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전생애 발달심리학)인간발달

(전생애 발달심리학)인간발달 (9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장휘숙
서명 / 저자사항
(전생애 발달심리학)인간발달 / 장휘숙 著.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2000.  
형태사항
x, 464 p. : 삽도 ; 26 cm.
ISBN
8910030992
일반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포함  
000 00610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663976
005 20100806015044
007 ta
008 000508s2000 ulka 001a kor
020 ▼a 8910030992 ▼g 93180 : ▼c \2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53478 ▼l 111153479 ▼l 111153480 ▼l 111159040
082 0 4 ▼a 155 ▼2 21
090 ▼a 155 ▼b 2000a
100 1 ▼a 장휘숙 ▼0 AUTH(211009)18723
245 2 0 ▼a (전생애 발달심리학)인간발달 / ▼d 장휘숙 著.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0.
300 ▼a x, 464 p. : ▼b 삽도 ; ▼c 26 cm.
500 ▼a 참고문헌 및 색인포함
950 0 ▼b \2000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 2000a 등록번호 1111534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 2000a 등록번호 1111534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청구기호 155 2000a 등록번호 1111534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청구기호 155 2000a 등록번호 1111590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태련(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파리와루앙 장애기관에서 발달장애를 연구했다. 미국 UCLA 연구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장과 교육대학원장, 이화여자대학교 발달장애아동센터 소장, 한국발달심리학회장, 한국자폐학회장, 발달지원학회장, 한국심리학회장, 한국여성심리학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사단법인 아이코리아 회장과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장휘숙(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발달심리학 전공, 문학박사)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 객원교수 역임 한국발달심리학회 회장 역임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장 역임 현재: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발달심리전문가 한국발달심리학회 이사, 편집위원 *관심분야 전생애 동안의 애착, 정체감, 정신병리, 탄력성 등을 광범위하게 연구하며 이미 각 주제에 관한 많은 논문들을 출판한 바 있다. *저서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 제2판(저서, 창지사, 2005) 아동연구방법 제2판(저서, 창지사, 2005) 청년심리학 제3판(저서, 박영사, 2004) 애착장애의 치료: 이론에서 실제까지(역서, 시그마프레스, 2003) 여성심리학 제2판(저서, 박영사, 2002) 아동발달(저서, 박영사, 2001) 인간발달(저서, 박영사, 2000) 청년심리학 제2판(저서, 학지사, 1999)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저서, 학지사, 1998) 아동연구방법 초판(저서, 창지사, 1998) 여성심리학 초판(저서, 박영사, 1996) 가족심리학(저서, 박영사, 1996) 아동심리학 제2판(저서, 박영사, 1995) 발달심리학 제2판(공저, 박영사, 1994) 자녀문제 이럴 때 이렇게(저서, 창지사, 1994) 청년심리학 초판(도서출판 장승, 1993) 아동심리학 초판(저서, 박영사, 1990) 아동연구법(편역서, 창지사, 1989) 발달심리학 초판(공저, 박영사, 1987) 심리학개론(공저, 정민사, 1987) 어머니의 역할(역서, 창지사, 1986) 아버지의 역할(역서, 창지사, 1986) 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전생애 인간발달 이해를 위한 기초

