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668843 | |
005 | 20230420174642 | |
007 | ta | |
008 | 000721s2000 ulk 001c kor | |
020 | ▼a 8980260679 ▼g 94320 | |
020 | 1 | ▼a 8980260660(전3권)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49 | 1 | ▼l 111161874 ▼f 개가 ▼l 111161875 ▼f 개가 ▼l 111161876 ▼f 개가 |
082 | 0 4 | ▼a 335.4 ▼2 21 |
085 | ▼a 335.4 ▼2 DDCK | |
090 | ▼a 335.4 ▼b 2000 ▼c 1 | |
100 | 1 | ▼a Marx, Karl, ▼d 1818-1883 ▼0 AUTH(211009)123002 |
245 | 1 0 | ▼a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n 1 / ▼d 칼 맑스 지음 ; ▼e 김호균 옮김 |
246 | 1 9 | ▼a Grundrisse der Kritik der Politischen Okonomie |
260 | ▼a 서울 : ▼b 백의, ▼c 2000 | |
300 | ▼a 474 p.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Marxian economics |
700 | 1 | ▼a 김호균, ▼g 金昊均, ▼d 1956-, ▼e 역 ▼0 AUTH(211009)71654 |
900 | 1 0 | ▼a 맑스, 칼,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35.4 2000 1 | Accession No. 1111618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 2000 1 | Accession No. 1111618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 2000 1 | Accession No. 11116187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5.4 2000 1 | Accession No. 1510914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335.4 2000 1 | Accession No. 1510914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35.4 2000 1 | Accession No. 1111618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 2000 1 | Accession No. 1111618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5.4 2000 1 | Accession No. 11116187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5.4 2000 1 | Accession No. 1510914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335.4 2000 1 | Accession No. 1510914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그룬트리쎄'로 알려져 있는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은 1857년 7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씌어진 칼 맑스의 대표적인 경제학 수고이다. 이 책은 <경제학-철학 수고>(일명 '파리 수고', 1844), <독일 이데올로기>(1845-6) 및 <잉여 가치 학설사>(1861-3) 등과 함께 맑스의 경제 사상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연구서로서 <자본론>의 초고로 집필된 것이다.
맑스 생전에는 공식적으로 출간되지 않았던 이 책의 수고들은 1903-4년 사이 칼 카우츠키에 의해서 독일 사회민주당의 기관지였던 '신시대(Neue Zeit)'지(紙)에 처음으로 공표된 이후 1939년과 1941년 구(舊)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설 맑스-엥겔스-레닌 연구소에 의해서 편집되어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초고)>라는 이름으로 출간되었다.
독일에서는 1953년에 처음으로 디이츠(Dietz) 출판사에서 동일한 판본에 대한 복제본이 출간되었고, 이후 <맑스-엥겔스 전집(MEW)>과 <맑스-엥겔스 총집(MEGA)>의 지속적인 간행에 발맞추어 그 편집 체제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1973년에는 마틴 니콜라우스(Martin Nicolaus)에 의해 처음으로 영어로 번역되어 펭귄(Penguin) 출판사에서 출간된 바 있다. 독일어권을 별도로 하고 이 책의 번역본을 가지고 있는 나라는 영어권의 국가들과 프랑스 및 일본 등의 몇몇 나라들에 국한되어 있다.
수년간에 걸친 세심한 번역과 편집 작업을 통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출간되는 이 책은 '맑스-엥겔스 전집' 제42권(디이츠, 1987)의 편집 체제를 따라 크게 '바스티아와 캐리',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서설' 및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의 세 편의 경제학 수고를 완역한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카를 마르크스(지은이)
