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현대예술사대계. 1 : 해방과 분단 고착 시기

한국현대예술사대계. 1 : 해방과 분단 고착 시기 (3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엮음
서명 / 저자사항
한국현대예술사대계. 1 : 해방과 분단 고착 시기 /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엮음
발행사항
서울 :   시공사,   1999  
형태사항
429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예연총서 ;16
ISBN
895270522X 8952701313 (세트)
일반주기
김욱성, 남인영, 문애령, 박선욱, 박영정, 박윤우, 손상익, 이상경, 전정임, 최석태, 하정일, 이영미  
000 00918namcc2200253 c 4500
001 000000665149
005 20101008111521
007 ta
008 000523s1999 ulka 000c kor
020 ▼a 895270522X ▼g 93600 : ▼c \12,000
020 1 ▼a 8952701313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049 1 ▼l 111152357 ▼l 111152358 ▼l 111152359
082 0 4 ▼a 700.9519 ▼2 21
085 ▼a 700.953 ▼2 DDCK
090 ▼a 700.953 ▼b 1999a ▼c 1
245 0 0 ▼a 한국현대예술사대계. ▼n 1 : ▼p 해방과 분단 고착 시기 / ▼d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엮음
260 ▼a 서울 : ▼b 시공사, ▼c 1999
300 ▼a 429 p. : ▼b 삽화 ; ▼c 23 cm
490 0 0 ▼a 예연총서 ; ▼v 16
490 0 0 ▼a 한국예술연구소 총서 ; ▼v 16
500 ▼a 김욱성, 남인영, 문애령, 박선욱, 박영정, 박윤우, 손상익, 이상경, 전정임, 최석태, 하정일, 이영미
710 ▼a 한국예술종합학교. ▼b 한국예술연구소, ▼e 엮음 ▼0 AUTH(211009)36023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953 1999a 1 등록번호 11115235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14-02-18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청구기호 700.953 1999a 1 등록번호 1111523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청구기호 700.953 1999a 1 등록번호 1111523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00.953 1999a 1 등록번호 1512903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953 1999a 1 등록번호 11115235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14-02-18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청구기호 700.953 1999a 1 등록번호 1111523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청구기호 700.953 1999a 1 등록번호 1111523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00.953 1999a 1 등록번호 1512903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예술종합학교의 '한국예술연구소'에서 펴내고 있는 이 책은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한국현대예술사를 정리하고 있다. 1999년부터 1년에 한 권씩, 전 6권으로 묶어낼 계획이다. 2004년 완간. 현재 출간된 1권은 해방이후 한국전쟁까지, 2권은 전후의 1950년대를 다루고 있으며, 각 권은 총론, 문학, 연극, 영화, 미술, 음악, 무용, 만화, 건축의 아홉개 장으로 이루어진다.

40세 전후의 젊은 연구자들이 중심이 되어 집필했으며, 가능한 한 해당 시기, 해당 분야 전공자들로 선정하여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매 시기 집필자를 바꾸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고 한다. 젊은 연구자들의 열의가 엿보이는 기획이다. 시기별로 여러 장르를 함께 대비해서 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고, 특히 기존의 예술사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던 만화나 건축 분야의 연구가 소중하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엮은이)

