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행정학의 일반적 이해
제1장 현대사회와 행정
Ⅰ. 일상생활에서 행정과의 관련 = 4
Ⅱ. 행정이란 무엇인가? = 5
1. 개념정의의 곤란성 = 5
2. 행정과 관련된 주요 개념들 = 6
3. 행정의 개념 = 8
제2장 행정학의 발전
Ⅰ. 행정학의 성립배경 = 11
1. 고대행정 = 11
2. 중세행정 = 13
3. 근대행정 = 15
Ⅱ. 미국 행정학의 발전 = 19
1. 전통이론의 시기(1887년부터) = 19
2. 정치학의 시기(1930년대부터) = 29
3. 정책학의 시기(1950년대부터) = 35
4. 다양한 시각의 시기 = 40
Ⅲ. 한국 행정학의 발전 = 42
1. 행정학의 도입 이전 = 42
2. 행정학의 도입 : 무비판적 미국 행정이론 도입과 반성 = 43
3. 한국 행정연구의 과제 = 44
제3장 21세기 사회의 특성과 행정의 방향
Ⅰ. 21세기 사회의 특성 = 46
1. 새로운 사회로의 변화 = 46
2. 21세기 사회의 특성들 = 46
Ⅱ. 행정이 나아갈 방향 = 58
1. 행정의 정보화 = 58
2. 행정의 세계화 = 60
3. 행정의 분권화 = 61
4. 행정의 친환경화 = 63
5. 탈현대주의 = 65
제4장 행정학 연구 방법론
Ⅰ. 과학이란 무엇인가? = 68
Ⅱ. 과학적 방법 = 69
1. 과학적 방법의 의미 = 69
2. 과학적 이론의 기능 = 70
3. 과학적 이론의 우수성 = 71
Ⅲ. 행정학의 과학성 = 72
1. 행정학이 과학이 될 수 있는가? = 72
2. 행정학이 과학이어야만 하는가? = 75
3. 철학적·담론적 탐색의 필요성 = 76
Ⅳ. 연구방법론의 유형 및 일반적 연구절차 = 76
1. 연구방법론의 의미 = 76
2. 방법론의 유형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 = 77
3. 행정학 연구의 논리와 일반적 절차 = 79
Ⅴ. 주요 연구방법론들 = 84
1. 공공선택론 = 84
2. 신제도주의 = 93
3. 현상학 = 101
제2부 관리로서의 행정
제5장 공공부문에서의 조직 관리
Ⅰ. 조직의 개념과 유형 = 110
1. 조직이란 무엇인가? = 110
2. 조직의 유형 = 111
Ⅱ. 조직의 구조 = 118
1. 우리 나라 정부조직의 구조 = 118
2. 관료제 조직을 넘어서 : 새로운 형태의 조직구조 = 120
Ⅲ. 조직과 개인 = 124
1. 인성이론 = 124
2. 동기부여이론 = 126
3. 인간형 연구 = 142
제6장 공공부문에서의 인력 관리
Ⅰ. 인력 관리의 변천 : 엽관주의와 실적주의 = 151
1. 엽관주의 = 151
2. 실적주의의 발전 = 151
3. 엽관주의의 재인식 = 155
Ⅱ. 명예로운 생애직으로서의 공직 : 직업공무원제 = 156
1. 직업공무원제의 의의 = 156
2. 직업공무원제와 폐쇄형·개방형과의 관계 = 156
3. 직업공무원제의 전망 = 157
Ⅲ. 중앙인사기관 = 158
1. 중앙인사기관의 의의 = 158
2. 중앙인사기관의 조직형태 = 158
3. 중앙인사기관의 기능 = 161
4. 우리 나라 중앙인사기관의 현황과 개선방향 = 163
Ⅳ. 공무원의 범위와 종류 = 165
1. 경력직과 특수 경력직의 구분 = 165
2. 정무관과 행정관 = 167
Ⅴ. 공직 분류의 기준 = 168
1. 업무를 중심으로 한 공직 분류 : 직위분류제 = 169
2. 삶을 중심으로 한 공직분류 : 계급제 = 173
3.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의 비교 = 175