 제1장 인간발달-어떤 학문인가

  Ⅰ. 인간발달과 관련된 문제 = 4

   1. 발달 개념과 전생애 인간발달 = 4

   2. 발달 연구의 학문적 확대 = 5

   3. 발달단계와 단계구분의 역사적 변화 = 7

   4. 이 책의 구성 = 12

  Ⅱ. 인간발달의 연구방법 = 13

   1. 양적 연구 = 14

   2. 질적 연구 = 19

  Ⅲ. 인간발달의 이론적 조망 = 22 

   1. 정신분석적 조망 = 22

   2. 학습이론적 조망 = 27

   3. 인본주의적 조망 = 30

   4. 인지적 조망 = 34

 제2장 생명의 시작과 발달

  Ⅰ. 생명의 잉태 = 40 

   1. 가족맥락 = 40

   2. 불임 = 41

   3. 발달의 생물학적 기초 = 44

   4. 유전과 환경의 영향 = 48

  Ⅱ. 태내발달 = 54 

   1. 태내발달의 과정 = 54

   2. 태내발달의 이상 = 58

  Ⅲ. 분만과 산모의 적응 = 68 

   1. 분만 = 68

   2. 산모의 산후우울증 = 99

제2부 아동의 발달

 제3장 아동의 신체, 운동, 지각능력의 발달

  Ⅰ. 아동이 성장하는 환경 = 74 

   1. 환경이란 무엇인가 = 74

   2. 환경에 대한 적응-사회화 = 78

  Ⅱ. 신체발달 = 81 

   1. 발달의 원리 = 81

   2. 신생아의 적응 = 83

   3. 신상과 체중의 발달 = 86

   4. 대뇌의 발달 = 87

   5. 성적 발달 = 90

  Ⅲ. 운동발달 = 91 

   1. 영아의 운동발달 = 91

   2. 아동초기와 중기의 운동발달 = 93

  Ⅳ. 지각능력의 발달 = 96 

   1. 지각의 원리 = 96

   2. 지각능력의 측정 = 98

   3. 시지각 능력의 발달 = 98

   4. 주의력의 발달 = 103

   5. 청지각 능력의 발달 = 103

 제4장 아동의 인지발달

  Ⅰ. 피아제식 접근방법 = 106

   1. 감각운동기의 인지적 특성 = 106

   2. 전조작기의 인지적 특성 = 109

   3. 구체적 조작기의 인지적 특성 = 115

  Ⅱ. 정보처리적 접근방법 = 119 

   1. 기억과정 = 119

   2. 인생초기의 기억능력 = 122 

   3. 기억능력의 발달 = 123

  Ⅲ. 심리측정적 접근방법 = 129 

   1. 지능의 이론 = 129

   2. 영아기의 지능 = 133

   3. 아동기의 지능 = 136

  Ⅳ. 아동의 언어발달 = 138 

   1. 언어발달의 측정 = 139

   2. 언어발달의 단계 = 139

   3. 언어발달이론 = 142

   4. 사적 언어 = 145

   5.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145

 제5장 아동의 정서, 성격 및 자기에 대한 이해의 발달

  Ⅰ. 정서 및 성격발달의 기초 = 148 

   1. 기질의 발달 = 148

   2. 애착의 발달 = 154

  Ⅱ. 기본적 정서의 발달 = 160

   1. 정서란 무엇인가 = 160

   2. 정서발달에 관한 캠포스와 그 동료들의 가설 = 163

   3. 기본적 정서 = 164

  Ⅲ. 아동기 동안의 성격발달 = 165 

   1. 신뢰감의 발달 = 166 

   2. 자율성의 획득 = 168

   3. 선도성의 발달 = 169

   4. 근면성의 발달 = 170

  Ⅳ. 자기에 대한 이해 = 171 

   1. 자기에 대한 이해의 시작 = 171

   2. 유치원 연령에서의 자기에 대한 이해 = 173

   3.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에 대한 이해 = 174

 제6장 아동의 타인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관계의 발달

  Ⅰ. 타인에 대한 이해의 발달 = 182 

   1. 사회인지능력의 발달 = 182

   2. 훈육 = 186

   3. 도덕성의 발달 = 189

   4. 도덕성의 상이한 측면: 공격성의 발달 = 197

  Ⅱ. 또래관계의 발달 = 200 

   1. 또래와의 상호작용 = 200

   2. 놀이유형의 발달 = 202

   3. 우정의 발달 = 203

  Ⅲ. 성유형화 과정 = 207 

   1. 성의 이해 = 207

   2. 성역할 고정관념 = 208

   3. 양성성 = 209

   4. 성유형화 이론 = 211

제3부 청년의 발달

 제7장 청년기의 특징적 현상과 청년초기의 특성

  Ⅰ. 청년기 이해를 위한 기초 = 218

   1. 청년기의 의미 = 218

