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삶과 글쓰기
1. 활동 초점 = 18
2. 원리 조명 = 18
1. 글 기능에 따른 글쓰기 = 18
(1) 기록으로서의 작문 = 18
(2) 전달로서의 작문 = 19
(3) 표현으로서의 작문 = 19
(4) 문화 창조로서의 작문 = 19
2. 언어와 삶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 20
3. 글쓰기의 목적과 자세 = 21
(1) 글쓰기의 목적 = 21
(2) 글쓰는 자세 = 22
3. 기초 연습 = 23
4. 심화 연습 = 24
제2장 필자의 색안경-관점의 다양성
1. 활동 초점 = 28
2. 원리 조명 = 28
1. 관점의 정의 = 28
(1) 관점의 개념 = 28
(2) 관점에 관련되는 조건들 = 29
2. 다양한 관점과 명확한 조건들 = 30
(1) 필자와 독자의 관계에 따른 관점 = 30
(2) 필자의 대상에 대한 태도에 따른 관점 = 31
3. 창조적이고 다양한 관점 훈련 = 32
(1) 창조적 사고와 독창적 관점 = 32
(2) 다양한 관점 이해와 관점 전환 훈련 = 37
3. 기초 연습 = 42
4. 심화 연습 = 46
제3장 놀부를 위한 변명-고정관념 바꾸기
1. 활동 초점 = 48
2. 원리 조명 = 48
1. 고정 관념은 어떤 것이며, 어떻게 형성되는가? = 48
2. 기존의 관점을 어떻게 바꿀 수 있나? = 49
3. 관점 전환 과정에서 빠지기 쉬운 논리적 오류 = 51
(1) 관련 없는 비유나 지나친 확대 해석 = 53
(2) 사소한 것에 집착 = 53
(3) 공허한 위안 = 54
(4) 농담이나 조롱 = 54
(5) 전건부정과 후건긍정 = 55
3. 기초 연습 = 56
4. 심화 연습 = 65
제4장 쓸거리의 꼬리 잡기
1. 활동 초점 = 68
2. 원리 조명 = 68
1. 글쓰기는 어떤 과정을 밟아 이루어지는가? = 68
2. 쓸거리 정하기에는 어떤 전략이 효과적인가? = 71
3. 잡힌 쓸거리의 꼬리들 = 74
3. 기초 연습 = 82
4. 심화 연습 = 84
제5장 구슬이 서 말이라도
1. 활동 초점 = 90
2. 원리 조명 = 90
1. 다발짓기란 무엇인가? = 90
2. 다발짓기란 어떻게 하는 것인가? = 91
3. 뼈대만들기란 무엇인가? = 95
4. 뼈대만들기가 다발짓기에 도움이 되는가? = 103
3. 기초 연습 = 108
4. 심화 연습 = 111
제6장 문단 세상 구경
1. 활동 초점 = 118
2. 원리 조명 = 118
1. 문단의 특성과 구조 = 118
(1) 문단의 개념 = 118
(2) 문단의 형식 = 121
(3) 문단의 내용과 길이 = 123
(4) 문단 구분의 의의 = 125
2. 문단의 구성 = 127
(1) 중심생각과 대상의 구별 = 127
(2) 문장의 통일성 = 129
(3) 문단의 일관성 = 130
3. 문단 쓰기 = 132
(1) 문단 내 문장의 관계 = 132
(2) 중심 생각 찾기 = 134
(3) 중심 문장 쓰기 = 135
(4) 중심 문장 다듬기 = 140
3. 기초 연습 = 148
4. 심화 연습 = 151
제7장 효과적인 설명
1. 활동 초점 = 154
2. 원리 조명 = 154
1. 설명적인 글은 어떤 글인가? = 154
2. 설명의 기술 방식은 어떤 것들이 있나? = 155
3. 설명문을 잘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155
(1) 대상이나 개념을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정의한다. = 156
(2) 사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알아보기 쉽게 비교 설명한다. = 156
(3) 대상을 범주화해서 설명한다. = 157
(4) 사물이나 개념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분명하게 한다. = 157
(5) 구체적인 예시나 인용을 들어 쉽고 인상 깊게 기술한다. = 158
3. 기초 연습 = 158
4. 심화 연습 = 170
제8장 그림같은 묘사
1. 활동 초점 = 182
2. 원리 조명 = 182
1. 묘사적인 글을 어떤 글인가? = 182
2. 묘사문을 잘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183
(1) 지배적 인상을 중심으로 조화롭게 구성한다. = 183
(2) 감각적 인상을 비유적으로 표현한다. = 184
