수준의 측정 = 249
5. 검사결과의 해석과 활용 = 251
1) 검사결과 해석의 관점 = 251
2) 검사해석의 일반원칙 = 253
3) 검사해석 상담 = 254
제4부 진로상담의 방법
제9장 진로상담의 과정 = 259
1. 진로상담의 조건 = 260
1) 진로상담의 과제 = 260
2) 진로상담의 방법 = 262
2. 진로상담의 과정 = 264
1) 관계수립 및 문제의 평가 = 265
2) 목표의 설정 = 273
3)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 = 275
4) 훈습(Working Through) = 282
5) 종결과 추수지도 = 282
3. 상담의 효과 = 283
4. 진로상담 모형의 예 = 285
제10장 특수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 291
1. 장애인 진로교육 = 292
1) 장애인 진로교육의 역사 = 292
2) 직업재활 = 295
3) 전환교육 = 300
2.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실례 = 304
1) 은평복지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 = 305
제11장 장애인 진로상담 = 313
1. 특수아 상담 = 313
2. 특수상담자의 장애인관 = 318
3. 특수아 진로상담 = 321
1) 행동적 진로상담 = 321
2) 전환 서비스에서의 진로상담 = 323
제12장 컴퓨터를 활용한 진로상담 = 333
1. 진로상담과 컴퓨터 = 334
2. 컴퓨터 보조 진로지도 시스템 = 338
1) SIGI PLUS = 338
2) DISCOVER = 341
3) 에듀넷 = 346
4) 아로 = 349
3. 진로상담에서 컴퓨터 활용의 효과와 제한점 = 351
1) 컴퓨터 보조 진로지도 시스템의 효과 = 352
2) 컴퓨터 보조 진로지도 시스템의 제한점 = 353
4. 컴퓨터를 활용한 진로지도 모델과 유의점 = 354
1) 컴퓨터를 활용한 진로지도 6단계 모델 = 354
2) 유의점 = 356
제13장 특기·적성교육의 효율적 운영 = 361
1. 특기·적성교육의 의미 = 362
1) 특기·적성 = 362
2) 특기·적성교육 = 364
2. 특기·적성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365
1) 특기·적성교육 운영 개요 = 365
2) 특기·적성교육의 현황 = 366
3) 특기·적성교육의 문제점 = 374
3. 특기·적성교육의 효율적 운영방안 = 378
1)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개념과 역할 = 378
2)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율적 운영 = 379
3) 유능한 강사진 확보 = 382
4) 주변 여건의 개선 = 384
4. 맺음말 = 385
참고문헌 = 387
찾아보기 =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