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55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665833 | |
005 | 20100806023308 | |
007 | ta | |
008 | 000605s2000 ulk 001a kor | |
020 | ▼a 8983410426 ▼g 93360: ▼c \10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59099 ▼l 111159100 ▼l 111159101 ▼l 111233281 ▼f 법학 ▼l 131016152 ▼f 의학 |
082 | 0 4 | ▼a 340.1 ▼2 21 |
090 | ▼a 340.1 ▼b 2000j | |
100 | 1 | ▼a Llompart, Jose |
245 | 1 0 | ▼a 법철학의 길잡이 / ▼d 호세 욤파르트 지음 ; ▼e 정종휴 옮김. |
260 | ▼a 서울 : ▼b 경세원 , ▼c 2000. | |
300 | ▼a 270 p. ; ▼c 25 cm.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정종휴 , ▼e 역 |
950 | 0 | ▼b \10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111590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1115910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1115910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112332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410174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410174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7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310161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8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5108589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9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5108589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111590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1115910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1115910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112332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410174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410174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310161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5108589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40.1 2000j | Accession No. 15108589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을 표현하기에는 이만한 문장이 없을 정도로 법에 대한 근원적인 문제들에 대해 쉽게 접근하고 있다. 저자는 법철학이란 학문을 일반적으로 인정된 이론과 학설을 바탕으로 공부하는 학문이 아니라 자신의 종교관과 세계관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의견을 비판적으로 듣고 모든 문제점을 스스로 검토함으로써, 자신의 판단의 잣대를 성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에 저자는 동양과 서양의 옛 지혜에 의지하는 방법을 권하고 있는데, 첫째는 '온고지신'의 자세이고 둘째는 현행법과 국가라는 것을 자세하게 분석하는 것, 마지막 세 번째는 위의 분석으로 얻어진 갖가지 지식의 관계와, 법의 효력의 궁극적인 근거와 국가 권력의 정당성에 대한 설명이다. 지은이의 연구의 기본적인 시각은 고전적 자연법론은 단지 현대적 법·국가 상황에 적용하여 그 곳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이론적으로 해결하고자 할 뿐 아니라 오히려 구조가 바뀐 현대의 법·국가현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비판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고전 자연법론의 이론구조 그 자체를 근본적으로 뒤바꾸고 현대에 유효한 법철학으로서 새롭게 소생하는 데 있다. 