(3) 자신의 느낌을 창의적으로 명료하게 나타낸다. = 185
3. 기초 연습 = 186
4. 심화 연습 = 202
제9장 서사를 잘 하려면
1. 활동 초점 = 214
2. 원리 조명 = 215
1. 서사에 대하여 = 215
(1) 서사란 무엇인가 = 215
(2) 서사의 요소 = 215
(3) 묘사와 서사 = 215
(4) 서사의 구성 = 216
(5) 서사에서의 시점 = 217
(6) 서사로서의 자서전 = 219
2. 서두와 결말 쓰기 = 220
(1) 서두와 결말의 특징 = 220
(2) 서두 쓰는 기법 = 222
(3) 결말 쓰는 기법 = 224
3. 기초 연습 = 225
4. 심화 연습 = 235
제10장 비평 에세이 쓰기
1. 활동 초점 = 242
2. 원리 조명 = 243
1. 비평 에세이에 대하여 = 243
(1) 비평 에세이란 무엇인가 = 243
(2) 읽기와 쓰기의 관련성 = 245
(3) 비평 의식과 창조성 = 248
(4) 비평 에세이 쓰기의 원리 = 249
2. 시청각 자료와 매체 활용에 관하여 = 253
(1) 다매체적 글쓰기의 필요성 = 253
(2) 시연(Presentation)으로서의 글쓰기 = 254
(3) 시청각 자료와 매체의 활용 원리 = 258
(4) 매체를 활용한 비평 에세이 쓰기 = 261
3. 기초 연습 = 262
4. 심화 연습 = 273
제11장 대중문화 성찰하기
1. 활동 초점 = 278
2. 원리 조명 = 279
1. 대중문화 성찰하기를 담는 글쓰기란 어떤 정신활동인가? = 279
2. 완성된 글쓰기란 어떤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가? = 281
3. 원리 탐구 = 283
3. 기초 연습 = 290
4. 심화 연습 = 298
제12장 광고 들여다보기
1. 활동 초점 = 304
2. 원리 조명 = 305
1. 현대 사회의 광고와 언어 = 305
(1) 광고의 보편성과 기능 = 305
(2) 광고 언어에 담는 정보 = 306
2. 광고 비평하기 = 308
(1) 허위 광고의 분석과 비평 = 308
(2) 과장 광고의 분석과 비평 = 310
(3) 비교 광고의 분석과 비평 = 314
3. 광고 언어의 분석 = 319
(1) 광고 표현의 조건 = 319
(2) 광고 언어의 분석과 비평 = 320
4. 광고 언어의 조건 = 325
(1) 진실 말하기 = 325
(2) 소비자 생각하기 = 326
(3) 광고 초점 정하기 = 327
5. 광고 표현 만들기 = 329
(1) 제품 분석 = 329
(2) 사고의 조직 = 330
(3) 표현하기 = 331
3. 기초 연습 = 333
4. 심화 연습 = 338
제13장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글쓰기
1. 활동 초점 = 342
2. 원리 조명 = 344
1. 사회적 실천이란 어떤 글쓰기 상황과 연관되는가? = 344
2.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글쓰기는 왜 중요한가? = 344
3. 원리 탐구 = 348
3. 기초 연습 = 360
4. 심화 연습 = 366
제14장 논문의 설계
1. 논문의 성격과 유형 = 378
1. 논문의 성격 = 378
2. 논문의 유형 = 379
(1) 연구 논문 = 379
(2) 학위 논문 = 379
(3) 평론 = 380
(4) 리포트 = 381
3. 논문의 요건 = 382
(1) 독창성 = 382
(2) 정확성 = 383
(3) 객관성 = 383
(4) 검증성 = 383
(5) 평이성 = 384
2. 논문 쓰기의 절차 = 385
1. 문제의 발견과 논제의 선정 = 386
(1) 문제의 발견 = 386
(2) 논제의 선정 = 387
2. 자료의 수집과 정리 = 388
(1) 자료의 조사와 수집 = 388
(2) 자료의 정리 = 390
3) 아우트라인의 작성 = 390
제15장 논문의 집필
1. 논문의 체제와 집필 = 394
1. 논문의 체재 = 394
2. 논문의 제목 = 396
3. 논문의 목차 = 397
4. 논문의 본문 = 397
2. 논문의 집필 = 400
1. 초고의 작성 = 401
2. 초고의 수정 = 401
3. 인용 = 401
(1) 인용의 원칙 = 402
(2) 인용의 방법 = 403
4. 주석 = 405
(1) 내용주 = 405
(2) 참조주 = 405
(3) 외각주 = 406
(4) 내각주 = 409
5. 참고 문헌란 = 411
6. 도표와 목차 = 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