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출입처 보도개선에 관한 연구 : 출입처 현장취재기자의 연구 보고서

출입처 보도개선에 관한 연구 : 출입처 현장취재기자의 연구 보고서 (Loan 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두수
Title Statement
출입처 보도개선에 관한 연구 : 출입처 현장취재기자의 연구 보고서 / 김두수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동남출판 ,   2000.  
Physical Medium
381 p. : 삽도 ; 23 cm.
ISBN
8995122218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379-381
000 00620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663729
005 20100806014614
007 ta
008 000504s2000 ulka 000a kor
020 ▼a 8995122218 ▼g 93070 : ▼c \145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56710
082 0 4 ▼a 070.43 ▼2 21
090 ▼a 070.43 ▼b 2000f
100 1 ▼a 김두수 ▼0 AUTH(211009)134558
245 1 0 ▼a 출입처 보도개선에 관한 연구 : ▼b 출입처 현장취재기자의 연구 보고서 / ▼d 김두수 지음.
260 ▼a 서울 : ▼b 동남출판 , ▼c 2000.
300 ▼a 381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 : p.379-381
950 0 ▼b \145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070.43 2000f Accession No. 1111567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연구서를 펴내면서 = 11
서론 = 17
 1. 연구의 목적 = 17
 2. 연구의 방향 = 19
제1편 「오프더레코드(비보도)」와 「엠바고(시한부보도유보)」의 현실과 문제
 제1장 출입처와 「오프더레코드」의 함수관계 = 27
  1. 「오프더레코드」에 대한 정의 = 27
  2. 「오프더레코드」는 누가 요구하나 = 31
  3. 「오프더레코드」를 요구하는 진실성의 한계 = 34
 제2장 특수한 출입처의 「오프더레코드」 = 39
  1. 정치권 등 권력핵심부의 「오프더레코드」의 남용 = 39
  2. 검찰을 비롯한 수사기관 출입처의 「오프더레코드」 = 42
  3. 정부와 행정기관, 자치단체의 「오프더레코드」 = 44
  4. 경제분야 출입처의 「오프더레코드」 = 46
 제3장 「오프더레코드」요구로 기자 이용하는 취재원들 = 48
  1. 「오프더레코드」 악용과 「기자 죽이기」 = 49
  2. 비밀주의를 조장할 수 있다 = 50
  3. 「오프더레코드」를 이용한 여론조작 = 51
 제4장 출입처와 출입기자들간의 「오프더레코드」의 문제점 = 52
  1. 국민 알권리 무시한 담합 = 53
제2편 미국과 일본의 「오프더레코드」 실상
 제1장 미국언론의 「오프더레코드」에 관한 인식 = 57
  1. 국민 알권리에 초점 = 58
  2. 「오프더레코드」에 대한 분명한 보도기준 = 59
  3. 「온더레코드(on the record)」가 기본원칙 = 60
  4. 미국의 「오프더레코드」 사례 = 61
 제2장 일본의 「오프더레코드」 실상 = 73
  1. 반드시 지켜야 하는 「오프더레코드」 관행 = 73
  2. 일본의 「오프더레코드」 실상 = 75
제3편 「엠바고」의 실상과 문제점 = 91
 1. 「엠바고」 실상 = 91
 2. 「엠바고」 문제점 = 92
 3. 「엠바고」와 출입처의 역학관계 = 93
제4편 지방언론의 출입처보도자료 활용분석
 제1장 울산시청·경남도청 보도자료 활용분석 = 99
  1. 보도자료 활용의 함수관계 = 102
  2. 보도자료에 대한 언론사들의 개선과제 = 104
 제2장 지역언론 자체 기사 개발과제 = 105
  1. 출입처와 기자단의 투명한 관계정립이 과제 = 107
