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1
제2장 음소 = 17
2.1 음소의 심리적 실재 = 18
2.2 음소의 정의와 그 발전 = 20
2.3 음소설정의 원리 = 24
2.4 음소와 변이음 = 26
2.5 음운분석과 그 문제점 = 27
2.5.1 음운중복(Phonemic Overlapping) = 29
2.5.2 층위의 혼동(Level Mixing) = 32
2.6 음소론의 쇠퇴 = 33
제3장 변별자질의 탄생 = 35
3.1 변별자질이론의 탄생근거 = 37
3.1.1 변별자질이 필요한 이유 = 40
3.1.1.1 음소배열론 = 40
3.1.1.2 규칙의 형식화 = 44
3.1.1.3 외적인 증거 = 49
3.2 변별자질이론 = 51
3.2.1 변별자질이론들 = 52
3.2.1.1 Trubetzkoy의 자질이론 = 53
3.2.1.2 Jakobson의 이론 = 56
3.2.1.3 SPE의 자질이론 = 58
3.2.1.3.1 SPE 자질이론의 문제점 = 59
제4장 미표시 자질이론 = 65
4.1 미표시 자질이론의 일반원리 = 66
4.1.1 Yawelmani 모음들과 미표시 = 70
4.1.1.1 원순음조화(Rounding harmony) = 71
4.1.1.2 잉여 규칙들(Redundancy rules) = 74
4.2 미표시 표현의 특성 = 80
4.2.1. 투명성(Transprancy) = 81
4.2.2 무표시 분절음들(Unspecified Segments) = 84
4.2.2.1 순응성(Malleability) = 84
4.2.2.2 가필(Interpolation) = 87
4.2.3 중화(Neutralization) = 88
4.3 미표시 이론의 여러 모델 = 89
제5장 자질계층이론 = 93
5.1 비선형음운이론 = 94
5.1.1 연결선의 확산과 삭제 = 97
5.1.2 OCP의 역할 = 99
5.2 자질계층이론 = 101
5.2.1 Mohanan의 이론 = 103
5.2.2 Clements(1985)의 이론 = 104
5.2.3 Sagey의 이론 = 110
5.2.4 McCarthy의 이론 = 115
제6장 자질이론의 문제점해결과 미해결의 문제 = 119
6.1 부자연스런 규칙 = 120
6.2 복합분절음의 표기 = 121
6.3 분절음의 대비 = 128
6.4 자음자질과 모음자질의 분리와 통일 = 131
6.4.1 자음자질과 모음자질의 분리 = 132
6.4.2 자음자질과 모음자질의 통일 = 137
제7장 자질계층이론의 수정과 음운현상의 분류 = 149
7.1 자질계층이론의 수정 = 149
7.1.1 설전음의 무표성 = 153
7.1.2 자질[grave]의 도입 = 159
7.1.3 Clements(1991) 자질계층이론의 수정 = 164
7.2 음운현상의 분리 = 166
7.2.1 음운구조 = 166
7.2.2 자질면의 통합 = 168
7.2.3 선형음운현상과 비선형음운현상 = 172
제8장 자질이론의 활약 = 175
8.1 선형음운현상 = 176
8.1.1 동화현상 = 176
8.1.2 자질면의 통합과 OCP효과 = 184
8.2 비선형음운현상 = 191
8.3 공허(vacuous)한 자질면의 통합 = 196
8.4 국어의 모음조화 = 204
제9장 설전음의 조음점자질 미표시에 대한 재고 = 207
9.1 설전음의 미표시에 대한 반증들 = 208
9.1.1 구개음화(Palatalization) = 211
9.1.2 종성(어말자음)의 동화 = 212
9.1.3 자음의 연음 현상 = 213
9.1.4 설전음의 투명성에 대한 반증 = 215
9.2 자음과 모음의 자질통일 = 218
9.2.1 전설모음의 조음점자질이 [cor]일 가능성 = 219
9.2.2 [cor]모음의 조음점자질은 미표시 되어야 하는가? = 221
9.3 연결선의 확산과 삭제 = 223
제10장 결론 = 225
참고문헌 = 230
찾아보기 =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