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한국 성인교육사상 서설 연암과 다산의 성인교육사상의 맥을 잇대어
1. 사카이교이쿠(社會敎育) 일제식민지 유산의 청산과제 = 14
2. 실학의 성인교육정신 = 17
1) 연암 박지원의 성인교육론 = 19
(1) 아동교육에 대한 문제의식 = 20
(2) 열린 관계와 자성적 사고 = 22
2) 다산 정약용의 성인교육론 = 22
(1) 불가독설의 성인교육론 = 24
(2) 계급타파와 사회개조정신 = 27
3. 실학정신을 잇대는 성인교육 = 29
제2장 서재필의 성인교육사상
1. 생애와 활동 = 33
2. 근대 한국성인교육의 성립 = 36
1) 서재필 성인교육의 배경 = 36
2) 성인교육의 환경적 토대 = 39
3. 서재필의 성인교육사상 = 40
1) 평등사상 실현으로서의 성인교육 = 41
2) 만인의 깨우침, 부국부강 = 43
3) 자기 스스로 학습하는 성인학습자 = 45
4) 쓰임새 높은 성인교육의 교육과정 = 46
5) 대화중심 자유학습 = 49
6) 시민의 선생으로서의 성인교육자 = 51
4. 근대한국 성인교육의 성립 = 51
1) 성인교육의 새로운 의미 = 51
2) 평생교육, 평등교육사상 = 52
3) 자기주도학습 = 54
4) 전환학습, 개조학습 = 55
5. 서재필 성인교육의 공헌 = 58
1) 성인교육의 목적 : 개인적 사회적 변화 = 58
2) 아래로부터의 민중의 참여를 위한 성인교육 = 59
(부록) 서재필 약력 = 64
제3장 안창호의 성인교육사상
1. 생애와 활동 = 67
2. 도산 안창호의 성인교육운동 = 74
1) 한말 성인교육운동 = 75
2) 식민지 시기 성인교육운동 = 84
3. 도산의 성인교육운동의 사상적 기반 = 91
1) 사회진화론 = 94
2) 기독교 = 99
4. 도산 사상의 평가 = 107
5. 맺음말 = 117
제4장 김성수의 성인교육사상
1. 생애와 활동 = 123
2. 민족교육활동 = 128
1) 민족교육사상의 형성 = 128
2) 중앙학교의 인수 = 130
3) 보성전문학교의 인수 = 133
4) 김성수의 민족주의 교육사상 = 135
3. 민족기업 경성방직의 창설 = 136
1) 김성수의 기업 동기 = 136
2) 민족기업으로서의 경성방직 = 138
4. 민족언론 동아일보의 창간 = 139
1) 민족의 대변지 동아일보의 창간 = 139
2) 브나로드 운동의 전개 = 141
3) 한글운동과 맞춤법통일안의 채택 = 142
4) 물산장려운동과 동아일보의 역할 = 144
5. 한국성인교육에 미친 영향 = 145
제5장 임영신의 성인교육사상
1. 생애와 활동 = 153
1) 개인상 = 154
2) 시대상 = 157
3) 주요 경력 = 159
2. 승당 임영신의 애국성인교육 = 160
1) 애국교육 = 160
2) 여성교육 = 161
3) 기독교교육 = 163
3. 승당 임영신의 성인교육의 실천 = 164
1) 성인교육기관의 설립과 경영 = 164
2) 성인교육기관의 발전 = 166
5. 논의 및 평가 = 168
제6장 심훈의 성인교육사상
1. 생애와 활동 = 171
2. 심훈의 성인교육관련 문학작품 = 172
3. 일제하 한국농촌의 실태와 농촌계몽운동 = 175
4. 이회영과 심훈 = 178
5. 심훈의 사상과 성인교육 = 183
제7장 고황경의 성인교육사상
1. 생애와 활동 = 189
1) 군정하의 고황경 박사 = 195
2. 부녀국장 시절의 여성 성인교육활동 = 198
1) 시대상 = 198
2) 부녀국의 여성 성인교육활동 = 202
(1) 조직 정비 = 202
(2) 여성 계몽교육활동 = 207
(3) 기관지 『새살림』 발간 = 218
3. 논의 및 결론 = 222
제8장 김용기의 성인교육사상
1. 생애와 활동 = 227
1) 꿈꾸는 김용기 = 227
2) 「봉안 이상촌(奉安 理想村)」-제1개척시대 = 238
3) 「삼각산 농장」-제2개척시대 = 254
4) 「에덴향」-제3개척시대 = 264
5) 「황산 가나안 농장」-제4개척시대 = 270
6) 「농군학교」교장 시절의 사회활동 업적 및 저술활동 그리고 공로 = 276
2. 김용기의 생애철학 = 281
1) 인생관 / 세계관 = 281
2) 종교관 = 282
3) 직업관 / 농업관 / 경제관 = 284
4) 민족관 / 국가관 / 정치관 = 287
5) 세계평화주의 철학 = 294
3. 성인교육의 이론과 실천 : 「가나안 농군학교」의 설립과 운영 = 295
1) 「제 1 가나안 농군학교」 = 295
2) 「제 2 가나안 농군학교」 = 308
4. 김용기 성인교육사상의 의의 = 312
참고문헌 = 337
찾아보기 =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