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05namccc2002531k 4500 | |
001 | 000000663537 | |
005 | 20100806014205 | |
007 | ta | |
008 | 000502s2000 ulka 001a kor | |
020 | ▼a 8985449893: ▼c \15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154971 ▼l 111154972 ▼l 111154973 |
082 | 0 4 | ▼a 791.4309 ▼2 21 |
090 | ▼a 791.4309 ▼b 2000e | |
100 | 1 | ▼a Thompson, Kristin |
245 | 1 0 | ▼a 세계영화사: ▼b 영화의 발명에서 무성영화 시대까지 1880s-1929 ; ▼e 크리스틴 톰슨 ; ▼e 데이비드 보드웰 [공저] ; ▼e 주진숙...[등역]. |
246 | 1 9 | ▼a Film history : an introduction |
260 | ▼a 서울 : ▼b 시각과언어 , ▼c 2000. | |
300 | ▼a 334 p. : ▼b 삽도 ; ▼c 26 cm. | |
700 | 1 | ▼a 주진숙 , ▼e 역 |
700 | 1 | ▼a Bordwell, David |
950 | 0 | ▼b \15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9 2000e | Accession No. 11115497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0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all Number 791.4309 2000e | Accession No. 192050810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309 2000e | Accession No. 1511609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309 2000e | Accession No. 15116099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9 2000e | Accession No. 11115497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0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all Number 791.4309 2000e | Accession No. 192050810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309 2000e | Accession No. 1511609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309 2000e | Accession No. 15116099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크리스틴 톰슨과 데이비드 보드웰의 <세계영화사 Film History: An Introduction>의 한국어판. 1000페이지가 넘는 양으로, 3권으로 나누어 출간되었다. 단순히 각 시대의 대표작들을 열거한 안내서가 아니라, 방대한 '세계' 영화의 역사를 최대한 '포괄적'으로 다루려고 시도한 역사서이다.
기존에도 많은 영화역사책들이 있어 왔지만 이 책의 특징은 영화의 역사를 그것이 기반하는 특정한 국가의 역사, 정치적 혹은 경제적 상황 등의 제반 요소와 연루시켜 세밀히 고찰하고 있다는 점이다. 영화 양식, 기술적 측면, 영화운동, 영화산업 그리고 비서사 영화(다큐멘터리)와 같은 영역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첫번째 권에서는 영화의 탄생에서 무성영화시대까지를, 두번째 권에서는 1926년 음향의 도입에서 1960년대의 '새로운 물결'까지를 다룬다. 3권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실제 영화의 프레임에서 확대한 사진 자료와 예제가 풍부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데이비드 보드웰(지은이)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영화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9년 현재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예술과의 영화 연구 전공 명예교수이다. 국내에 번역된 저서로는 크리스틴 톰슨과 함께 공동 집필한 『영화 예술』, 『Film History』를 비롯하여 『세계영화사 1, 2, 3』, 『영화의 내레이션 1, 2』, 『영화 스타일의 역사』 등이 있다. 블로그 [영화 예술에 관한 관찰 Observation on film art]을 운영하고 있다. www.davidbordwell.net/blog
크리스틴 톰슨(지은이)
<세계영화사 1>
주진숙(옮긴이)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영화학 석사학위를,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에서 영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영화평론가협회장, 국제영화비평가 연맹 한국지부 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영상자료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 여성감독 연구: 시나리오 〈유정무정〉을 중심으로 본 홍은원의 여성들」, 「한국 현대사회에 대한 성찰적 기획으로서 이창동의 영화들」 등 감독론 및 페미니즘 영화 이론을 중심으로 한 학술논문과 『한국의 영화감독 7인을 말하다』(공저), 『다양과 공존』(공저), 『여성영화인사전』(공저) 등의 책을 썼다.

