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기획의 의의 = 21
제1절 용어구분의 문제 = 21
제2절 기획의 개념 = 23
1. 정의의 다양성 = 23
2. 정의의 분류기준 = 25
제3절 기획과 유사분야 = 27
1. 정책 = 27
2. 관리과학 = 28
3. 모델 = 29
4. 예측 = 29
5. 예산 = 29
6. 의사결정 = 30
제4절 기획의 필요성 = 30
1. 현대사회의 복잡성 = 30
2. 미래에의 대비 및 행정목표의 구체화 = 31
3. 자원의 최적활용 = 31
4. 지휘 및 통제수단 = 31
제2장 기획이론의 발달 = 33
제1절 기획이론의 성립과정 = 33
제2절 기획이론의 발전요인 = 34
1. 산업혁명과 사회주의사조 = 34
2. 도시기획의 발전 = 35
3. 자유방임주의의 반성 = 36
4. 대공황수습의 필요성 = 36
5. 제1·2차 세계대전의 경험 = 37
6. 각국의 경제개발계획 추진 = 38
7. 사회과학의 발달 = 38
제3절 기획과 민주주의 = 39
1. 기획반대론 = 39
2. 기획찬성론 = 40
3. 관념상의 문제 = 41
제3장 기획의 본질·이성 및 제약성 = 44
제1절 기획의 본질 = 44
1. 기획의 본질에 대한 인식론적 기초 = 44
2. 대표적 학설 = 46
(1) 밀렛의 견해 = 46
(2) 겔로웨이의 견해 = 47
(3) 다알과 린드블롬의 견해 = 48
(4) 드로어의 견해 = 48
(5) 워터스톤의 결해 = 49
제2절 기획의 이성 = 49
1. 기획결정이성 = 51
(1) 일관성 = 51
(2) 만족성 = 51
(3) 최적성 = 52
2. 시행착오와 비용절감을 위한 이성 = 52
(1) 적응성 = 52
(2) 선견성 = 53
(3) 창조성 = 54
(4) 합리성 = 54
(5) 통제성 = 55
제3절 기획의 제약성 = 56
1. 예측능력의 한계성 = 57
2. 정보·자료의 부족 및 부정확성 = 58
3. 기획가정의 필요성 = 59
4. 수정의 불가피성 = 59
5. 시간 및 기획관의 능력 = 60
6. 기획기구 및 제도 = 60
7. 자금 = 60
제4장 기획의 유형 = 62
제1절 유형구분의 다양성 = 62
1. 밀렛의 구분 = 62
(1) 정책기획 = 63
(2) 운영기획 또는 사업기획 = 63
2. 보오의 구분 = 63
(1) 기능에 따른 구분 = 63
(2) 응집력에 따른 구분 = 63
(3) 기간에 따른 구분 = 63
3. 겔로웨이의 구분 = 64
(1) 자원기획 = 64
(2) 경제기획 = 64
(3) 사회기획 = 64
(4) 지역기획 = 64
(5) 방위기획 = 65
4. 기타의 구분 = 65
제2절 기획의 일반적 유형 = 66
1. 계층에 의한 유형 = 66
(1) 정책기획 = 66
(2) 운영기획 = 67
2. 기간에 의한 유형 = 67
(1) 장기기획 = 67
(2) 중기기획 = 68
(3) 단기기획 = 70
3. 대상에 의한 유형 = 71
(1) 경제기획 = 71
(2) 사회기획 = 73
(3) 물적기획 = 73
(4) 방위기획 = 74
4. 지역수준에 의한 유형 = 74
(1) 국제기획 = 74
(2) 국가기획 = 75
(3) 지역기획 = 75
5. 내용 정도에 의한 유형 = 75
(1) 종합기획 = 75
(2) 개별기획 = 76
6. 효과에 의한 유형 = 76
(1) 상용기획 = 76
(2) 일시사용기획 = 76
7. 강제성 정도에 의한 유형 = 77
(1) 중앙집권적 독재사회주의기획 = 77
(2) 자유사회주의기획 = 77
(3) 민주적 경쟁기획 = 78
(4) 유도기획 = 78
(5) 예측기획 = 78
8. 수단에 의한 유형 = 79
(1) 배분적 기획 = 79
(2) 규제적 기획 = 79
9. 기타 유형구분 = 79
제3절 기획유형의 역사적 전개 = 80
1. 종합기획 = 80
2. 사회적 기획 = 80
3. 창도적 기획 = 81
4. 관료적 기획 = 81