알기 쉬운 강의로도 유명한 지은이의 이 책은 그의 강의경험에서 나온 것이다. 이 책은 꼭 알아야 하지만, 알아두기에 어려운 것이 법이라고 생각하는 일반인들과 법학을 처음 시작하는 신입 법학도에게 꼭 필요한 필수교양서이다. 저자 소개저자 호세 욤파르트(Jose Llompart)스페인 출생(1930) 철학석사 취득(1954), 같은 해 일본으로 건너 옴 신학석사(서독, 1962) 그 후 1년간 벨기에 체류 본대학 법학박사(1967) 일본 조우치대학(上智大學/Scphia University) 법학부 정교수(1973) 조우치대학 명예교수(2000) <주요 저서> Die Geschichtlichkeit in der Begr ndung des Rechts im Deutschland der Gegenwart Die Geschichtlichkeit der Rechtsprinzipien」(Klostermann Verlag) Dichotomisierung in der Theorie und Philosophie des Rechts」(Duncker & Humblot) 자연법론의 연구(有斐閣) 실정법에 내재하는 자연법(有斐閣) 법과 도덕(공저, 成文堂) 형법의 7가지 불가사의(成文堂) 법의 세계와 인간, 2000(成文堂) 법의 역사성(成文堂) 인간연구 일본인(新潮社) 일반 법철학(成文堂) 인간의 존엄과 국가의 권력(成文堂 등 다수) 역자 정종휴전남 담양 출생(1950) 전남대학교 법과대학 졸업(1976) 일본 쿄오토대학 법학박사(1978∼1984) 현재 전남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주요저서> 韓國民法典の比較法的硏究(1989, 東京 創文社) 改正韓國家族法の解說(1992, 東京 信山社) 역사속의 민법(1994, 교육과학사) <역서> 독일법제사(공역, H. Coing, 1982, 박영사) 법과 종교와 사회생활(타나카 코타로, 1989, 교육과학사) 토마스 아퀴나스(공역, 이나가키 료스케, 1995, 새남) 이 땅의 소금, J. Ratzinger(2000, 가톨릭출판사)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호세 욤파르트(지은이)
<법철학의 길잡이>
정종휴(옮긴이)
1950년생. 전남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일본 쿄토 대학(京都大學) 법학박사. 뮌헨 대학, 프랑크푸르트 대학, 하버드 대학 로스쿨 연구. 큐슈, 히토츠바시, 케이오, 시마네 대학 객원 교수. 전남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한국민사법학회 회장, 한국법사학회 회장, 제14대 주교황청 한국대사 역임. 현재 전남대학교 로스쿨 명예교수, 꽃동네대학교 석좌교수다. 1991년 베네딕토 16세 교황을 만난 이래 대담집 『그래도 로마가 중요하다』(바오로딸, 1994), 대담집 『이땅의 소금』(가톨릭출판사, 2000), 대담집 『하느님과 세상』(성바오로, 2004), 『전례의 정신』(성바오로, 2006), 『신앙, 진리, 관용』(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9), 대담집 『세상의 빛』(가톨릭출판사, 2012)을 번역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첫머리에 = 17 1. 철학이건 법철학이건 감탄과 호기심에서 비롯된다 = 17 2. 법철학을 어떻게 공부해야 좋은가?(법철학의 방법론) = 19 3. 법철학을 배우는 방법의 요약(법철학의 교육상의 체계) = 23 4. 법철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전문 분야 = 23 제1부 저 옛날부터 인간이 법과 국가에 관해 생각했던 것(법철학의 연혁) 제1장 고대·우주의 질서와 인간사회의 질서 = 33 1. 서양과 동양에서의 법문화의 원류 = 33 2. 그리스 신화에서의 법 = 34 3. 이스라엘이라는 민족의 법관념 = 36 4. 고대 중국의(天)의 질서와 고대 그리스의 코스모스의 질서 = 36 5. 소피스트들의 급진적인 태도와 자연법 사상의 탄생 = 38 제2장 사람과 법의 이해를 심화시킨 그리스 철학자 3인 = 41 1. 소크라테스 = 41 2. 플라톤 = 42 3. 아리스토텔레스 = 44 4. 스토아 학파의 세계관 = 48 제3장 고대 로마의 법사상과 로마법 = 49 1. 로마인이 법에 관해 남겨 놓은 것 = 49 2. 로마법과 그 특징 = 50 제4장 그 후의 13세기까지의 오랜 시대 = 53 1. 고대 세계와 그 사상이 서서히 변해간다 = 53 2. 지금도 논의되는 신약성서상의 자연법 문제 = 54 3. 아우구스티누스의 새로운 세계관 = 57 제5장 중세의 신학적 법사상 = 61 1. 스콜라학의 탄생 = 61 2. 천사적 박사 토마스 아퀴나스 = 62 3. 주의주의적 유명론자의 법견해 = 67 제6장 중세말 스콜라학에 의한 법과 국가권력의 이해 = 71 1. 비토리아 = 72 2. 준수박사 수아레스 = 73 제7장 계몽사상의 탄생과 새로운 형태의 자연법론 = 77 1. 그로티우스 = 78 2. 홉스 = 79 3. 스피노자 = 82 4. 푸펜도르프 = 83 5. 로크 = 84 6. 토마지우스 = 85 7. 몽테스키외 = 87 8. 루소 = 89 제8장 근대 독일에서 생성된 법과 국가의 사상 = 91 1. 