4.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의 평가·전망 = 177
Ⅵ. 인적 자원의 전략적 관리 = 178
1. 모집 = 178
2. 시험 = 179
3. 교육·훈련 = 180
4. 근무성적 평정 = 182
제7장 공공부문에서의 예산 관리
Ⅰ. 예산 관리를 위한 조직과 예산의 종류 = 189
1. 예산의 개념과 기능 = 189
2. 효율적 예산 관리를 위한 조직 : 중앙예산기관 = 192
3. 예산의 범위와 회계의 구분 = 194
Ⅱ. 예산제도 = 200
1. 통제 중심의 예산제도 : 품목별 예산 = 201
2. 효율 중심의 예산제도 : 성과주의 예산 = 202
3. 목표 중심의 예산제도 : 기획 예산 = 205
4. 우선순위 중심의 예산제도 : 영기준 예산 = 208
5. 계획과 예산간의 연계 강화 : 자본예산 = 209
6. 기업형 예산제도 = 210
Ⅲ. 정부회계의 개혁 = 212
1. 회계와 정부회계 = 212
2. 우리 나라 정부회계의 평가 = 213
3. 정부회계의 개혁 방향 : 발생주의 회계와 복식부기의 도입 = 214
Ⅳ. 예산과정 = 216
1. 순환과정으로서의 예산과정 = 216
2. 예산 편성 = 217
3. 예산 심의 = 217
4. 예산 집행 = 219
5. 결산과 회계검사 = 222
제8장 전략적 기획
Ⅰ. 전략적 기획의 개념 = 224
1. '전략적'이라는 개념 = 224
2. 기획의 개념 = 226
3. 전략적 기획의 개념 = 227
Ⅱ. 전략적 기획의 주요 접근법 = 228
1. 일반적 접근법 = 228
2. 내용 접근법 = 231
3. 과정 접근법 = 233
Ⅲ. 공공부문에서의 전략적 기획 = 235
1. 전략적 기획에 대한 합의 = 235
2. 조직규정 파악 = 236
3. 조직의 사명 및 가치 파악 = 236
4. 전략적 쟁점 구체화 = 237
5. 전략적 관리 = 237
제3부 정치로서의 행정
제9장 정부조직 내부의 정치현상
Ⅰ. 관료제 내부의 정치적 행위자 = 242
1. 직업관료 = 242
2. 대통령 = 246
3. 임명직 및 선출직 공무원 = 246
Ⅱ. 부처간의 정치적 관계 = 248
1. 부처간의 정치적 관계 형성요인 = 248
2. 공동 목적을 수행하는 다양한 조직집단의 특징 = 250
Ⅲ.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정치적 관계 = 251
1. 정부간 정치적 관계의 형성 요인 = 251
2. 정부간 정치적 현상 = 251
Ⅳ. 정치적 관계에서 영향력 행사방법 = 253
1. 권위의 확보 = 253
2. 설득 = 254
3. 협상 = 255
4. 핵심 직위 : 지위, 강제력, 실권 = 260
제10장 행정환경과의 정치적 관계
Ⅰ. 국회 = 262
1. 행정부와 국회의 정치적 관계 = 262
2. 국회의 정치적 자원 = 263
3. 국회에 영향력을 미치기 위한 행정부의 전략 = 264
Ⅱ. 이익집단 = 267
1. 행정부와 이익집단의 상호 관계 = 267
2. 이익집단의 종류 = 268
3. 이익집단의 활동방식과 활동대상 = 269
4. 행정부와 이익집단의 정치적 관계에 관한 관점 = 271
5. 이익집단의 정치적 자원 = 273
Ⅲ. 언론 = 274
Ⅳ. 시민 = 275
1. 시민에 대한 인식 변화 = 275
2. 시민과 관련된 용어 = 276
3. 시민과 행정과의 관계 = 277
Ⅴ. 여론 = 279
제11장 관료제의 책임, 통제 및 창의성
Ⅰ. 행정책임 = 282
1. 기대망과 책임 = 282
