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청소년 심리의 개관 = 15
1. 청소년기의 정의 = 16
2. 청소년의 심리적 발달의 이해 = 17
(1)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기본적인 변화 = 18
(2) 청소년의 주변환경 = 20
(3) 청소년기의 심리 사회적 발달 = 21
(4) 청소년의 내적·외적문제 = 24
제2장 이론적 조망과 연구 방법 = 27
1. 이론의 정의 = 27
2. 이론의 구성과정 = 29
(1) 가설의 구성 = 29
(2) 가설의 검증 = 30
(3) 횡단적 연구와 종단적 연구 = 35
3. 청소년 발달의 이론적 관점 = 36
(1) 생물학적 이론 = 38
(2) 정신분석 이론 = 42
(3)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 = 46
(4) 인지발달 이론 = 50
(5) 사회 학습적 이론 = 52
(6) 인본주의 이론 = 57
(7) 생태학적 이론 = 59
(8) 절충적 접근 = 64
제3장 청소년기의 생물학적 변화 = 67
1. 사춘기 = 68
2. 사춘기의 시작 = 69
(1) 내분비계 = 70
3. 신체적인 발달 = 73
(1) 신체구조에서의 변화 = 73
(2) 성적인 성숙 = 75
4. 성숙의 시기와 속도 = 78
(1) 사춘기의 시작 = 78
(2) 사춘기에 대한 유전적, 환경적 영향 = 79
5. 사춘기의 심리적, 사회적 영향 = 82
(1) 사춘기의 직접적인 영향 = 83
(2) 초경과 첫 사정 = 86
(3) 빠른 성숙과 늦은 성숙 = 87
제4장 청소년기의 인지적 변화 = 91
1. 청소년기의 인지적 변화 = 91
(1) 가능성에 대한 사고 = 92
(2) 추상적 개념에 대한 사고 = 93
(3) 사고과정에 대한 사고 = 94
(4) 다차원적 사고 = 95
(5) 상대적 사고 = 97
2. 청소년기 사고에 대한 이론적 조망 = 97
(1) 심리측정적(양적) 견해 = 98
(2) 정보처리적 견해 = 100
(3) 단계발달적(질적) 접근 = 103
3. 일상적인 생활에서 나타나는 청소년 사고 = 107
(1) 사회적 인지의 변화 = 108
(2) 청소년들의 위험한 행동 = 111
제5장 사회적 변화 = 115
1. 청소년기에 대한 사회적 정의 = 106
2. 사회적 개념으로서의 청소년기 = 118
3. 사회적 지위의 변화 = 120
4. 청소년기에 대한 사회적 기대 = 122
(1) 사회적 기대의 공통적 특징 = 122
(2) 사회적 기대의 차이 = 123
제6장 가정과 청소년 = 131
1. 청소년과 가정 = 132
(1) 청소년들의 부모 = 134
(2) 부모와의 관계 = 136
2. 부모의 양육 스타일 = 138
3. 청소년기 자율성 = 144
(1) 정서적 자율성 = 146
(2) 행동적 자율성 = 147
4. 가족갈등과 의사소통 = 150
(1) 부모 - 청소년의 갈등 모델 = 150
(2) 갈등의 해소 = 152
5. 가족 구조의 변화 = 154
(1) 편부모 가정과 복합 가정 = 156
(2) 청소년과 형제 = 158
제7장 청소년과 친구 = 159
1. 청소년과 또래관계 = 160
(1) 친구관계와 인지발달 = 160
(2) 가족과 친구 = 161
(3) 친구와 비행 = 162
2. 또래 집단의 형성 = 163
(1) 또래 집단의 역동성 = 165
(2) 또래 집단의 형성 = 166
(3) 또래 관계의 영향 = 169
3. 청소년기 친구관계 = 170
(1) 부모와 친구 = 173
(2) 이성친구 = 175
4. 또래집단에서의 인기와 소외 = 177
제8장 자아와 정체감의 발달 = 181
1. 자아와 정체감의 의미 = 182
(1) 자와(self)의 의미 = 182
(2) 정체감의 의미 = 187
2. 정체감 이론의 특징 = 189
(1)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 = 190
(2) 점성론 = 191
3. 청소년기의 정체감 위기와 정체감 형성 = 193
(1) 청소년기의 정체감 위기 = 193
(2) 청소년기의 정체감 형성 = 197
4. 정체감 관련 연구 = 204
(1) 정체감 지위에 대한 연구 = 204
(2) 정체감 발달에 있어서 성차 = 206
(3) 기타 연구들 = 207
5. 자아 정체감의 발달 = 208
(1) 유아기 : 신뢰감 대 불신감 = 209
(2) 아동전기 : 자율성 대 수취 및 의혹감 = 210
(3) 아동후기 : 주도성 대 죄악감 = 211
(4) 학동기 : 근면성 대 열등감 = 212
(5) 청소년기 : 자아 정체감 대 역할혼미 = 213
(6) 성인전기 : 친밀성 대 고립감 = 215
(7) 성인후기 : 생산성 대 침체감 = 216
(8) 노년기 : 통정성 대 절망감 = 217
제9장 청소년의 성 역할 발달 = 219
1. 청소년기 성 역할의 의미와 변화 = 220
(1) 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 220
(2) 청소년기 성 역할의 개념 및 변화 = 221
2. 성 역할 발달의 영향 요인 = 223
(1) 생물학적 영향 = 223
(2) 사회적 영향 = 226
(3) 인지적 영향 = 234
3. 성 고정관념과 남녀의 실재적 차이 = 237