칸트 = 91 2. 헤겔 = 96 3. 두 사람의 포이에르바하 = 98 4. 마르크스주의의 등장 = 99 제9장 법과 국가의 개인주의적 이해와 자본주의의 탄생 = 103 1. 자본주의의 생성 요인 = 103 2. 영국과 미국에서의 근대 쥬리스프루던스와 개인주의 = 104 제10장 법실증주의의 성립 = 109 1. 콩트의 실증주의 = 109 2. 19세기에 등장한 법실증주의 = 110 3. 승인설에 의한 법의 효력의 설명 = 111 4. 신칸트주의자의 자연법 부정 = 112 5. 근대 법사회학의 영향 = 113 제11장 19세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까지 = 117 1. 신칸트주의자의 법철학 = 117 2. 역사법학파와 개념법학 = 119 3. 구스타브 라드브루흐의 법 견해 = 120 4. 스칸디나비아의 법적 리얼리즘 = 123 5. 한스 켈젠의 순수법학 = 125 제12장 전후 자연법의 복권에서부터 현재의 법이론까지 = 129 1.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자연법론의 재생 = 129 2. 법실증주의와 전통적 법철학에 대한 비판 - 벨첼의 법철학적 견해 = 130 3. 법개념의 분석적·법사회학적 고찰 - H.L.A. 하트 = 131 4. 일본의 현대 법철학 = 134 제2부 법과 국가의 분석 제1장 법과 국가와 인간과 그 상호관계 = 139 1. 앞으로의 진행방식 = 139 2. 법(현행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 140 3. 법원과 그 종류 = 143 4. 법적으로 공허한 영역과 법의 흠결 = 146 5. 국가와 인간의 상호관계 = 147 제2장 법의 실정화와 법적 안정성 - 그 한계 = 151 1. 실정법이란 무엇인가? = 151 2. 실정화의 중요성 = 153 3. 실정법의 불완전성과 실정화의 한계 = 154 4. 실정화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 저항권의 문제 = 155 제3장 법의 규범성 = 159 1. 규범성이란 무엇인가? = 159 2. 존재와 당위의 문제 = 160 3. 법의 규범성의 이해에 관한 논쟁 = 161 4. 이른바 수범자의 문제 = 162 제4장 법의 강제와 국가의 권력 = 165 1. 강제의 사실과 그 필요성 = 165 2. 국가 권력의 사실과 그 필요성 = 166 3. 국제법과 강제 = 167 4. 법의 강제와 국가 권력의 역사적 변화와 완화 = 168 제5장 정의 = 171 1. 정의란 무엇인가? = 171 2. 정의와 평등 = 173 3. 정의와 형평 = 174 4. 인간적인 정의의 실현과 그 한계 = 176 제6장 법의 효력 = 177 1. 법의 효력이란 무엇인가? = 177 2. 법률의 타당성(적용성)과 법의 효력의 구별 = 178 3. 법의 효력에 관한 여러 가지 견해 = 179 4. 법의 효력에 관한 견해들, 특히 승인설의 견해 = 181 5. 법의 효력에 관한 마지막 문제 = 183 제7장 존재와 당위, 현실과 가치, 법의 목적과 법의 기능 = 185 1. 당위와 가치의 문제만은 아니다 = 185 2. 가치란 무엇인가, 가치와 법률 = 186 3. 법의 목적과 법의 기능은 같은 것인가? = 188 4. 법과 국가의 목적 = 190 제8장 법과 도덕 = 193 1. 법과 도덕의 근본적 차이 = 193 2. 법과 도덕의 관계 = 195 3. 법률의 도덕화 기능 = 196 4. 형사책임과 도의책임 = 197 제9장 실정법상의 근본 개념 = 199 1. 권리와 법적인 의무 =199 2. 인간의 존엄 = 201 3. 두 가지 자유 = 202 4. 국민주권은 실정법으로는 설명되고 있으나 과연 실정화되었는가? = 205 제10장 실정법상의 근본개념 = 181 제3부 법에 관한 종합적·철학적 고찰 제1장 법의 제도적 파악과 법적 시스템이론 = 211 1. 제도라는 사실과 그 이론화 = 212 2. 법제도 이론의 두가지 형태 = 213 3. 제도이론의 평가 = 215 4. 법적 시스템이론 - 루만의 견해 = 216 제2장 법실증주의 = 219 1. 법실증주의의 다양성 = 219 2. 법실증주의의 근본 주장 = 220 3. 법실증주의의 철학적 배경 = 222 4. 법실증주의의 평가 = 224 제3장 전통적 자연법 = 227 1. 자연법론의 다양한 형태 = 227 2. 자연법론의 근본 주장과 전통적 자연법론의 특징 = 229 3. 전통적 자연법론의 평가 = 231 제4장 법적 자연법의 새로운 이해 = 235 1. 머리말 = 235 2. 자연법(론)의 4가지 종류 = 236 3. 법학상의 자연법의 특징 = 238 제5장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 외에 제3의 길은 있는가 = 239 1. 문제의 소재 = 239 2. 법의 마르크스주의적 이해 = 240 3. 아르투어 카우프만의 제3의 길 = 240 4. 카우프만 법철학의 평가 = 243 제6장 스스로 생각하고 도전하는 법철학 = 247 1. 법철학으로부터 배우는 것 = 247 2. 법철학으로부터 배울 수 없는 것 = 249 찾아보기 인명 = 253 사항 = 256 외래어 = 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