  2. 출입기자실 개선에 대한 방향과 과제 = 109
제5편 일선 취재기자들의 「오프더레코드」와 「엠바고」에 대한 인식조사
 제1장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 115
  1. 조사내용 = 116
  2. 응답자들의 특성 = 123
 제2장 일선 출입기자들의 「오프더레코드」와 「엠바고」에 인식분석 = 125
  1. 출입처 현황 및 입체적 분석 = 127
  2. 「오프더레코드」에 대한 견해 = 129
  3. 「오프더레코드」에 대한 경험 = 131
  4. 「오프더레코드」의 결정 = 133
  5. 「오프더레코드」와 국민들의 알권리 침해 = 135
  6. 「오프더레코드」에 대한 거절과 보복경험 = 137
  7. 「엠바고」요구의 이행여부 = 139
  8. 「엠바고」 거절경험 = 141
  9. 「엠바고」거절과 출입처관계자의 비협조 경험 = 143
  10. 「엠바고」거절과 출입기자단의 보복경험 = 145
  11. 국익 중대사안의 「엠바고」 여부 = 147
  12. 출입기자실의 필요성여부 = 149
  13. 보도자료의 필요성여부 = 151
  14. 보도자료의 신뢰성여부 = 153
  15. 보도자료의 활용 = 155
  16. 보도자료 기사화한 후 후회경험여부 = 157
  17. 보도자료 비 기사화 한 후 상사로부터의(낙종관련) 압박경험 = 159
  18. 보도자료에 대한 사실확인 여부 = 163
  19. 보도경쟁으로 인해 도보자료사실 확인 기피 경험 = 165
  20. 「엠바고」·「오프더레코드」 위반자 징계의 필요성 여부 = 167
 제3장 출입기자 분야별 「오프더레코드」와 「엠바고」에 대한 조사분석 = 169
  1. 출입처 분야별 비보도 요구에 대한 태도 = 171
  2. 출입처 분야별 비보도 약속이행여부 = 173
  3. 출입처별 비보도 요구 결정 = 175
  4. 출입처별 비보도 요구 대한 국민의 알권리 침해여부 = 177
  5. 출입처별 취재원 비보도 요구 거절에 대한 보복여부 = 179
  6. 출입처별 보도유보(엠바고)에 대한 견해 = 181
  7. 출입처 보도유보요구 거절 경험 = 183
  8. 출입처별 보도요구 거절 뒤 불이익 경험 = 185
  9. 출입처별 보도유보 거절 뒤 기자단으로부터 불이익의 경험 = 187
  10. 출입처별 중대사안에 대한 「엠바고」에 대한 판단 = 189
  11. 출입처별 출입기자실 운영에 대한 의견 = 191
  12. 출입처별 보도자료의 필요성 = 193
  13. 출입처별 보도자료의 신뢰성 = 195
  14. 출입처별 보도자료의 활용 = 197
  15. 출입처별 보도자료의 홍보성에 대한 인식경험 = 199
  16. 출입처별 보도자료 기사화하지 않음으로 인한 상부의 압력 = 201
  17. 출입처별 보도자료 사실확인의 절차 = 203
  18. 출입처별 보도자료의 경쟁사 기자를 의식한 확인절차 생략경험 = 205
  19. 출입처별 「엠바고」.「오프더레코드」 위반자에 대한 징계 = 207
제6편 출입처보도개선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
 제1장 기자는 출입처와 취재원으로부터 요구받은 엠바고와 오프더레코드는 최소한 범위에서 적용해야 한다 = 211
 제2장 국민들의 알 권리가 더욱 중요하다 = 213
 제3장 「출입처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보도자료를 외면하라」 = 215
참고자료 - 「엠바고」에 대한 문제와 언론보도 내용 = 219
기자통신 - 1999년 10월호 특집기사(특집-왜곡된 「엠바고」 관행 어떻게 고칠것인가) = 220
 1. 「엠바고」와 정보통제 = 220
 2. 문화일보 「엠바고」 거부전말 = 230
 3. 미국언론의 「엠바고」 = 240
 4. 일본언론의 「엠바고」 = 249
 5. 「엠바고」와 관급기사 및 연합뉴스 작성 = 253
부록 = 289
 1. 「통합」 방송법〈2000년3월14일시행〉 = 291
 2. 정기간행물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 34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