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46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668624 | |
005 | 20100806031829 | |
007 | ta | |
008 | 000718s1999 ulka 001a kor | |
020 | ▼a 8978783430 ▼g 93370 : ▼c \12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46659 ▼f 개가 ▼l 111146660 ▼f 개가 ▼l 111146661 ▼f 개가 ▼l 192028382 |
082 | 0 4 | ▼a 372.6 ▼2 21 |
090 | ▼a 372.6 ▼b 1999 | |
100 | 1 | ▼a 전은주 ▼0 AUTH(211009)16821 |
245 | 1 0 | ▼a 말하기·듣기 교육론 / ▼d 전은주 지음. |
260 | ▼a 서울 : ▼b 박이정 , ▼c 1999. | |
300 | ▼a xii, 344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수록 | |
950 | 0 | ▼b \12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6 1999 | Accession No. 1111466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6 1999 | Accession No. 1111466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all Number 372.6 1999 | Accession No. 192028382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말하기·듣기 교육 연구의 흐름과 지향점 = 1 1.1 말하기·듣기 교육 연구의 필요성 = 1 1.2 말하기·듣기 교육 연구의 흐름 = 2 1.2.1 말하기·듣기 교육 연구의 태동기(1946~1963) = 3 1.2.2 말하기·듣기 교육 연구의 초창기(1963~1987) = 6 1.2.3 말하기·듣기 교육 연구의 발전기(1987~현재) = 12 1.3 말하기·듣기 교육 연구의 지향점 = 25 Ⅱ. 말하기·듣기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기초 = 31 2.1 담화 텍스트의 생산과 이해 과정 = 31 2.1.1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 = 31 2.1.2 대인 관계 = 38 2.1.3 담화 텍스트의 생산과 이해 과정 모델 = 43 2.1.4 담화 텍스트의 생산과 이해 과정에서의 스키마의 작용 = 52 2.2 말하기·듣기의 개념과 유형 = 57 2.2.1 말하기·듣기의 정의 = 57 2.2.2 말하기·듣기의 과정 = 63 2.2.3 말하기·듣기의 유형 = 72 2.3 말하기·듣기의 일반 원리 = 84 2.3.1 Grice의 '협력의 원리'에 대한 재고 = 84 2.3.2 말하기·듣기 작용의 계층 = 89 2.3.3 말하기·듣기의 원리 = 96 Ⅲ. 현행 말하기·듣기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105 3.1 교육과정에서의 말하기·듣기 교육 = 105 3.1.1 교육 내용 체계 = 106 3.1.2 말하기·듣기 교육 내용 = 110 3.2 교과서 내용의 문제점 = 121 3.2.1 지식 내용 = 122 3.2.2 학습활동 = 125 3.2.3 단원마무리 = 129 3.2.4 교육과정 내용의 교과서 구현 정도 = 131 3.3 말하기·듣기 교육 실태 조사 = 135 3.3.1 조사 내용과 방법 = 135 3.3.2 말하기·듣기 교육 실태 조사에 대한 분석 = 138 Ⅳ. 말하기·듣기 교육 목표 설정 = 153 4.1 말하기·듣기 교육 목표 설정을 위한 기초 논의 = 154 4.1.1 국어과 교육에서의 언어 = 154 4.1.2 언어 사용과 언어의 기능 = 157 4.2 말하기·듣기 능력의 개념 = 161 4.2.1 국어 사용 능력에 대한 재해석 = 161 4.2.2 말하기·듣기 능력의 개념 = 168 4.3 말하기·듣기 교육 목표의 구체화 = 171 4.3.1 말하기·듣기 교육에 대한 요구 = 171 4.3.2 구체화의 기준 = 174 4.3.3 말하기·듣기 교육의 일반 목표 = 182 Ⅴ. 말하기·듣기 교수 - 학습 내용 = 187 5.1 말하기·듣기 교수 - 학습의 구조와 교육 내용 = 188 5.1.1 이해 과정을 위한 내용 = 189 5.1.2 적용 과정을 위한 내용 = 193 5.1.3 교육 내용으로서의 말하기·듣기 종류의 체계화 = 195 5.2 담화 표현과 이해의 원리 = 196 5.2.1 내용 선정과 조직 = 197 5.2.2 효과적 표현 및 전달의 방법 = 198 5.2.3 효과적인 수용과 이해의 방법 = 206 5.3 효과적 인간 관계를 위한 원리 = 215 5.3.1 상황과 관계 파악하기 = 216 5.3.2 상대를 인정하기 = 220 5.3.3 인간 관계 발전을 위한 유대 아동(solidarity move) = 224 5.3.4 자기표현법 = 227 Ⅵ. 상호 관계적 말하기·듣기 교수 - 학습 방법 = 231 6.1 상호 관계적 말하기·듣기 교수 - 학습의 개념과 원리 = 232 6.1.1 상호 관계적 말하기·듣기 교수 - 학습의 개념 = 233 6.1.2 상호 관계적 말하기·듣기 교수 - 학습의 원리 = 237 6.2 상호 관계적 말하기·듣기 교수 - 학습 모형 = 242 6.2.1 말하기·듣기 교수 - 학습의 일반 절차 = 243 6.2.2 상호 관계적 활동 단계 모형 = 245 6.3 말하기·듣기 교수 전략 = 247 6.3.1 상호 관계적 말하기·듣기 활동 과제 구성법 = 248 6.3.2 말하기·듣기 활동 진행법 = 250 6.3.3 교사의 교실 대화법 = 253 Ⅶ. 말하기·듣기 영역의 평가 방안 = 259 7.1 말하기·듣기 영역 평가의 기능 = 260 7.2 말하기·듣기 영역 평가의 원리 - 실제적 평가 방법을 중심으로 = 264 7.2.1 실제적 평가(Athentic Assessment)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 265 7.2.2 말하기·듣기 영역 평가의 원리 - 실제적 평가 방법을 중심으로 = 270 7.2.3 상호 관계적 말하기·듣기 평가 모형 = 277 7.3 말하기·듣기 영역 평가의 방법 = 280 7.3.1 말하기·듣기 영역 평가의 내용 = 280 7.3.2 말하기·듣기 영역 평가의 기준 = 284 7.3.3 말하기·듣기 영역 평가의 구체적 방법 = 289 Ⅷ. 평가 기준과 지도 방안의 타당성 검증 = 301 8.1 연구 방법 = 301 8.1.1 실험 대상 = 301 8.1.2 실험 내용 = 302 8.1.3 자료 처리 방법 = 305 8.2 평가 기준의 신뢰도 검증 = 306 8.2.1 개인별 총점의 평가자간 신뢰도 = 307 8.2.2 평가범주별 전체 평균 점수의 평가자간 신뢰도 = 308 8.3 상호 관계적 말하기·듣기 지도 프로그램의 교육적 실효성 검증 = 309 8.3.1 1차 평가에서 항목별 및 범주별 비교 = 310 8.3.2 1차 및 2차 평가간의 차이 비교 = 313 Ⅸ. 결론 = 323 참고 자료 = 329 참고 문헌 = 330 찾아 보기 = 341 Abstract =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