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巨視經濟學

巨視經濟學 (Loan 6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신태곤
Title Statement
巨視經濟學 / 辛泰坤 著.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法文社 ,   2000.  
Physical Medium
xiv, 542 p. : 삽도 ; 24 cm.
Series Statement
經濟學叢書
ISBN
8918102151
General Note
색인포함  
000 00593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66874
005 20100806025447
007 ta
008 000616s2000 ulka 001a kor
020 ▼a 8918102151 ▼g 93320: ▼c \2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59408 ▼l 111159409 ▼l 111159410
082 0 4 ▼a 339 ▼2 21
090 ▼a 339 ▼b 2000d
100 1 ▼a 신태곤 ▼0 AUTH(211009)131033
245 1 0 ▼a 巨視經濟學 / ▼d 辛泰坤 著.
260 ▼a 서울 : ▼b 法文社 , ▼c 2000.
300 ▼a xiv, 542 p. : ▼b 삽도 ; ▼c 24 cm.
490 0 0 ▼a 經濟學叢書
500 ▼a 색인포함
950 0 ▼b \230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9 2000d Accession No. 11115940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9 2000d Accession No. 1111594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9 2000d Accession No. 1111594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편 거시경재학의 기초

 제1장 거시경제학의 과제와 방법

  1.1 거시경제학의 정의 = 4

  1.2 거시경제학의 과제 = 6

  1.3 거시경제학의 발전과정 = 8

  1.4 거시경제학의 접근방법 = 11

   1. 고전학파적 접근방법 = 11

   2. 케인즈적 접근방법 = 13

 제2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국민소득의 제개념

  2.1 경제순환의 과정 = 16

  2.2 국민소득의 제개념과 그 한계 = 20

   1. 국민소득의 제개념과 삼면등가의 원칙 = 21

   2. GNP 개념의 한계 = 30

 제3장 국민소득수준의 결정과 그 변화

  3.1 국민소득수준의 결정 = 34

   1. 단순거시경제모형에서의 균형국민소득수준의 결정 = 35

   2. 정부부문의 도입과 균형국민소득수준의 결정 = 48

   3. 해외부문의 도입과 균형국민소득수준의 결정 = 52

  3.2 국민소득수준의 변화 = 56

   1. 승수 및 그 효과 = 57

   2. 승수이론의 한계 = 72

  3.3 인플레이션 갭과 디플레이션 갭 = 74

   1. 인플레이션 갭 = 75

   2. 디플레이션 갭 = 76

제2편 총수요와 그 결정요인

 제4장 소비함수론

  4.1 케인즈의 소비함수론과 소비함수논쟁 = 82

   1. 케인즈의 소비함수론 = 82

   2. 소비함수논쟁 = 86

  4.2 상대소득가설 = 88

  4.3 유동자산가설 = 92

  4.4 항상소득가설 = 94

  4.5 습관형성가설 = 98

  4.6 라이프사이클 가설 = 99

 제5장 투자함수론

  5.1 투자의 개념과 그 종류 = 106

  5.2 투자함수 = 108

   1. 투자의 현재가치법 = 108

   2. 투자의 한계효율법 = 112

   3. 가속도원리 = 115

   4. 이윤원리 = 118

   5. 자본스톡조정원리 = 120

   6. 신고전학파 투자이론 = 122

   7. 토빈의 q이론 = 124

제3편 거시경제의 전체균형

 제6장 거시경제의 수요측면의 균형

  6.1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IS곡선 = 130

   1.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IS곡선의 도출 = 130

   2. IS곡선의 이동 = 140

   3. 생산물시장의 불균형과 그 조정 = 144

  6.2 화폐시장의 균형과 LM곡선 = 146

   1. 화폐의 정의 = 146

   2. 화폐의 수요와 공급 = 148

   3. 화폐시장의 균형과 LM곡선의 도출 = 169

  6.3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적 균형 = 183

   1. 동시적 균형과 그 안정성 = 183

   2. 재정·금융정책의 효과와 한계 = 187

  6.4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적 균형과 총수요곡선 = 202

   1. 총수요곡선의 도출 = 202

   2. 총수요곡선의 이동 = 207

  6.5 IS·LM분석의 한계 = 211

  (보론) 케인즈 화폐수요이론의 발전 = 212

   1. 재고이론적 접근에 의한 거래적 화폐수요이론 = 213

   2. 확률적 분포이론에 의한 예비적 화폐수요이론 = 217

   3. 자산선택론적 접근에 의한 투기적 화폐수요이론 = 219

 제7장 거시경제의 공급측면의 균형

  7.1 총생산함수 = 225

  7.2 노동시장의 균형 = 227

   1. 노동의 수요 = 227

   2. 노동의 공급 = 231

   3. 노동시장의 균형과 그 이동 = 238

  7.3 노동시장의 균형과 총공급곡선 = 244

   1. 총공급곡선의 도출 = 244

   2. 총공급곡선의 이동 = 251

 제8장 거시경제 전체의 균형과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8.1 경제전체의 균형 = 256