(1) 성 역할 고정관념 = 238
(2) 성 유사성과 차이성 = 240
(3) 성취도에서의 남녀 차이 = 243
4. 양성성의 발달 = 245
(1) 심리적 양성성의 의미와 가치 = 245
(2) 양성성 관련 연구 = 247
제10장 청소년기의 성(sexuality) = 249
1. 청소년의 성적 욕구와 성에 대한 의미 = 250
(1) 청소년의 성적 욕구 = 250
(2) 청소년들의 성에 대한 의미 = 252
2. 성에 관한 태도와 행동의 실태조사 = 256
(1) 성에 대한 태도 = 256
(2) 성에 대한 이중기준의 변화 = 259
(3) 성 행동 = 260
(4) 성 행동의 심리적 영향 = 261
3. 청소년 성 행동의 특징 = 263
(1) 자위행위와 기타 성 행동 = 263
(2) 성 경험의 저연령화와 적극성 = 264
(3) 청소년의 성에 대한 지식 = 266
4. 청소년기 성에 따른 문제행동 = 268
(1) 성폭력 = 268
(2) 청소년 임신 = 274
(3) 성병 = 277
5. 청소년을 위한 성 교육 = 281
제11장 학업과 진로 선택 = 283
1. 학교교육의 문제점 인식 = 284
2. 학습자 특성에 대한 이해 = 286
(1) 지적·정의적 특성의 구분 = 286
(2) 지능과 적성 = 289
(3) 감성지능(EQ) = 291
(4) 창의성 = 294
(5) 선행학습 = 297
(6) 기본기능과 기타요인 = 298
3. 대인학교의 의미와 과제 = 300
(1) 대안학교의 필요성과 의미 = 300
(2) 대안학교의 유형 = 302
(3) 대안교육의 과제 = 304
4. 진로선택의 의미와 진로 의사결정 = 305
(1) 청소년기 진로선택의 의미 = 305
(2) 진로 의사결정 = 307
(3)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I-Power) = 310
5. 진로발달이론 = 312
(1) 긴즈버그의 절충이론 = 312
(2) 수퍼의 자아개념 이론 = 314
(3) 홀랜드의 성격유형 이론 = 315
6. 직업선택에 대한 영향 요인과 최근 동향 = 317
(1) 직업선택에 대한 부모의 영향 = 317
(2) 학생신분의 직업활동 = 318
(3) 직업선택의 최근 동향 : 여성의 직업발달과 직종의 변화 = 320
7. 진로교육의 의미와 원리 = 321
제12장 정서의 발달 = 327
1. 청소년기 정서의 의미와 변화과정 = 328
(1) 정서의 의미와 특징 = 328
(2) 청소년기의 정서변화 = 330
2. 정서발달의 영향요인과 신체·생리적 변화 = 333
(1) 정서발달의 영향요인 = 333
(2) 정서와 신체적·생리적 변화 = 335
3. 청소년기 정서의 특징과 제형태 = 336
(1) 청소년기 정서의 특징 = 336
(2) 청소년의 욕구불만과 정서 = 340
(3) 청소년기 정서의 제 형태 = 343
4. 청소년기 정서의 성숙 = 353
(1) 정서의 성숙기준 = 353
(2) 정조의 발달 = 355
제13장 도덕성 및 가치관의 발달 = 359
1. 청소년기 도덕성의 의미와 가치 = 360
2. 도덕성 발달이론 = 362
(1) 사회화이론 = 362
(2) 인지발달 이론 = 364
3. 청소년기의 도덕성 = 374
(1) 청소년기 도덕성에 대한 이론의 개관 = 374
(2) Kohlberg의 청소년에 대한 견해 = 375
(3) Gilligan의 청소년기 도덕성 이론 = 378
4. 청소년기 도덕성 발달의 관련요인 = 380
(1) 인지적 요인 = 380
(2) 도덕적 사고와 행동과의 관계 = 381
5. 청소년기의 가치관 발달 = 383
(1) 가치관의 개념과 이론적 접근 = 383
(2) 청소년의 가치관 실태와 원인 = 386
6. 청소년의 가치관 및 도덕성 지도 = 391
제14장 청소년기의 내적 문제 행동 : 정신적 장애 = 395
1. 청소년기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 396
(1) 정신병리의 결정적 시기 = 396
(2)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자원 = 398
(3) 스트레스 대처 = 402
2. 청소년기의 내적 문제행동 = 404
(1) 우울 = 404
(2) 자살 = 411
(3) 섭식장애 = 417
(4) 약물과 알코올 남용 = 423
제15장 청소년기의 외적 문제 행동 : 비행 = 429
1. 청소년 문제행동의 의미 = 430
(1) 청소년문제의 개념 = 430
(2) 청소년문제에 대한 의식 = 433
2. 청소년비행의 의미와 비행화의 요인 = 435
(1) 청소년비행의 의미와 성격 = 435
(2) 청소년 비행화의 요인 = 438
3. 청소년비행의 원인론 = 445
(1) 비행의 유전 및 생물학적 원인 = 445
(2) 비행의 심리학적 원인 = 448
(3) 비행의 사회학적 원인 = 452
4. 청소년비행의 교정과 교화 = 460
(1) 교정교화의 이념 = 460
(2) 선도시설의 현황과 문제점 = 461
(3) 비행청소년 선도정책의 주요 과제 = 467
5. 청소년비행의 구체적 형태 = 471
(1) 청소년 폭력 = 471
(2) 청소년 가출 = 478
참고문헌 =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