   2. 청년기의 특징적 현상 = 219

  Ⅱ. 신체적 성숙 = 224 

   1. 성장급등 = 224

   2. 성적 성숙 = 226

   3. 신체발달의 영향 = 227

   4. 조숙과 만숙의 영향 = 229

  Ⅲ. 인지발달 = 231 

   1. 형식적 조작사고의 발달 = 231

   2. 형식적 조작사고의 발달과 환경적 조건 = 236

  Ⅳ. 사회적 관계 = 237 

   1. 가족관계 = 237

   2. 동년배관계 = 240

   3. 이성관계 = 242

  Ⅴ. 청년초기의 위험행동 = 244 

   1. 비행 = 246

   2. 청소년의 약물사용 = 248

 제8장 청년후기의 자기의 발달과 도덕성 및 직업선택의 발달   

  Ⅰ. 자기의 발달 = 252 

   1. 자기개념에서의 변화 = 253

   2. 자기존중감에서의 변화 = 254

   3. 정체감의 변화 = 255 

   4. 정체감 형성과 부모 및 동년배 집단의 영향 = 261

  Ⅱ. 성역할 정체감 = 263 

   1. 청년기 동안의 성역할 사회화 = 264

   2. 성역할 정체감과 자기존중감의 관계 = 266

   3. 남녀 대학생의 정체감 수준 = 267

  Ⅲ. 청년후기의 도덕성 = 268 

   1. 도덕성 발달의 일반적 특성 = 269

   2. 도덕적 추론능력에서의 변화 = 270 

   3. 도찌의 사회정보처리 모델 = 273 

  Ⅳ. 성취동기와 직업선택 = 275 

   1. 성취동기 = 275

   2. 직업선택 = 277

제4부 성인의 발달

 제9장 성인발달의 기초

  Ⅰ. 성인기의 단계적 특성 = 288 

   1. 성인기의 단계구분과 의미 = 288

   2. 성인인구의 구성비율과 전망 = 289

   3. 성인기로의 이동에 필요한 기술 = 291

   4. 성인기의 발달과업 = 292

  Ⅱ. 연령과 노화 = 297 

   1. 연령 = 297

   2. 노화 = 301 

  Ⅲ. 성인발달의 이론 = 303 

   1. 굴드의 이른 = 304

   2. 레빈슨의 이론 = 305

   3. 베이런트의 이론 = 308

  Ⅳ. 성인연구의 문제점 = 311 

   1. 실험자 문제 = 311

   2. 연구대상자 문제 = 312

   3. 수명 문제 = 312

   4. 사회문화적 문제 = 313

   5. 측정의 문제 = 314

 제10장 성인초기와 중기의 발달  

  Ⅰ. 신체발달과 건강 = 316

   1. 성인초기의 신체발달 = 316

   2. 성인중기의 신체발달 = 317

  Ⅱ. 인지능력의 밭달 = 322 

   1. 인지발달의 제5단계 = 322

   2. 지능의 변화 = 325

  Ⅲ. 사회적 발달 = 329 

   1. 성인초기의 친근감 형성 = 329

   2. 직업적 정체감의 형성 = 336

   3. 성인중기의 생산성 확립 = 339

  Ⅳ. 가족관계의 변화 = 343 

   1. 가족형태의 변화 = 343

   2. 이혼과 관련된 문제 = 345

 제11장 성인후기의 발달과 죽음의 문제

 Ⅰ. 성인후기의 신체변화 = 350 

   1. 대뇌기능의 변화 = 351

   2. 일반 신체기능의 변화 = 352

 Ⅱ. 인지적 변화 = 357 

   1. 지능의 변화 = 357

   2. 기억능력의 변화 = 358

  Ⅲ. 관계형성의 변화 = 364 

   1. 가족관계 = 365

   2. 친구관계 = 368

  Ⅳ. 은퇴와 성공적 노화 = 369

   1. 은퇴 = 369

   2. 성공적 노화 = 371

  Ⅴ. 노화이론과 죽음에 대한준비 = 374

   1. 노화이론 = 374

   2. 죽음에 대한 준비 = 376

제5부 심리적 장애의 발달

 제12장 심리적 장애의 발달: 발달정신병리학

 Ⅰ. 발달정신병리학 = 386

   1. 발달정신병리학에서의 정신병리 = 387

   2. 심리적 장애의 진단 = 388

  Ⅱ. 발달단계별 장애행동 = 393 

   1. 영아기의 심리적 장애 = 393

   2. 아동기의 심리적 장애 = 398

   3. 청년기의 심리적 장애 = 402

   4. 성인기의 심리적 장애 = 408

  Ⅲ. 심리적 장애의 처치 = 411 

   1. 예방적 중재원리 = 412

   2. 치료적 중재원리 = 412

참고문헌 = 415

인명색인 = 451

사항색인 = 454



관련분야 신착자료

Vygotskiĭ, L. S (2023)
Marmion, Jean-François (2022)
박창호 (2023)
최경숙 (2023)
여태철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