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거시경재학의 기초
제1장 거시경제학의 과제와 방법
1.1 거시경제학의 정의 = 4
1.2 거시경제학의 과제 = 6
1.3 거시경제학의 발전과정 = 8
1.4 거시경제학의 접근방법 = 11
1. 고전학파적 접근방법 = 11
2. 케인즈적 접근방법 = 13
제2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국민소득의 제개념
2.1 경제순환의 과정 = 16
2.2 국민소득의 제개념과 그 한계 = 20
1. 국민소득의 제개념과 삼면등가의 원칙 = 21
2. GNP 개념의 한계 = 30
제3장 국민소득수준의 결정과 그 변화
3.1 국민소득수준의 결정 = 34
1. 단순거시경제모형에서의 균형국민소득수준의 결정 = 35
2. 정부부문의 도입과 균형국민소득수준의 결정 = 48
3. 해외부문의 도입과 균형국민소득수준의 결정 = 52
3.2 국민소득수준의 변화 = 56
1. 승수 및 그 효과 = 57
2. 승수이론의 한계 = 72
3.3 인플레이션 갭과 디플레이션 갭 = 74
1. 인플레이션 갭 = 75
2. 디플레이션 갭 = 76
제2편 총수요와 그 결정요인
제4장 소비함수론
4.1 케인즈의 소비함수론과 소비함수논쟁 = 82
1. 케인즈의 소비함수론 = 82
2. 소비함수논쟁 = 86
4.2 상대소득가설 = 88
4.3 유동자산가설 = 92
4.4 항상소득가설 = 94
4.5 습관형성가설 = 98
4.6 라이프사이클 가설 = 99
제5장 투자함수론
5.1 투자의 개념과 그 종류 = 106
5.2 투자함수 = 108
1. 투자의 현재가치법 = 108
2. 투자의 한계효율법 = 112
3. 가속도원리 = 115
4. 이윤원리 = 118
5. 자본스톡조정원리 = 120
6. 신고전학파 투자이론 = 122
7. 토빈의 q이론 = 124
제3편 거시경제의 전체균형
제6장 거시경제의 수요측면의 균형
6.1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IS곡선 = 130
1.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IS곡선의 도출 = 130
2. IS곡선의 이동 = 140
3. 생산물시장의 불균형과 그 조정 = 144
6.2 화폐시장의 균형과 LM곡선 = 146
1. 화폐의 정의 = 146
2. 화폐의 수요와 공급 = 148
3. 화폐시장의 균형과 LM곡선의 도출 = 169
6.3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적 균형 = 183
1. 동시적 균형과 그 안정성 = 183
2. 재정·금융정책의 효과와 한계 = 187
6.4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적 균형과 총수요곡선 = 202
1. 총수요곡선의 도출 = 202
2. 총수요곡선의 이동 = 207
6.5 IS·LM분석의 한계 = 211
(보론) 케인즈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 212
1. 재고이론적 접근에 의한 거래적 화폐수요이론 = 213
2. 확률적 분포이론에 의한 예비적 화폐수요이론 = 217
3. 자산선택론적 접근에 의한 투기적 화폐수요이론 = 219
제7장 거시경제의 공급측면의 균형
7.1 총생산함수 = 225
7.2 노동시장의 균형 = 227
1. 노동의 수요 = 227
2. 노동의 공급 = 231
3. 노동시장의 균형과 그 이동 = 238
7.3 노동시장의 균형과 총공급곡선 = 244
1. 총공급곡선의 도출 = 244
2. 총공급곡선의 이동 = 251
제8장 거시경제 전체의 균형과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8.1 경제전체의 균형 = 256
8.2 경제전체의 균형과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257
1. 고전학파와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258
2. 케인즈학파와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262
제9장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균형
9.1 국제수지와 그 균형 = 272
1. 국제수지의 개념 = 273
2. 국제수지균형과 환율 = 275
9.2 개방경제하의 대내외균형 = 278
1. 개방경제하의 대내균형 = 278
2. 개방경제하의 대외균형 = 288
3. 개방경제하의 대내외 동시균형 = 299
9.3 개방경제하의 전체균형 = 304