Table of Contents
목차 1권 책머리에 = 23 서문 = 26 역사,사료편찬 그리고 영화사 / 방법론 개관 = 33 책 구성의 특징 = 48 1부 초기 영화 = 53 1. 영화의 발명과 초기시대, 1880년대∼1904년 = 55 영화의 발명 = 56 활동사진이 만들어지기 위한 전제조건 = 56 활동사진의 주요 선구자들 = 57 영화의 발명으로 나아가는 국제적 과정 = 60 초기의 영화제작과 상영 = 65 프랑스 영화산업의 성장 = 68 영국과 '브라이튼 학파' = 72 미국: 경쟁과 에디슨의 재기 = 74 참고문헌과 질의사항들 = 80 초기 영화의 분류와 보존 = 80 초기 영화에 대한 관심의 부활 : 브라이튼 학회 = 81 주 = 81 2. 영화의 국제적 확산,1905∼1912년 = 83 유럽에서의 영화제작 = 83 프랑스 = 83 이탈리아 = 85 덴마크 = 87 그 밖의 국가들 = 89 미국 영화산업의 확장을 위한 투쟁 = 89 니클로디안의 성황 = 89 영화특허권회사 대 독립업자들 = 91 사회적 압력과 자체검열 = 94 장편영화의 등장 = 95 스타 시스템 = 96 할리우드로 이동 = 97 영화양식에 대한 좀더 많은 탐구 = 98 간자막 = 99 연속체계의 시작 = 100 카메라 위치와 연기 = 106 색체 = 108 세트디자인과 조명 = 108 국제적인 양식 = 109 참고문헌과 질의사항들 = 112 영화양식의 발전에 있어서 그리피스의 중요성 = 112 주 = 113 3. 국가영화,할리우드 고전주의, 제1차 세계대전,1913∼1919년 = 115 미국이 세계시장을 접수하다 = 116 국가영화의 등장 = 118 독일 = 119 이탈리아 = 121 러시아 = 122 프랑스 = 125 스칸디나비아 = 127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 = 134 스튜디오 시스템으로 이동 = 134 1910년대 할리우드의 영화제작 = 137 영화와 영화제작인들 = 140 애니메이션 = 145 군소 제작국가들 = 146 참고문헌과 질의사항들 = 148 계속 재발견되는 1910년대 = 148 주 = 149 2부 후기 무성영화 시대, 1919년∼1929년 = 151 4. 1920년대의 프랑스 = 153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프랑스 영화산업 = 153 전후의 주요장르 = 156 프랑스 인상주의 운동 = 158 영화산업과 인상주의자들의 관계 = 158 인상주의 이론 = 161 인상주의의 형식적 특성 = 162 프랑스 인상주의의 종말 = 171 참고문헌과 질의사항들 = 173 프랑스 인상주의 이론과 비평 = 173 (나폴레옹)의 복구작업 = 174 주 = 175 5. 1920년대의 독일 = 176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독일 상황 = 176 전후 독일영화의 장르와 양식 = 178 스펙터클 = 179 독일표현주의 운동 = 180 카머스피엘 = 187 해외에서의 독일영화 = 189 1920년대 중반에서 후반까지의 주요 변화 = 190 독일 스튜디오의 테크놀로지 개선 = 190 인플레이션의 종결 = 192 표현주의 운도의 종말 = 194 새로운 객관성 = 196 수출과 고전적 양식 = 199 참고문헌과 질이사항들 = 200 독일영화와 독일사회 = 200 어떤 영화가 표현주의인가? = 200 표현주의, 새로운 객관성 그리고 다른 예술들 = 201 주 = 202 6. 1920년대의 소비에트 영화 = 203 전시 공산주의의 어려움, 1918∼1920 = 204 신경제정책 하에서의 복구, 1921∼1924년 = 208 성장과 수출, 점증하는 국가통제, 1925년∼1933년 = 210 영화산업에 일어난 변화 = 210 새로운 감독 세대 = 212 몽타주 감독들의 이론적 글들 = 217 소비에트 몽타주 형식과 양식 = 218 다른 소비에트 영화들 = 229 5개년 계획과 몽타주 운동의 종말 = 230 참고문헌과 질의사항들 = 232 영화산업과 정부정책 : 뒤엉킨 역사 = 232 쿨레쇼프 효과 = 233 러시아 형식주의와 영화 = 233 주 = 234 7. 할리우드의 후기 무성영화 시대, 1920년∼1928년 = 235 극장 체인과 영화산업의 구조 = 236 영화제작자 및 배급업자협회 = 240 스튜디오의 영화제작 : 감독, 스타, 장르 = 241 1920년대 초반의 대규모 예산 영화들 = 243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마이너 장르 = 246 새로운 부자와 블록버스터 = 251 중소규모의 비관습적인 영화들 = 253 할리우드의 외국 영화제작인들 = 254 할리우드로 온 루비치 = 255 미국으로 온 스칸디나비아인들 = 256 유니버설의 유럽 감독들 = 258 무르나우와 폭스에서의 영향력 = 258 양식적 그리고 기술적 변화들 = 260 더 효과적이고 대중적이 된 애니메이션 = 262 아프리카계 미국인 관객을 위한 영화들 = 265 참고문헌과 질의 사항들 = 267 브라이튼의 재발견 = 267 주 = 268 8.1920년대의 세계적 경향 = 269 '영화 유럽' = 269 국제적인 양식 = 273 주류 산업 외부의 영화실험들 = 279 뛰어난 장편 기록영화 = 292 국제적인 상업 영화제작 = 294 일본 = 295 영국 = 297 이탈리아 = 297 소규모의 영화를 생산한 국가들 = 298 참고문헌과 질의사항들 = 300 고전 무성영화의 다른 변형판들 = 300 주 = 301 참고문헌 = 303 용어해설 = 311 사진출처 = 319 찾아보기 = 321 옮긴이의 글 =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