연구원으로 박영정, 엄국천, 윤중강, 전정임, 최유준, 이영미가 활동중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 13
총론 / 이영미 = 15
  Ⅰ. 이야기를 시작하며 = 15
  Ⅱ. 정치의 힘과 예술 = 18
  Ⅲ. 예술인의 조직 = 20
  Ⅳ. 예술단체의 주장과 정책 = 25
  Ⅴ. 예술의 정치적 실용성 = 27
  Ⅵ. 식민지 자재 청산과 근대적 독립국가 형성의 예술적 과제 = 28
문학 / 하정일 ; 이상경 ; 박윤우 = 35
  Ⅰ. 개관 = 35
  Ⅱ. 문학론 = 40
    1. 정세와 문학의 위치 = 40
    2. 조선문학가동맹의 문학론 = 41
    3. 조선청년문학가협회의 문학론 = 51
    4.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문학론 = 56
  Ⅲ. 소설 = 63
    1. 소설계의 흐름 = 63
    2. 해방 직후 시기: 정치와 문학의 만남 = 65
    3. 남북한 단독정부 수립과 전쟁시기: 남북한 문학 이질화의 시작 = 80
  Ⅳ. 시 = 101
    1. 시의 흐름 = 101
    2. 해방의 감격과 민족사의 새로운 전개 = 103
    3. 단독정부 수립기 전쟁 체험과 현대시의 상황 = 118
    4. 평가와 전망 = 132
연극 / 박영정 = 135
  Ⅰ. 개관 = 135
  Ⅱ. 연극계의 재편과정: '국민연극'에서 '민족연극'으로 = 138
    1. 연극계 재편과 조선연극동맹 = 138
    2. 극단의 창립과 연극인의 분포 = 146
    3. 조선연극동맹 및 산하 극단의 공연 활동 = 151
    4. 연극 대중화와 소인극운동 = 157
    5. 연극인의 월북과 북한의 연극 = 162
  Ⅲ. 연극계의 분단 과정: '민족연극'에서 '분단연극'으로 = 166
    1. 조선연극동맹 활동기의 우익 연극 = 166
    2. 대중극단의 활동 = 172
    3. 전국연극예술협회와 한국무대예술원 = 176
    4. 전쟁 중의 연극 = 180
    5. 맺음말 = 187
영화 / 남인영 = 191
  Ⅰ. 개관 = 191
  Ⅱ. 영화계 조직과 활동 = 194
    1. 해방 직후 시기 = 194
    2. 단독정부 수립과 전쟁 시기 = 199
  Ⅲ. 영화계의 쟁점 = 202
    1. 영화론 = 202
    2. 영화정책 = 208
  Ⅳ. 작품 경향 = 220
    1. 기록영화의 제작과 <해방뉴스> = 220
    2. 극영화 = 225
미술 / 최석태 = 233
  Ⅰ. 개관 = 233
  Ⅱ. 미술계의 조직과 흐름 = 234
    1. 8·15 해방과 그 직후의 민족미술 수립을 위한 노력과 좌절 = 234
    2. 북한 미술계의 동향 = 250
    3. 단독정부 수립과 전쟁 전후의 남북미술계의 상황 = 254
  Ⅲ. 미술계의 논의들 = 257
    1. 정체성의 확립 노력 = 257
    2. 계급미술과 민족미술 논의의 전개 = 261
    3. 미술대학의 설립 = 262
  Ⅳ. 미술가들 = 263
    1. 이론가들 = 263
    2. 전통화가들 = 267
    3. 유화가들 = 269
    4. 조각가들 = 277
음악 / 전정임 = 281
  Ⅰ. 개관 = 281
  Ⅱ. 음악 활동 = 291
    1. 창작계 = 291
    2. 연주계 = 296
    3. 비평계 = 310
    4. 교육 및 학술 활동 = 317
무용 / 문애령·박선욱 = 321
  Ⅰ. 개관 = 321
  Ⅱ. 무용계의 재편 = 325
    1. 해방 직후 시기 = 325
    2. 전쟁기와 북한 무용계 = 331
  Ⅲ. 작품 활동의 특성과 전문화 = 335
    1. 해방 직후 시기 = 335
    2. 전쟁기와 북한 무용계 = 343
  Ⅳ. 무용평론 = 346
  Ⅴ. 맺음말 = 352
만화 / 손상익 = 355
  Ⅰ. 개관 = 355
  Ⅱ. 해방 직후 시기의 만화 = 358
    1. 만화 르네상스 = 358
    2. 해방 직후 시기의 만화작가 = 375
    3. 해방 직후 시기 우리 만화의 반성 = 379
  Ⅲ. 6 · 25 전쟁과 만화 = 380
    1. 시련과 극복 = 380
    2. 전쟁만화 = 382
    3. 민간 만화 = 391
    4. 6 · 25 전쟁과 우리 만화의 위상 = 395
건축 / 김욱성 = 399
  Ⅰ. 개관 = 399
  Ⅱ. 건축계 동향 = 401
    1. 식민지시대 건축 동향 = 401
    2. 해방 직후 시기 건축 동향 = 405
    3. 단독정부 수립과 전환기의 건축 = 407
  Ⅲ. 건축단체의 형성과 활동 = 410
    1. 해방 직후 시기 = 410
    2. 단독정부 수립 후 6 · 25 전쟁 시기 = 417
  Ⅳ. 작품경향 = 421
    1. 해방 직후 시기 = 421
    2. 단독정부 수립 후 6·25 전쟁 시기 = 426
  Ⅴ. 건축 교육 = 427
  Ⅵ. 맺음말 = 42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