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ⅲ
Ⅰ. 교육 과정의 연구
1. 교육 과정에 있어서의 쟁점 연구 = 3
1.1. 의미 = 3
1.2. 관점 = 5
1.3. 성질 = 9
1.4. 진술방식 = 14
1.5. 요약 = 18
Ⅱ. 교육 과정의 성격
2. 교육 과정 정의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23
2.1. 학습자 관 = 24
2.2. 교육의 목적 = 28
2.3. 코오스의 설계 = 31
2.4. 능력 개발 방식 = 36
2.5. 필수 대상 = 40
2.6. 요약 = 43
3. 교육 과정 기초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47
3.1. 기초로서의 교육관 = 48
3.2. 교육 과정론의 학문적 배경 = 52
3.3. 교육 과정론의 하위 이론 = 57
3.4. 교육 과정에 관한 의사 결정의 원천 = 60
3.5. 교육 과정 자료의 출처 = 64
3.6. 요약 = 71
4. 교과 구조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77
4.1. 교과 구조의 의미 = 78
4.1.1. 일반적 의미 = 78
4.1.2. 교육적 의미 = 79
4.2. 교과 구조의 강조 이유 = 82
4.2.1. 기본 내용의 이해 = 83
4.2.2. 지식의 단순화 = 85
4.2.3. 학습자의 심리적 측면 강조 = 88
4.3. 교과 구조의 기본 요건 = 91
4.3.1. 구조 요소의 특성 = 91
4.3.2. 구조의 형태 = 93
4.3.3. 구조의 기능 = 98
4.4. 요약 = 101
5. 교육 과정 법규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105
5.1. 교육 과정 관련 법령의 성격과 구성 = 106
5.1.1. 교육 과정 관련 법의 성격 = 107
5.1.2. 교육 과정 관련 법의 구성 = 111
5.2. 교육 과정 관련 법령의 쟁점 = 116
5.2.1. 교육부 장관 '고시'의 법적 성격 = 116
5.2.2. 교육 과정에 관한 기본적 사항의 법적 구속력 = 118
5.2.3. 교육 과정 편성권 = 122
5.3. 교과용 도서 관련 법령의 쟁점 = 124
5.3.1. 교과용 도서 검정 행위의 법적 성질 = 125
5.3.2. 교과용 도서 검정 심사의 범위 = 128
5.3.3. 구 교육법 제157조의 위헌성 여부 = 131
5.4. 요약 = 134
Ⅲ. 교육 과정의 프레임워크
6. 교육 과정 참여자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139
6.1. 참여자 선발 집단 = 140
6.1.1. 교장 집단 = 140
6.1.2. 교사 집단 = 142
6.1.3. 학생 집단 = 144
6.1.4. 학부모 집단 = 146
6.1.5. 전문가 집단 = 148
6.2. 참여자의 조직 형태 = 149
6.2.1. 개인 중심의 조직 형태 = 149
6.2.2. 집단 중심의 조직 형태 = 151
6.3. 참여 기관의 역할 = 155
6.3.1. 중앙 수준 기관의 역할 = 155
6.3.2. 시·도 수준 기관의 역할 = 161
6.3.3. 단위학교 수준 기관의 역할 = 162
6.4. 요약 = 163
7. 교육 과정 설계에 있어서 주요 쟁점 = 167
7.1. 교육 과정 설계의 이해 방식과 근거 = 169
7.2. 교육 과정 설계의 구조와 수준 = 178
7.2.1. 설계의 구조와 방법 = 179
7.2.2. 설계의 초점과 수준 = 183
7.3. 교육 과정 설계의 구성 도구 = 185
7.4. 요약 = 193
8. 교육 목표 설정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199
8.1. 강조점의 결정 = 200
8.2. 목표 성질의 한정 = 203
8.3. 학교 교육 목표와 교과 목표의 관련성 = 205
8.4. 인지적, 정의적, 심리 - 운동적 영역의 비율 = 209
8.5. 진술 용어의 유목화 = 211
8.6. 가치 목표의 항목화 = 215
8.7. 요약 = 219
9. 스코프와 시켄스 결정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223
9.1. 스코프와 시켄스 결정의 근거 = 223
9.1.1. 스코프 결정의 근거 = 224
9.1.2. 시켄스 결정의 근거 = 228
9.2. 스코프와 시켄스 결정에서 야기되는 문제 = 231
9.2.1. 스코프 결정에서의 문제 = 231
9.2.2. 시켄스 결정에서의 문제 = 238
9.3. 요약 = 241
Ⅳ. 교육 과정의 구성
10. 내용 선정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247