5. 무기획 = 82
제5장 기획기구 = 83
제1절 정부기획기구 = 83
1. 의의 및 기능 = 83
2. 중앙기획기구의 형태 = 84
(1) 행정수반직속형 = 84
(2) 내각수반직속형 = 85
(3) 독립형 = 85
(4) 전담부처형 = 86
(5) 병설형 = 86
3. 부처 및 지방기획기구 = 86
(1) 부처기획기구 = 86
(2) 지방기획기구 = 87
4. 기능의 배분 = 87
(1) 기획과 예산기능 = 87
(2) 기획과 정보관리기관 = 88
(3) 부처기구와 지방기구 = 88
(4) 기획과 심사분석기능 = 89
(5) 기획과 국제협력기능 = 89
제2절 국제기획기구 = 89
1. 의의 및 현황 = 89
2. UNDP = 90
3. ANCOM = 93
4. Colombo Plan = 95
5. EU = 97
6. COMECON = 99
제6장 기획의 계층 및 구조
제1절 범위의 문제 = 102
제2절 기획계층의 상호관계 = 103
1. 정책기획·전략기획·운영기획의 종류 = 103
2. 국가이익·목표·정책과의 관계 = 104
(1) 국가이익 = 106
(2) 국가목표 = 106
(3) 국가정세판단 = 107
(4) 국가전략구상 = 107
(5) 국가정책 = 107
제3절 기획의 일반적 구조 = 108
1. 부문별 기획구조 = 108
2. 기간별 기획구조 = 109
제4절 정책기획 = 111
1. 정책의 개념 = 112
2. 정책의 과정 = 113
3. 정책결정에의 참여자 = 118
4.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 121
5. 정책정보의 활용 = 124
제5절 전략기획 = 127
1. 전략기획의 개념 = 127
2. 전략기획의 기능 = 128
3. 전략기획을 위한 사고방법 = 128
제6절 운영기획 = 129
1. 운영기획의 개념 및 특성 = 129
2. 운영기획의 유형 및 용도 = 130
(1) 목표 = 130
(2) 일시사용계획 = 131
(3) 상비계획 = 131
제7장 기획의 과정과 기법
제1절 기획담당자의 역할과 구비요건 = 133
1. 기획담당자의 역할 = 133
2. 기획담당자의 구비요건 = 134
제2절 기획과정의 기본방향 = 135
제3절 기획과정의 단계구분 = 136
(1) 겔로웨이의 단계구분 = 137
(2) 밴필드의 단계구분 = 137
(3) 쿤츠 및 오도넬의 단계구분 = 138
(4) 밀렛의 단계구분 = 138
(5) 태리의 단계구분 = 138
제4절 기획의 수립단계 = 142
1. 문제의 인지 = 142
2. 목표의 설정 = 143
(1) 사실전제와 가치전제 = 145
(2) 목표의 기획지표화 = 146
(3) 방침 = 149
3. 자료의 수집과 분석 및 정리 = 150
(1) 환경조사 = 151
(2) 조사연구의 활용 = 152
4. 기획전제의 설정 = 152
(1) 기획전제의 유형 = 153
(2) 미래예측 = 154
(3) 예측방법 = 156
5. 대안의 작성과 비교 및 평가 = 164
6. 최선안의 채택 = 165
(1) 가치판단 = 165
(2) 불확실성에 대한 조절 = 166
(3) 선택의 검증 = 166
7. 파생계획의 수립 및 집행준비 = 167
(1) 수립상의 고려요소 = 168
(2) PERT 기법 = 169
제5절 기획의 집행단계 = 189
1. 기획집행의 의의 및 본질 = 189
(1) 기획집행의 연구 = 189
(2) 기획집행의 개념 및 특징 = 192
(3) 기획집행의 중요성 = 194
2. 기획집행기구 및 참여자 = 195
(1) 기획집행기구 = 196
(2) 자율적 행정도구로서의 기획기구 = 199
(3) 그 밖의 기구 = 200
3. 기획집행의 유형 = 200
(1) 국가형태에 의한 구분 = 201
(2) 정책유형에 의한 구분 = 202
(3) 결정자와 집행환경에 의한 구분 = 203
(4) 결정자와 집행자관계에 의한 유형구분 = 203
4. 기획집행의 과정 = 205
