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우리글 바로쓰기. 1

우리글 바로쓰기. 1 (9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오덕
서명 / 저자사항
우리글 바로쓰기. 1 / 이오덕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길사 ,   1993.  
형태사항
432 p. ; 23 cm.
총서사항
오늘의 사상신서 ; 131
ISBN
8935600067
000 00636namccc2002291k 4500
001 000000664466
005 20100806020123
007 ta
008 000512s1993 ulk 000 kor
020 ▼a 8935600067 ▼g 32710 : ▼c \8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411676144 ▼f 개가 ▼l 421108360 ▼f 과학 ▼l 421108359 ▼f 과학
082 0 4 ▼a 497.15 ▼2 21
085 ▼a 3160 ▼2 KDCP
090 ▼a 497.15 ▼b 2000k ▼c 1
100 1 ▼a 이오덕
245 1 0 ▼a 우리글 바로쓰기. ▼n 1 / ▼d 이오덕 지음.
260 ▼a 서울 : ▼b 한길사 , ▼c 1993.
300 ▼a 432 p. ; ▼c 23 cm.
490 0 0 ▼a 오늘의 사상신서 ; ▼v 131
950 0 ▼b \8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497.15 2000k 1 등록번호 42110836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1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497.15 2000k 1 등록번호 4211083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오덕(지은이)

1925년 11월 4일에 경북 청송군 현서면 덕계리에서 태어나 2003년 8월 25일 충북 충주시 신니면 무너미 마을에서 세상을 떠났다. 열아홉 살에 경북 부동공립초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해 예순한 살이던 1986년 2월까지 마흔두 해 동안 아이들을 가르쳤다. 스물아홉 살이던 1954년에 이원수를 처음 만났고, 다음 해에 이원수가 펴내던 <소년세계>에 동시 ‘진달래’를 발표하며 아동문학가로 첫발을 내디뎠다. 그 뒤 이원수의 권유로 어린이문학 평론을 쓰게 된다. 1973년에는 권정생을 만나 평생 동무로 지냈다. 우리 어린이문학이 나아갈 길을 밝히기 위해 1977년에 어린이문학 평론집 《시정신과 유희정신》을 펴냈다. 이 책에서 절대 자유의 창조적 정신을 발휘한 어린이문학 정신을 ‘시정신’, 그에 반하는 동심천사주의 어린이문학 창작 태도를 ‘유희정신’이라 했으며, 현실에서 살아가고 있는 어린이의 눈과 마음으로 보고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어린이문학의 ‘서민성’을 강조했다. 또한 모든 어린이문학인이 새로운 문명관과 자연관, 아동관에 서지 않고서는 진정한 어린이문학을 창조할 수 없다고 이야기했다. 어린이문학의 발전을 위해 작가들과 함께 어린이문학협의회를 만들었으며, 어린이도서연구회를 만드는 데도 힘을 보탰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고침판을 내면서 = 3

머릿말 = 6

들어가는 말 = 17

제1장 중국글자말에서 풀려나기

 1. 우리 글자로 썼을 때 그 뜻을 알 수 없거나 알기 힘드는 중국글자말 = 19

 2. 입으로 말했을 때 그 뜻을 알아듣기 힘드는 중국글자말 = 30

 3. 문자쓰는 말과 글에서 벗어나야 = 36

 4. 공연히 어렵게 쓰는 중국글자말 = 40

 5. 많이 쓰는 중국글자말도 더 정다운 우리 말로 = 55

 6. 우리 말을 파괴하는 중국글자말투 = 64

 7. 틀리게 쓰는 중국글자말 = 80

  (1) '중국글자말+한다'로 쓰는 경우 = 80

  (2) 겹말 = 88

  (3) '일절'인가 '일체'인가? = 94

  (4) 잘못 쓰는 하임움직씨'-시킨다' = 97

제2장 우리 말을 병들게 하는 일본말 

 1. 우리 말을 파괴하는 일본말 일본글 = 103

 2. (진다)(된다)(되어진다)(불린다) = 105

 3. -에 있어서 = 117

 4. (의) = 129

 5. (와의)(과의) = 137

 6. (에의) = 141

 7. (로의)(으로의) = 148

 8. (에서의) = 153

 9. (로서의)(으로서의) = 165

 10. (로부터의)(으로부터의) = 171

 11. (에로의) 그밖 = 174

 12. (에게서) = 175

 13. 그 밖에 필요없이 겹치는 토 = 185

 14. (보다)(토씨를 어찌씨로 잘못 쓰는 말) = 186

 15. (…에 다름 아니다)와 (주목에 값한다) = 194

 16. (의하여) = 196

 17. (속속)(지분)(애매하다) = 198

 18. (수순)(신병)(인도)(입장) = 199

 19. (미소)(미소짓다) = 202

 20. 그 밖의 일본말들 = 203

 21. (그녀)에 대하여 = 213

제3장 서양말 홍수가 졌다

 1. 이 땅에서는 서양사람들도 우리 말을 해야 한다 = 217

 2. 영어문법 따라 쓰는 '-었었다' = 221

 3. 쓰지 말아야 할 말 = 235

 4. 들온말 적기 = 245

 5. 잡지 이름, 상품 이름 = 249

제4장 말의 민주화(1)

 1. 이야기글의 역사 = 253

 2. 벼슬아치의 말과 글 = 265

 3. 땅 이름, 마을 이름 = 269

 4. 일제 말, 군대 말 = 275

 5. 강론 말 = 281

 6. 방송 말 = 289

 7. 글말 = 299

 8. 사람 가리킴 말 = 304

 9. 높임말 = 312

 10. 준말 = 322

제5장 말의 민주화(2) 

 1. 말과 생각의 관계(질문과 대답) = 327

 2. 잘못 쓰는 말 = 330

 3. 아름답지 못한 말 = 338

 4. 농민의 말 = 347

 5. 일제시대·북한·중국연변의 말 = 354

제6장 글쓰기와 우리 말 살리기 

 1. 아이들의 글쓰기와 어른들의 글쓰기 = 371

 2. 농민문화 창조를 위한 글쓰기 = 384

 3. 우리 말 속의 일본말 = 389

 4. 우리 말,어떻게 살릴까 = 39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