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개정판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개정판 (4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무근 원상봉
서명 / 저자사항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 이무근 ; 원상봉 [공]저.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사 ,   2000.  
형태사항
x, 335 p. : 삽도 ; 23 cm.
ISBN
8982873554
일반주기
색인 및 참고문헌 수록  
000 00664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664728
005 20100806020736
007 ta
008 000517s2000 ulka 001a kor
020 ▼a 8982873554 ▼g 93370 : ▼c \12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55386 ▼l 111155387 ▼l 111155388
082 0 4 ▼a 370.113 ▼2 21
090 ▼a 370.113 ▼b 2000
100 1 ▼a 이무근 ▼0 AUTH(211009)58096
245 1 0 ▼a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 ▼d 이무근 ; ▼e 원상봉 [공]저.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0.
300 ▼a x, 335 p. : ▼b 삽도 ; ▼c 23 cm.
500 ▼a 색인 및 참고문헌 수록
700 1 ▼a 원상봉 ▼0 AUTH(211009)30017
950 0 ▼b \12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13 2000 등록번호 1111553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13 2000 등록번호 1111553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청구기호 370.113 2000 등록번호 1111553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나라는 직업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와 관련 연구물이 대단히 미흡한 실정이다. 그래서 이 책은 각 교육기관에서 직업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이들에게 교육과정에 관한 기초이론을 이해하고 실제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무근(지은이)

학력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UIUC) Ph. D 직업기술교육 전공 경력 現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現 한국창의성학회 대표 前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사장 前 동명대학교 총장 前 경일대학교 총장 前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대원장 前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교수 前 The Ohio State University, Virginia Tech Visiting Scholar 저서 직업교육학 원론,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전문대학 교육론 공저 꿈꾸는 진로여행, 실기교육방법론, 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ⅲ

머리말 = ⅴ

제1부 직업교육과정의 기초

 제1장 교육과 교육과정 = 3

  1. 교육의 개념 = 4

  2. 교육과정의 개념 = 8

  3. 교육과 교육과정 = 13

 제2장 직업교육과정의 특성과 개발의 기본 모형 = 19

  1. 직업교육과정의 특성 = 20

  2. 직업교육과정 개발의 기본 모형 = 26

 제3장 직업교육과정의 변천 = 35

  1.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 36

  2. 전문대학 교육과정의 변천 = 48

제2부 직업교육과정의 계획

 제4장 직업교육과정 계획에서의 의사결정 = 61

  1. 교육에서의 의사결정 = 62

  2. 의사결정 전략 = 65

  3. 교육과정 계획에서의 의사결정 과정 = 73

  4. 교육과정 계획에서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설정과 관련자료 = 75

 제5장 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 = 81

  1. 교육기관 관련자료 = 82

  2. 지역사회 관련자료 = 86

  3.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재정, 시설, 행정 지원에 관한 자료 = 91

제3부 직업교육과정의 개발

 제6장 직업교육과정의 내용 결정 = 103

  1. 교육과정 내용 결정에 관련된 요인 = 104

  2. 교육과정 내용 결정 전략 선택 = 105

  3. 교육과정의 목적 = 124

 제7장 직무분석에 의한 교육내용 결정의 실제 = 127

  1. 직무분석의 기초 = 128

  2. 직무분석 방법 = 132

  3. 학습자 진단 = 138

  4. 직무분석의 실제 = 140

제4부 직업교육과정의 전개

 제8장 수업목표의 설정 = 171

  1. 수업목표의 개념과 진술 = 172

  2. 교육목표의 분류 = 180

 제9장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 201

  1. 학습경험의 선정 = 202

  2. 학습경험의 조직 = 207

  3.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통합 = 212

 제10장 교재의 선정과 개발 = 219

  1. 교재의 선정 = 220

  2. 교재의 개발 = 227

 제11장 능력중심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과 설계 = 237

  1. 능력중심 교육 = 238

  2. 모듈 수업의 개념, 작성 및 개발 = 240

  3. 수업 계획 = 258

제5부 직업교육 평가

 제12장 직업교육과정의 평가 = 267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268

  2. 교육과정 평가의 구조 = 269

  3.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접근 = 274

 제13장 수업평가 = 279

  1. 수업평가의 의의 = 280

  2. 수업평가의 영역 = 285

  3. 수업평가의 절차 = 291

 제14장 직업교육과정의 동향, 당면 문제, 개선 방향 = 313

  1. 직업교육과정의 동향 = 314

  2. 직업교육과정의 당면 문제 = 320

  3. 직업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 322

참고문헌 = 329

찾아보기 = 33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