9.4 개방경제하의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305
1. 고정환율제도하의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305
2. 변동환율제도하의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308
(보론) 국제수지표의 개편 = 312
제4편 인플레이션과 실업
제10장 인플레이션
10.1 인플레이션의 정의와 그 유형 = 318
1. 인플레이션의 정의 = 318
2. 인플레이션의 유형 = 320
10.2 인플레이션의 경제적 영향 = 322
10.3 인플레이션의 원인 = 325
1. 수요견인설 = 325
2. 비용인상설 = 332
3. 혼합형 인플레이션이론 = 337
10.4 인플레이션의 동학적 분석 = 339
1. 인플레이션형 총수요곡선과 인플레이션형 총공급곡선 = 341
2. 인플레이션율의 결정 = 348
10.5 인플레이션 대책 = 352
1. 총수요억제정책 = 353
2. 비용인상억제정책 = 354
3. 구조개선정책 = 356
제11장 실업
11.1 실업의 정의와 그 형태 = 358
1. 실업의 정의 = 358
2. 실업의 형태 = 359
11.2 실업의 이론 = 365
1. 고전학파의 고용이론 = 365
2. 케인즈의 고용이론 = 368
11.3 실업대책 = 370
1. 총수요관리정책 = 371
2. 노동시장정책 = 373
제12장 필립스곡선
12.1 필립스곡선의 의미 = 376
1. 필립스곡선 = 377
2. 수정된 필립스곡선 = 381
12.2 인플레이션기대의 도입과 자연실업률가설 = 389
1. 기대조정 필립스곡선 = 389
2. 자연실업률가설 = 387
제5편 거시경제의 동태분석
제13장 경기변동론
17.1 경기변동의 정의 = 394
13.2 경기변동의 국면 = 394
13.3 경기변동의 종류 = 397
1. 장기파동 = 398
2. 중기파동 = 399
3. 단기파동 = 399
4. 건축순환 = 400
13.4 경기변동이론 = 402
1. 케인즈 이전의 경기변동이론 = 403
2. 케인즈 이후의 경기변동이론 = 407
3. 균형경기변동이론 = 424
13.5 경기변동의 예측과 그 대책 = 433
1. 경기변동의 예측 = 433
2. 경기대책 = 436
제14장 경제성장론
14.1 경제성장의 의미 = 439
14.2 경제성장의 요인 = 440
1. 경제성장 요인 = 440
2. 성장요인의 분해 = 442
14.3 경제성장이론 = 443
1. 해로드·도마의 경제성장이론 = 445
2. 신고전학파의 경제성장이론 = 454
3. 내생적 성장이론 = 466
제6편 거시경제학의 조류
제15장 케인즈의 거시경제학
15.1 케인즈의 고전학파 경제학 비판 = 476
15.2 유효수요의 원리 = 480
15.3 총수요관리정책 = 484
15.4 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 = 486
제16장 통화주의
16.1 통화주의의 이론적 기초 = 492
16.2 케인즈적 재량정책에 대한 비판 = 493
16.3 통화주의의 금융정책 = 498
1. 금융정책의 지표 = 498
2. 금융정책의 준칙 = 500
제17장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
17.1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의 이론적 기초 = 503
1. 합리적 기대이론 = 503
2.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의 기본 특징 = 506
17.2 새고전학파와 경제정책 효과 = 507
17.3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의 의의와 문제점 = 512
제18장 공급중시경제학
18.1 공급중시경제학의 기본특징 = 516
18.2 래퍼곡선 = 517
18.3 공급중시경제학의 의의와 문제점 = 519
제19장 새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
19.1 새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의 기본특징 = 523
19.2 새케인즈학파의 가격경직성이론 = 525
1. 효율임금가설 = 525
2. 신용할당이론 = 530
3. 메뉴비용모델 = 531
19.3 새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의 의의와 문제점 = 535
색인 =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