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ⅹⅲ
제1장 서론 = 1
1.1 언어의 중요성 = 1
1.2 언어의 기능 = 2
1.3 담화와 의사소통 = 3
1.4 담화와 텍스트 = 5
1.5 텍스트성 = 7
1.5.1 응결성 = 9
1.5.2 응집성 = 10
1.5.3 의도성 = 12
1.5.4 용인성 = 13
1.5.5 정보성 = 16
1.5.6 상황성 = 17
1.5.7 상호텍스트성 = 18
1.6 담화 상황 = 18
1.7 담화의 분류 = 20
제2장 담화 자질 = 25
2.1 정보의 유형 = 25
2.2 한정성과 특정성 = 35
2.3 의사소통 역량 = 38
2.4 감정이입 = 39
2.5 요약 = 52
제3장 주제 = 55
3.1 주제의 개념 = 55
3.1.1 주제의 기능 = 56
3.1.2 주제의 선택 = 56
3.2 주제의 표현 = 58
3.2.1 주제 표현의 특성 = 58
3.2.2 주제의 수 = 59
3.3 주제의 유형 = 61
3.3.1 무표적 주제 = 61
3.3.2 유표적 주제 = 62
3.4 주제화와 어순 변형 = 62
3.4.1 주제화 = 63
3.4.2 좌향전위 = 68
3.4.3 우향전위 = 71
3.4.4 수동화 = 73
3.5 요약 = 84
제4장 초점 = 87
4.1 초점의 개념 = 87
4.2 초점의 표현 = 88
4.2.1 음운적 방법 = 88
4.2.2 통사적 방법 = 89
4.2.3 초점의 수 = 90
4.3 초점의 유형 = 92
4.3.1 문미 초점 = 92
4.3.2 대조적 초점 = 94
4.4 초점화 부가어 = 95
4.4.1 부가어의 유형 = 95
4.4.2 부가어의 위치 = 97
4.5 초점화와 어순 변형 = 101
4.5.1 There 삽입 = 102
4.5.2 서술어 도치 = 107
4.5.3 문주어 외치 = 113
4.5.4 관계절 외치 = 115
4.5.5 여격이동 = 118
4.5.6 분리구문 = 121
4.6 요약 = 126
제5장 지시 = 129
5.1 지시의 개념 = 129
5.2 지시의 유형 = 130
5.2.1 상황적 지시 = 130
5.2.2 문맥적 지시 = 130
5.3 지시 표현 = 131
5.3.1 한정적 표현 = 132
5.3.1.1 고유명사 = 132
5.3.1.2 한정 명사구 = 132
5.3.1.3 인칭대명사 = 136
5.3.1.4 소유사 = 140
5.3.1.5 재귀대명사 = 141
5.3.1.6 지시사 = 142
5.3.2 비한정적 표현 = 151
5.4 요약 = 154
제6장 생략 = 155
6.1 생략의 개념 = 155
6.2 생략의 특성 = 155
6.2.1 맥락의존성 = 156
6.2.2 복원가능성 = 156
6.2.3 동일성 = 158
6.2.4 선택성 = 159
6.3 생략의 동기 = 160
6.3.1 경제성 = 160
6.3.2 정보성 = 161
6.3.3 응결성 = 164
6.4 생략의 유형 = 165
6.4.1 문맥 생략 = 165
6.4.2 상황 생략 = 167
6.4.3 구조적 생략 = 168
6.4.4 전보적 생략 = 169
6.5 요약 = 171
제7장 대용 = 173
7.1 대용의 개념 = 173
7.2 대용의 특성 = 174
7.2.1 맥락의존성 = 174
7.2.2 복원가능성 = 175
7.3 대용의 동기 = 177
7.3.1 경제성 = 177
7.3.2 정보성 = 178
7.3.3 응결성 = 179
7.4 대용의 유형 = 179
7.4.1 명사 대용 = 180
7.4.2 동사 대용 = 186
7.4.3 절 대용 = 191
7.5 요약 = 196
제8장 직시 = 199
8.1 직시의 개념 = 199
8.2 직시의 중심 = 200
8.2.1 무표적 중심 = 200
8.2.2 유표적 중심 = 201
8.3 직시적 표현 = 202
8.3.1 제스처 용법 = 202
8.3.2 상징적 용법 = 203
8.4 직시의 유형 = 204
8.4.1 인칭 직시 = 204
8.4.2 장소 직시 = 216
8.4.3 시간 직시 = 218
8.4.4 담화 직시 = 221
8.4.5 사회 직시 = 223
8.5 요약 = 227
제9장 시제 = 231
9.1 시제의 개념 = 231
9.2 시제의 기능 = 232
9.3 시제의 선택 조건 = 234
9.3.1 생동적 표현 = 234
9.3.2 정중한 표현 = 240
9.3.3 화자의 지각 = 242
9.3.4 사건의 유효성 = 244
9.3.5 메시지의 사실성 = 245
9.3.6 개인적 관계 = 248
9.3.7 정보의 유형 = 250
9.4 요약 = 254
제10장 전제 = 255
10.1 전제의 개념 = 255
10.2 역사적 배경 = 255
10.3 언어학적 연구 = 261
10.3.1 의미론적 설명 = 261
10.3.2 문제가 되는 속성 = 273
10.3.2.1 취소가능성 = 273
10.3.2.2 투사 문제 = 273
10.3.3 화용론적 설명 = 281
10.4 요약 = 291
제11장 은유 = 293
11.1 은유의 개념 = 293
11.2 철학적 해석 = 294
11.2.1 대치 이론 = 297
11.2.2 비교 이론 = 299
11.2.3 상호 작용 이론 = 306
11.3 언어학적 해석 = 309
11.3.1 통사론적 해석 = 309
11.3.2 의미론적 해석 = 310
11.3.3 화용론적 해석 = 315
11.4 심리학적 해석 = 322
11.4.1 은유의 분류 = 324
11.4.1.1 구조적 은유 = 324
11.4.1.2 지향적 은유 = 325
11.4.1.3 존재론적 은유 = 326
11.4.2 은유의 특질 = 327
11.4.2.1 관습성 = 327
11.4.2.2 체계성 = 328
11.4.2.3 계층성 = 332
11.4.2.4 비대칭성 = 335
11.4.2.5 문화 관련성 = 335
11.5 요약 = 335
제12장 환유 = 339
12.1 환유의 개념 = 339
12.2 환유의 본질 = 341
12.3 환유와 은유의 구별 = 346
12.4 환유적 개념과 환유 표현 = 351
12.5 환유적 개념과 환유 모델 = 354
12.6 환유적 사고와 환유 사용 = 360
12.7 요약 = 362
참고문헌 = 365
색인 =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