(1) 기획집행의 주체 = 205
(2) 구체적 작업단위의 설정 = 206
(3) 지시 및 감독 = 206
5. 기획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7
(1) 정책문제의 성격적 요인 = 207
(2) 정책결정과 관련된 요인 = 207
(3) 환경적 요인 = 208
제6절 기획평가단계 = 208
1. 기획평가의 종류 및 방법 = 209
(1) 체제로 본 평가유형 = 209
(2) 평가단계에 따른 유형 = 210
(3) 평가의 목적 및 수단에 따른 유형법 = 212
(4) 계획내용에 따른 유형 = 214
(5) 심사분석에 의한 평가유형 = 214
2. 행정통제와 시정조치 및 환류 = 215
(1) 행정통제 = 215
(2) 시정조치 및 환류 = 216
제8장 기획의 접근방법 및 전략
제1절 기획의 접근방법 = 217
1. 테리의 분류 = 217
2. 팔루디의 분류 = 217
3. 허드슨의 분류 = 222
4. 본스타인의 분류 = 223
제2절 기획의 전략과 병참분석 = 223
1. 기획전략의 의의 = 223
2. 기획전략의 유형 = 224
(1) 팔루디의 유형구분 = 224
(2) 뉴만의 유형구분 = 226
3. 기획전략수립의 요소 = 227
(1) 목표의 성격 = 228
(2) 현재의 상황 = 228
(3) 성공가능성 = 228
(4) 대가 = 228
4. 기획의 병참분석 = 228
제9장 한국의 기획제도
제1절 기획제도의 발달과정 = 230
1. 정부기획제도 = 230
(1) 기획처와 부흥부 = 230
(2) 경제기획원과 지방기획기구 = 231
(3) 재정경제원·재정경제부·기획예산처 = 231
2. 육군의 기획제도 = 232
제2절 기획기구 및 기능 = 233
1. 중앙기획기구 = 233
(1) 기획예산처 = 233
(2) 재정경제부 = 235
2. 기타 기획기구 = 235
제3절 경제개발계획 등의 추진 및 성과 = 236
1. 제1차 5개년 계획의 성립과정 = 236
(1) 네이산 보고서 = 236
(2) 타스카 보고서 = 236
(3) 3개년경제계획 = 237
(4) 경제개발 5개년계획 = 237
2. 제1차∼제7차 경제사회발전계획 = 237
(1)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237
(2)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238
(3)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239
(4)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239
(5)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 240
(6) 제6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 240
(7) 제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 241
3. 신경제 5개년계획 = 242
4. 100대 국정과제 실천계획 = 242
제4절 주요기획의 수립과정 = 243
1. 경제사회발전계획 = 243
2. 신경제 5개년계획 = 244
3. 국정과제 실천계획 = 244
4. 주요업무계획 = 245
5. 사업운영계획 = 245
제5절 비상대비계획제도 = 247
1. 의의 = 247
2. 비상대비계획기구 = 248
(1) 중앙비상대비계획기구 = 248
3. 비상대비계획 = 249
제6절 중기재정계획제도 = 250
1. 중기재정계획의 의의 = 250
2. 중기재정계획의 필요성 및 제약성 = 251
(1) 중기재정계획의 필요성 = 251
(2) 중기재정계획의 제약성 = 252
3. 중기재정계획의 수립모형 및 실제 = 253
(1) 중기재정계획의 수립방법 및 절차 = 253
(2) 중기재정계획의 수립모형 = 254
