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제1부 = 인간이란?
제1장 마음과 신체 = 3
1. 마음과 신체의 관계 = 3
2. 인간의 뇌 = 8
3. 신체를 움직이는 신경계와 내분비선의 기능 = 26
4. 심리학과 교육의 관계 = 36
5. 어떤 마음으로 살것인가? = 44
제2장 지능 = 57
1. 지능의 개념 = 57
2. 지능의 구조 = 61
3. 지능검사 = 67
4. 지능과 직업 = 72
5. 지능과 일반 성취도 = 74
6. 지능의 발달 = 78
7. 지능개발을 위한 유아지도 = 86
8. IQ해석방법 = 90
제3장 발달 = 91
1. 발달의 개념 = 91
2. 쟝삐아제의 인지발달 = 105
3. 브리지스의 정서발달 = 116
4. Kohlberg의 도덕발달 = 117
5. Freud의 심리성적 발달 = 121
6.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 140
7. Havighust의 발달과업 = 147
8. 발달의 일반원리 = 148
9. 문화실조아와 모성실조아 = 152
10. 청년기의 특징 = 157
11. 부모가 알아야할 자녀발달의 특징 = 161
제4장 학습이론 = 165
1. 인간의 이해 = 165
2. Thorndike = 169
3.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 171
4. Skinner = 176
5. Watson = 194
6. Hull = 197
7. K$\ddot{o}$hler = 200
8. Lewin = 202
9. Tolman = 203
10. Bandura = 205
11. 인본주의 학습설 = 212
12. 정보처리 이론 = 216
13. 학습이론의 현실생활에서의 적응 = 218
제2부 동기
제5장 동기 = 223
1. 동기의 개념 = 223
2. 학자별 동기 이론 = 229
3. 자아개념, 불안, 포부 수준 = 245
4. 학교 학습 모형 = 250
5. 동기 측정 = 251
제3부 성격
제6장 성격 = 255
1. 성격의 정의 = 255
제7장 성격이론 = 263
1. Kretchmer = 263
2. Sheldon = 264
3. Jung = 265
4. Allport = 269
5. Cattell = 274
6. Adler(신 Freud학파) = 275
7. Rogers의 자기이론 = 275
8. Kelly = 277
9. Maslow = 278
10. 학자들의 성격 연구 특징 = 280
제8장 성격형성 = 285
1. 유전 = 285
2. 환경 = 287
3. 가정적 요인 = 288
제9장 성격검사 = 295
1. 면접(Interview): 성격검사의 초보적·기본적 방법 = 296
2. 평정법(rating method) = 297
3. 질문지법(Questionary) = 298
4. 투사법(projective techniques) = 302
제10장 건강한 성격의 특징 = 309
1. 인본주의 관점 = 309
2. 학자별 건강한 성격 특성 = 310
3. 미숙·성숙 = 310
4. 건강한 성격 = 311
제4부 적응과 대처과정
제11장 대인관계 = 315
1. 대인관계의 개념 = 315
2. 건전한 대인관계의 특성 = 316
주제발표: 성공적인 대인관계에 대한 연구 = 321
3. 불건전한 관계의 해결책 = 325
제12장 스트레스와 그 대응 = 327
1. 스트레스란? = 327
2. 스트레스의 원인 = 329
3. 스트레스에의 효과적인 대처(coping) = 337
주제발표: 아동기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방안 = 341
제13장 청년기의 정신위생 = 347
1. 정신건강의 중요성 = 347
2. 사랑 = 349
3. 결혼 = 355
주제발표: 성공적인 결혼생활 = 363
4. 性(Sex) = 369
5. 자살에의 유혹 = 372
6. 알코올 = 376
7. 흡연 = 384
주제발표: 청소년의 음주와 흡연 = 388
8. 정신건강의 정상과 이상 = 392
제5부 부적응 행동유형과 치료방법
제14장 공격성(Aggression) = 397
1. 정의 = 397
2. 공격성 = 397
3. 공격적 행동의 원인 = 398
4. 예방 = 398
주제발표: 공격성 이론에 대한 연구 = 398
제15장 주의력 결핍 및 학습장애 = 403
주제발표: 주의력 결핍 및 학습장애 = 403
1. 주의력 결핍의 요소 = 403
2. 유아의 성장에 따른 주의집중 변화의 특징 = 403
3. 학습장애의 정의 = 404
4. 학습장애의 진단과 교육평가 및 지도절차 = 404
제16장 조울증 = 407
주제발표: 조울증에 대한 연구 = 407
1. 정의 = 407
2. 우울증 증상 = 407
3. 조증(躁症) = 408
4. 신경증과 정신병의 특성 비교 = 408
5. 조울증(操鬱症) = 408
제17장 도벽 = 413
주제발표: 도벽행동 수정 = 413
1. 도벽 = 413
2. 도벽에 대한 관찰을 통해 그 행위를 감소시킨 예 = 415
제18장 자기애 성격장애 = 419
1. 개념 = 419
2. Narcissism(자기애) = 419
3. 임상적 특징 = 421
4. 자기존중(self-esteem)의 중요성 = 422
5. 자기존중감 고취 방법 = 422
제19장 인지적 행동수정(CBM) = 425
주제발표: CBM응용 = 425
1. 용어의 정의 = 425
2. 이론적 배경 = 426
3. 다면적 접근방법 = 429
4. 충동성 아동들을 돕기 위한 전략 = 430
참고문헌 = 431
부록 = 433
1. "인간심리의 이해" 강의계획서 = 435
2. 시험문제 "인간심리의 이해" (진단평가, 중간고사, 기말고사) = 436
3. 강의식 교수법 = 440
4. 학습지도안 견본 = 442
5. VTR 감상평 양식 = 449
6. 세상을 보는 지혜 = 450
7. 음악감상("The Power of Love", "Without You") = 451
8. 학생의 편지 = 453
9. 나의 일상적인 말(용어)의 분석 = 454
10. 나의 성격 보고서 및 분석 = 455
11. Basic Techniques in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and Therapy = 457
찾아보기 =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