1818년 5월 5일 독일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을 마치고 1835년에 본 대학에 진학해 법학을 전공했다. 아버지의 압박으로 베를린 대학으로 전학해 철학을 공부했다. 이곳에서 헤겔 철학을 연구하며 청년헤겔파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진보적 성향이 덜한 예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땄다. 1842년 <라인신문>에서 일하기 시작해 편집장이 되었다. 마르크스는 사설을 통해 프로이센 정부와 언론의 검열을 매섭게 비난했다. 그 결과 신문은 이내 폐간됐다. 1843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해 정치경제학과 프랑스혁명의 역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때 <경제학·철학 초고> <헤겔의 법철학 비판> 등의 원고를 썼다. 파리에서 프로이센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쓰다가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벨기에 브뤼셀로 이주했다. 이 무렵 <철학의 빈곤> <자유무역에 대하여>의 원고를 썼다. 1847년 파리에 거주하는 독일 출신 노동자를 중심으로 생겨난 조직 ‘정의 동맹’의 요청을 받고 강령에 해당되는 글을 작성했다. 바로 <공산당 선언>이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유럽 전역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파리로 잠시 피신했다가 쾰른으로 돌아갔다. <신라인신문>으로 이름을 바꾸고 신문을 재발행하기 시작했다. <임금노동과 자본>은 노동자를 일깨우기 위한 글로, 이 신문에 다섯 편으로 나뉘어 실렸다. 정부 탄압을 받던 <신라인신문>은 이내 기소당해 마르크스는 추방 명령을 받고 영국 런던으로 망명했다. 이곳에서 어려운 생계를 꾸리며 경제학을 연구했다. 1851년 유럽 특파원으로서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의 사정을 분석하는 기사와 사설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이후 몇 년간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정치경제학 비판> 등을 집필했다. 49세 되던 해에 《자본》이 출간됐다. 프랑스 파리에서 최초의 사회주의 자치정부인 파리 코뮌이 수립됐으나, 정부군 진압과 학살로 무너졌다.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의 기록과 의의를 적은 《프랑스 내전》을 썼다. 국제노동자연맹을 이끌며 아나키스트파와 내분을 겪기도 하고, 독일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강령을 비판하는 등 사회적 활동을 이어 갔다. 1883년 3월, 엥겔스가 잠시 자리를 비운 새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김호균(옮긴이)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직장 생활 1년, 연구원 생활 2년을 하다가 독일에 유학, 브레멘 대학 경제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 <세계시장에서 독점에 의한 가치법칙 작용방식의 수정>에서는 가치 개념에 대한 일반적인 규정에서 출발해서 시장가치, 생산가격, 국제 가치에 이르는 ‘정치경제학 비판’ 서술의 구체화를 보여 주고자 했다. 아울러 1970∼80년대 마르크스 경제학 내에서 논쟁이 되었던 세계시장론과 1980년대 이후 마르크스 경제학 내에서 논쟁 중이던 독점(자본주의) 개념에 대한 해석을 제시했다. 특히 논문의 보론에서 ‘추상에서 구체로의 상승’이라는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 서술 방법’을 자본 개념에 적용한 것은 전례 없는 작업으로 평가받았다.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요강≫)은 독일 유학 시절부터 번역을 계획하고 있다가 귀국하면서 바로 착수했다. ≪요강≫은 마르크스가 출간이 아니라 “자기 이해”를 위해 문자 그대로 생각나는 대로 적어 내려간 초고이기 때문에 완결되지 않은 문장도 많고 서술 방식도 ‘정치경제학 비판 서술 체계’에 부합되지 않는 부분이 대부분이다. 게다가 헤겔적인 표현이 많이 섞여 있어 번역에 어려움이 많았다. 한글 완역본은 우여곡절 끝에 2000년 3권으로 출간되었다. 명지대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Table of Contents
[Volume. 1]---------- 목차 독일어 판 서문 = 11 칼 맑스 경제학 수고 1857 - 1858 = 31 [바스티아와 캐리] = 33 바스티아, 『경제적 조화』(2판 파리, 1851년) = 33 서문 = 33 XIV. 임금 = 40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서설 = 47 A. 서설 = 51 Ⅰ. 생산, 소비, 분배, 교환(유통) = 51 1. 생산 = 51 2. 분배, 교환, 소비에 대한 생산의 일반적 관계 = 57 a1) [생산과 소비] = 59 b1) [생산과 분배] = 64 c1) [끝으로 교환과 유통] = 68 3. 정치경제학의 방법 = 70 4. 생산. 생산 수단과 생산 관계들. 생산 관계들과 교류 관계들. 생산 관계들 및 교류 관계들과 관계하는 국가 형태들 및 의식 형태들. 법률 관계들. 가족 관계들 = 80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 85 Ⅱ. 화폐에 관한 장 = 86 알프레드 다리몽 : 『은행 개혁에 관하여』(파리 1856년) = 86 [화폐의 등장과 본질] = 118 [화폐 관계의 담지자로서 귀금속] = 157 a) 다른 금속과의 관계에서의 금과 은 = 157 b) 다양한 금속들 사이의 가치 비율의 변동 = 165 [화폐의 회전] = 172 a) [가치 척도로서의 화폐] = 174 b) [유통 수단으로서의 화폐] = 180 c) 부의 물적 대표로서의 화폐(화폐 축적. 그에 앞서 계약 등의 일반적 재료로서의 화폐) = 192 [Ⅲ. 자본에 관한 장] = 233 [제1편 : 자본의 생산 과정] = 233 자본으로서의 화폐에 관한 장 = 233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 233 1. 유통과 유통에서 유래하는 교환가치, 자본의 전제 = 257 2. 유통에서 유래하는 교환 가치. 유통에 전제되고 유통에서 보존되며 노동을 매개로 해서 배증되는 = 263 [자본과 노동 사이의 교환] = 277 [노동 과정과 증식 과정] = 309 [절대적 잉여 가치와 상대적 잉여 가치] = 354 [잉여 가치와 이윤] = 385 독일어 판 편집자 주 = 429 찾아보기 = 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