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ⅲ
머리말 = ⅴ
제1부 직업교육과정의 기초
제1장 교육과 교육과정 = 3
1. 교육의 개념 = 4
2. 교육과정의 개념 = 8
3. 교육과 교육과정 = 13
제2장 직업교육과정의 특성과 개발의 기본 모형 = 19
1. 직업교육과정의 특성 = 20
2. 직업교육과정 개발의 기본 모형 = 26
제3장 직업교육과정의 변천 = 35
1.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 36
2. 전문대학 교육과정의 변천 = 48
제2부 직업교육과정의 계획
제4장 직업교육과정 계획에서의 의사결정 = 61
1. 교육에서의 의사결정 = 62
2. 의사결정 전략 = 65
3. 교육과정 계획에서의 의사결정 과정 = 73
4. 교육과정 계획에서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설정과 관련자료 = 75
제5장 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 = 81
1. 교육기관 관련자료 = 82
2. 지역사회 관련자료 = 86
3.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재정, 시설, 행정 지원에 관한 자료 = 91
제3부 직업교육과정의 개발
제6장 직업교육과정의 내용 결정 = 103
1. 교육과정 내용 결정에 관련된 요인 = 104
2. 교육과정 내용 결정 전략 선택 = 105
3. 교육과정의 목적 = 124
제7장 직무분석에 의한 교육내용 결정의 실제 = 127
1. 직무분석의 기초 = 128
2. 직무분석 방법 = 132
3. 학습자 진단 = 138
4. 직무분석의 실제 = 140
제4부 직업교육과정의 전개
제8장 수업목표의 설정 = 171
1. 수업목표의 개념과 진술 = 172
2. 교육목표의 분류 = 180
제9장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 201
1. 학습경험의 선정 = 202
2. 학습경험의 조직 = 207
3.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통합 = 212
제10장 교재의 선정과 개발 = 219
1. 교재의 선정 = 220
2. 교재의 개발 = 227
제11장 능력중심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과 설계 = 237
1. 능력중심 교육 = 238
2. 모듈 수업의 개념, 작성 및 개발 = 240
3. 수업 계획 = 258
제5부 직업교육 평가
제12장 직업교육과정의 평가 = 267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268
2. 교육과정 평가의 구조 = 269
3.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접근 = 274
제13장 수업평가 = 279
1. 수업평가의 의의 = 280
2. 수업평가의 영역 = 285
3. 수업평가의 절차 = 291
제14장 직업교육과정의 동향, 당면 문제, 개선 방향 = 313
1. 직업교육과정의 동향 = 314
2. 직업교육과정의 당면 문제 = 320
3. 직업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 322
참고문헌 = 329
찾아보기 =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