10.1. 내용 규정 = 248
10.1.1. 내용의 정의 = 248
10.1.2. 내용으로서의 지식, 과정, 가치 = 250
10.2. 내용선정 준거의 설정 및 적용 = 259
10.2.1. 준거의 설정 = 259
10.2.2. 준거의 적용 = 265
10.3. 요약 = 268
11. 내용 조직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273
11.1. 조직 원칙 = 274
11.1.1. 위계화 원칙 = 275
11.1.2. 계열화의 원칙 = 277
11.1.3. 통합 원칙 = 279
11.2. 조직 형태 = 281
11.2.1. 구조형 = 282
11.2.2. 탐구형 = 284
11.2.3. 간 학문형 = 285
11.2.4. 나선형 = 287
11.3. 조직 기법 = 289
11.3.1. 위계 질서법 = 289
11.3.2. 망 조직법 = 291
11.3.3. 내용·활동 병용법 = 293
11.4. 요약 = 295
12. 단원 구성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299
12.1. 단원 설정의 시기 = 300
12.2. 단원의 제시 방식 = 306
12.3. 단원 및 그 내용의 조직 = 316
12.4. 요약 = 323
13. 교과 통합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327
13.1. 통합의 의미 = 328
13.1.1. 일반적 의미 = 329
13.1.2. 교육 과정적 의미 = 331
13.2. 교과 통합의 접근 방식 = 336
13.2.1. 목표 지향적 접근 = 337
13.2.2. 간 학문적 접근 = 343
13.2.3. 활동을 통한 접근 = 348
13.3. 교과의 나선형적 통합 = 353
13.3.1. 나선형적 조직 형태의 확대 = 353
13.3.2. 나선형적 조직의 심화 = 355
13.4. 요약 = 361
14. 특별 활동 혁신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365
14.1. 혁신의 요인, 최신 안의 주제, 그리고 특별 활동의 새로운 구조 = 366
14.1.1. 혁신의 요인 구명 = 366
14.1.2. 최신 안의 주제 = 369
14.1.3. 새로운 구조 = 370
14.2. 교과와 유관한 영역의 탐색 = 373
14.2.1. 생화학적 물질의 이용과 예방 = 374
14.2.2. 에이즈와 그 병원체의 예방 = 384
14.2.3. 성 교육 = 399
14.3. 요약 = 406
Ⅴ. 교육 과정의 변화
15. 교육 과정 실행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413
15.1. 실행을 위한 준비 = 414
15.1.1.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요인의 확인 = 414
15.1.2. 현직 교원의 연수 = 417
15.1.3. 활용 자료의 채택 = 421
15.2. 실행 전략 모형의 비교 = 428
15.2.1. 모형의 형태 = 428
15.2.2. 모형의 특징 = 432
15.2.3. 모형의 이점과 불리점 = 434
15.3. 실행 평가 = 437
15.3.1. 교사의 관심 단계와 이용 수준 = 438
15.3.2. 조사 항목 = 441
15.4. 요약 = 442
16. 교육 과정 평가에 있어서 주요 쟁점 = 445
16.1. 교육 과정 평가의 의미 = 446
16.1.1. 교육 과정 평가의 개념 = 447
16.1.2. 교육 과정 평가의 목적 = 452
16.2. 평가의 관점과 근거 = 454
16.3. 평가 대상과 범위 = 458
16.3.1. 평가 영역 = 458
16.3.2. 평가 범위와 수준 = 460
16.4. 평가 방법 = 462
16.4.1. 자료 수집 = 462
16.4.2. 평가 도구 = 463
16.4.3. 평가 실행 = 465
16.4.4. 자료 처리 및 사용 = 466
16.4.5. 평가 준거 = 468
16.5. 요약 = 470
17. 한국 교육 과정 개편에 있어서의 주요 쟁점 = 475
17.1. 개편의 시기와 범위 = 476
17.1.1. 개편의 시기 = 476
17.1.2. 개편 대상의 교과목 = 477
17.2. 교육 과정의 체제 = 479
17.3. 교육 과정 고시의 법적 성질과 구속력 = 483
17.3.1. 법적 성질 = 483
17.3.2. 법적 구속력 = 484
17.4. 교육 과정의 지역화 = 486
17.4.1. 지역화를 위한 선결 문제 = 487
17.4.2. 지역화의 형태 = 488
17.4.3. 지역화의 반영 = 492
17.5. 요약 = 494
참고문헌 = 497
인명 찾아보기 = 509
주제 찾아보기 =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