  8.2 경제전체의 균형과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257

   1. 고전학파와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258

   2. 케인즈학파와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262

 제9장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균형

  9.1 국제수지와 그 균형 = 272

   1. 국제수지의 개념 = 273

   2. 국제수지균형과 환율 = 275

  9.2 개방경제하의 대내외균형 = 278

   1. 개방경제하의 대내균형 = 278

   2. 개방경제하의 대외균형 = 288

   3. 개방경제하의 대내외 동시균형 = 299

  9.3 개방경제하의 전체균형 = 304

  9.4 개방경제하의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305

   1. 고정환율제도하의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305

   2. 변동환율제도하의 재정·금융정책의 효과 = 308

   (보론) 국제수지표의 개편 = 312

제4편 인플레이션과 실업

 제10장 인플레이션

  10.1 인플레이션의 정의와 그 유형 = 318

   1. 인플레이션의 정의 = 318

   2. 인플레이션의 유형 = 320

  10.2 인플레이션의 경제적 영향 = 322

  10.3 인플레이션의 원인 = 325

   1. 수요견인설 = 325

   2. 비용인상설 = 332

   3. 혼합형 인플레이션이론 = 337

  10.4 인플레이션의 동학적 분석 = 339

   1. 인플레이션형 총수요곡선과 인플레이션형 총공급곡선 = 341

   2. 인플레이션율의 결정 = 348

  10.5 인플레이션 대책 = 352

   1. 총수요억제정책 = 353

   2. 비용인상억제정책 = 354

   3. 구조개선정책 = 356

 제11장 실업

  11.1 실업의 정의와 그 형태 = 358

   1. 실업의 정의 = 358

   2. 실업의 형태 = 359

  11.2 실업의 이론 = 365

   1. 고전학파의 고용이론 = 365

   2. 케인즈의 고용이론 = 368

  11.3 실업대책 = 370

   1. 총수요관리정책 = 371

   2. 노동시장정책 = 373

 제12장 필립스곡선

  12.1 필립스곡선의 의미 = 376

   1. 필립스곡선 = 377

   2. 수정된 필립스곡선 = 381

  12.2 인플레이션기대의 도입과 자연실업률가설 = 389

   1. 기대조정 필립스곡선 = 389

   2. 자연실업률가설 = 387

제5편 거시경제의 동태분석

 제13장 경기변동론

  17.1 경기변동의 정의 = 394

  13.2 경기변동의 국면 = 394

  13.3 경기변동의 종류 = 397

   1. 장기파동 = 398

   2. 중기파동 = 399

   3. 단기파동 = 399

   4. 건축순환 = 400

  13.4 경기변동이론 = 402

   1. 케인즈 이전의 경기변동이론 = 403

   2. 케인즈 이후의 경기변동이론 = 407

   3. 균형경기변동이론 = 424

  13.5 경기변동의 예측과 그 대책 = 433

   1. 경기변동의 예측 = 433

   2. 경기대책 = 436

 제14장 경제성장론

  14.1 경제성장의 의미 = 439

  14.2 경제성장의 요인 = 440

   1. 경제성장 요인 = 440

   2. 성장요인의 분해 = 442

  14.3 경제성장이론 = 443

   1. 해로드·도마의 경제성장이론 = 445

   2. 신고전학파의 경제성장이론 = 454

   3. 내생적 성장이론 = 466

제6편 거시경제학의 조류

 제15장 케인즈의 거시경제학

  15.1 케인즈의 고전학파 경제학 비판 = 476

  15.2 유효수요의 원리 = 480

  15.3 총수요관리정책 = 484

  15.4 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 = 486

 제16장 통화주의

  16.1 통화주의의 이론적 기초 = 492

  16.2 케인즈적 재량정책에 대한 비판 = 493

  16.3 통화주의의 금융정책 = 498

   1. 금융정책의 지표 = 498

   2. 금융정책의 준칙 = 500

 제17장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

  17.1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의 이론적 기초 = 503

   1. 합리적 기대이론 = 503

   2.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의 기본 특징 = 506

  17.2 새고전학파와 경제정책 효과 = 507

  17.3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의 의의와 문제점 = 512

 제18장 공급중시경제학

  18.1 공급중시경제학의 기본특징 = 516

  18.2 래퍼곡선 = 517

  18.3 공급중시경제학의 의의와 문제점 = 519

 제19장 새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

  19.1 새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의 기본특징 = 523

  19.2 새케인즈학파의 가격경직성이론 = 525

   1. 효율임금가설 = 525

   2. 신용할당이론 = 530

   3. 메뉴비용모델 = 531

  19.3 새케인즈학파 거시경제학의 의의와 문제점 = 535

색인 = 53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