(3) 중기재정계획제도의 운영현황 = 254
4. 발전방향 = 258
제7절 심사분석제도 = 259
1. 심사분석의 의의 = 259
2. 심사분석의 목적 = 259
3. 심사분석의 역사적 전개 = 260
(1) 국무총리 기획조정실의 심사분석 = 260
(2) 경제기획원의 심사분석 = 260
(3) 국무총리 행정조정실의 정책평가 = 260
(4) 국무총리 행정조정실의 심사평가 = 261
4. 심사분석의 책임 = 261
(1) 1차적인 책임 = 261
(2) 2차적인 책임 = 261
(3) 기타 기관의 책임 = 262
5. 심사분석의 절차 = 263
(1) 자료의 수집 = 263
(2) 자료의 발췌 = 263
(3) 자료의 분석 = 263
(4) 비교·대조 = 263
(5) 분석 = 264
(6) 발표 = 265
(7) 시정조치 = 265
6. 심사분석의 기간별 과정 = 265
제8절 기획제도의 문제점 = 266
제9절 기획의 새로운 환경과 도전 = 268
1. 세계경제의 개방화·자유화 = 269
2. 정보화시대 및 급격한 기술변화 = 269
3. 지방자치·분권화·민주화의 정착 = 270
4.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의식의 대변화 = 271
5. 통일과 남북교류 대비 = 271
제10장 주요국가의 기획제도
제1절 국가기획제도의 의의 및 구성 = 272
1. 국가기획제도의 의의 = 273
(1) 국가기획의 개념 = 273
(2) 국가기획과 행정 = 274
(3) 국가기획제도의 특성 = 275
제2절 미국의 기획제도 = 277
1. 기획기구 및 기능 = 277
(1) 경제자문회의 = 278
(2) 관리예산처 = 278
(3) 국가경제위원회 = 279
(4) 기타 기획기구 = 279
2. 기획과정 및 특징 = 280
(1) 기획의 수립과정 = 280
(2) 계획의 추진 및 특징 = 282
제3절 일본의 기획제도 = 285
1. 기획기구 및 기능 = 285
(1) 경제기획청 = 285
(2) 기타 기획기구 = 285
2. 기획과정 및 특징 = 285
(1) 기획의 수립과정 = 285
(2) 경제계획의 추진 및 특징 = 288
제4절 영국의 기획제도 = 291
1. 기획기구 및 기능 = 291
(1) 재무성 = 291
(2) 기타 기획기구 = 291
2. 기획과정 및 특징 = 293
(1) 기획의 수립과정 = 293
(2) 경제계획의 시도 및 특징 = 294
제5절 프랑스의 기획제도 = 299
1. 기획기구 및 기능 = 299
(1) 기획위원회 = 299
(2) 기타 기획기구 = 301
2. 기획과정 및 특징 = 302
(1) 기획의 수립과정 = 302
(2) 경제계획의 추진 및 특징 = 304
제6절 나이제리아의 기획제도 = 308
1. 기획기구 및 기능 = 308
(1) 국가기획성 = 309
2. 기획과정 및 특징 = 310
(1) 기획수립과정 = 310
(2) 경제계획의 추진 및 특징 = 310
제7절 구 소련 및 러시아의 기획제도 = 314
1. 기획기구 및 기능 = 314
(1) 국가기획위원회 = 314
(2) 기타 기획기구 = 316
2. 기획과정 및 특징 = 317
(1) 기획의 수립과정 = 317
(2) 경제계획의 추진 및 특징 = 317
제8절 중국의 기회제도 = 324
1. 기획기구 및 기능 = 324
(1) 국가발전계획위원회 = 324
(2) 기타 기획기구 = 326
2. 기획과정 및 특징 = 327
(1) 기획수립과정 = 327
(2) 경제계획의 추진 및 특징 = 328
제9절 북한의 기획제도 = 339
1. 기획기구 및 기능 = 339
(1) 국가계획위원회 = 339
(2) 기타 기획기구 = 341
2. 기획과정 및 특징 = 342
(1) 기획의 수립원칙 및 과정 = 342
(2) 경제계획의 추진 및 특징 = 344
3. 결론 =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