2. 행정책임의 유형 = 283
3. 책임의 관리 = 289
Ⅱ. 관료제의 통제 = 289
1. 내부의 공식적 통제 = 290
2. 내부의 비공식적 통제 = 291
3. 외부의 공식적 통제 = 291
4. 외부의 비공식적 통제 = 294
Ⅲ. 관료제의 창의성 = 294
1. 관료가 비창의적인 이유 : 관성력 = 295
2. 창의적 관료가 되기 위한 방안 : 변화력 = 296
제12장 공유된 권력세계에 있어서 지도력
Ⅰ. 지도력의 개념 = 298
Ⅱ. 지도력이론의 변천 = 298
1. 자질이론 = 299
2. 행태이론 = 300
3. 상황이론 = 300
4. 거래적 지도력과 변환적 지도력 = 301
Ⅲ. 공유된 권력세계에서의 지도력 = 306
1. 변화 관리적 지도력 = 306
2. 개인 지향적 지도력 = 307
3. 이상을 제시하는 지도력 = 307
4. 팀 지도력 = 308
5. 윤리적 지도력 = 309
6. 정치적 지도력 = 309
7. 정책 지도력 = 309
Ⅳ. 지도자 유형 = 310
1. Miller의 생활주기에 따른 지도자 유형 = 310
2. Maccoby의 지도자 유형에 관한 연구 = 311
3. 새로운 지도자 패러다임 = 316
제4부 정책으로서의 행정
제13장 정책학에 대한 일반적 이해
Ⅰ. 정책학의 발전과 학문적 특성 = 320
1. 정책학의 대두 = 320
2. 정책학의 학문적 특성 = 321
3. 정책학의 전망 = 323
Ⅱ. 정책의 개념과 유형 = 324
1. 정책의 개념 = 324
2. 정책의 유형 = 326
3. 관련 용어들 = 329
제14장 정책분석
Ⅰ. 정책분석의 개념 및 정책분석가의 역할 = 332
1. 정책분석이란 무엇인가? = 332
2. 정책분석가의 역할 = 332
3. 정책분석가의 윤리 = 334
Ⅱ. 정책분석을 위한 기초이론 = 334
1. 시장실패이론 = 334
2. 정부실패이론 = 344
3. 정부의 역할범위에 관한 논의 = 351
Ⅲ. 정책분석의 기준 = 352
1. 분석기준으로서 소망성과 실현 가능성 = 352
2. 효율성 = 352
3. 형평성 = 356
4. 가외성 = 362
Ⅳ. 정책분석을 위한 기법들 = 363
1. 관리과학 = 363
2. 비용 - 편익분석 = 369
제15장 정책과정
Ⅰ. 정책과정 = 375
1. 다차원적·순환적 정책과정 = 375
2. 주요 단계들 = 377
Ⅱ. 의제설정과정 = 380
1. 의제설정과정에 관한 주요 논점 = 380
2. 정책의제의 개념과 유형 = 381
3. 정책의제설정과정에 관한 이론의 발전 = 383
4. 문제 = 385
Ⅲ. 정책결정과정 = 389
1. 포괄적·합리모형 = 390
2. 점변모형 = 394
3. 쓰레기통모형(Garbage Can Model) = 401
4. Allison모형 = 404
Ⅳ. 정책집행과정 = 408
1. 정책집행의 개념 = 408
2. 정책집행 연구와 기존 행정학 연구의 차이 = 410
3. 정책집행모형 = 412
4. 정책집행 연구를 위한 접근법들 = 420
제16장 정책평가
Ⅰ. 정책평가의 개념과 유형 = 426
1. 정책평가방법의 발전과 한계 = 426
2. 정책평가의 개념 = 427
3. 정책평가의 유형 = 430
Ⅱ. 정책평가의 목적과 기준 = 435
1. 정책평가의 목적 = 435
2. 정책평가의 기준 = 437
Ⅲ. 정책평가 모형 = 440
1. 양적 평가방법 = 440
2. 질적 평가방법 = 447
참고문헌 = 451
인명색인 = 462
사항색인 =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