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62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0663444 | |
005 | 20100806014018 | |
007 | ta | |
008 | 000428s2000 ulk 001a kor | |
020 | ▼a 8933703705 ▼g 93910 : ▼c \16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154867 ▼l 111154868 ▼l 111154869 ▼l 192019049 |
082 | 0 4 | ▼a 346.53052 ▼2 21 |
090 | ▼a 346.53052 ▼b 2000 | |
100 | 1 | ▼a Pdterson, Mark A. |
245 | 1 0 | ▼a 儒敎社會의 倉出 : ▼b 조선 중기 입양제와 상속제의 변화 / ▼d 마크 피터슨 지음 ; ▼e 金惠貞 옮김. |
246 | 1 9 | ▼a Korean adoption and inheritance : case studies in the creation of a classic confucian society |
260 | ▼a 서울 : ▼b 一潮閣 , ▼c 2000. | |
300 | ▼a xviii, 252 p.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 : p. 233-242 | |
700 | 1 | ▼a 김혜정, ▼e 역 |
950 | 0 | ▼b \16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6.53052 2000 | 등록번호 1111548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6.53052 2000 | 등록번호 11115486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6.53052 2000 | 등록번호 1111548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346.53052 2000 | 등록번호 192019049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마크 피터슨(지은이)
브리검영대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한국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브리검영대학교에서 30년 이상 한국사를 강의했으며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유교사회의 창출》(일조각, 2000년)이 있고 ‘우물 밖의 개구리’(The Frog Outside the Well)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Mark Peterson (professor emeritus of Korean history, literature and language, Department of Asian and Near Eastern Languages. Brigham Young University, Provo, UT) received B.A. in Asian Studies and Anthropology from Brigham Young University in 1971. He received his M.A. in 1973 and his Ph.D. in 1987, both from Harvard University in the field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 Prior to coming to BYU in 1984 he was the director of the Fulbright program in Korea from 1978 to 1983. He has been the coordinator of the Asian Studies Program and was the director of the undergraduate programs in the David M. Kennedy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Dr. Peterson is a member of th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where he was formerly the chair of the Korean Studies Committee; was also the book review editor for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for Korean Studies books. He is also a member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International Korean Literature Association, and the American Association of Korean Teachers. He served as past editor-in-chief for the Korea Journal, published by UNESCO in Korea, from 2015 to 2017. Currently he is working with a research center he founded called The Frog Outside the Well Research Center, which publishes an active YouTube channel by that name. He also writes a weekly column for The Korea Times.

목차
목차 지은이의 말 옮긴이의 말 서론 부계친의 입양 = 2 부계친족 = 3 17세기 이전의 가족 = 5 조선중기, 17세기 = 7 자료 = 7 주자학의 영향 = 9 연구 성과와 그 문제점 = 10 인류학 이론과 한국 종족제도의 비교연구 = 14 共系 親族 = 18 사례연구의 중요성 = 21 제1장 상속제의 변화 1. 머리말 = 23 2. 법률과의 관행 (1) 법률 = 24 (2) 관행 = 28 3. 지역 사례를 통하여 본 상속제의 변화 (1) 全北地域의 사례-『扶安金氏愚磻古文書』를 중심으로- = 43 (2) 慶北地域의 사례 : 상속제의 변화와 딸의 상속권 상실 = 64 4. 맺음말 = 73 제2장 여성과 結婚, 蓄妾, 庶子 -상속제의 문제점과 대안- 여성을 가리키는 전통적인 문구 = 75 結婚 = 76 重婚制: 獻納 高台弼의 事案 = 80 金泂의 事案 = 81 黃孝源의 事案 = 82 洪允成의 事案 = 87 許亨과 許混의 事案 = 88 奉繪의 事案 = 89 河福生의 事案 = 90 庶子의 身分 = 91 毛知里의 事案 = 96 庶子와 四寸嫡女 사이의 분쟁 = 98 庶子와 叔父와의 분쟁 = 100 官職 任用에서의 庶孼에 대한 차별 = 101 崔適과 武科 = 102 庶子 柳子光의 정치적 역할과 庶子像 = 104 許通運動 = 105 庶子에 대한 栗谷의 지지 = 109 庶子의 官職 임용을 주장한 또 다른 유학자들 = 111 가족 내 庶子의 지위 = 114 庶子와 養子入養 = 119 제3장 養子制의 변화 養子와 딸 = 122 姜籌의 事案 = 124 金紹의 事案 = 126 16세기에 있었던 事案들 = 127 16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사안 = 131 宋夏錫과 李泰基의 분쟁 = 132 총婦 = 135 총婦와 次子 = 140 총婦와 입양의 특권 = 141 총婦의 특권 약화 = 144 支子에 의한 계승 = 148 趙瑾의 事案 = 148 金堅壽의 事案 = 149 申承閔의 事案 = 150 朴坤의 事案 = 155 癸丑受敎 = 157 南調元의 事案 = 158 宣祖와 癸丑受敎 = 168 제4장 이상적인 養子制의 정착 원칙 = 171 罷繼歸宗 = 176 沈之源의 事案과 癸丑受敎 = 178 扶安 金氏 家門의 後生子 事案 = 183 먼 친척의 입양(遠親者入養) = 188 文集에 나타나는 입양에 대한 견해들 = 193 承重子가 된 庶子-『繼後謄錄』의 事案을 중심으로- = 195 하층신분의 수용 = 201 『收養侍養謄錄』= 202 이상적인 양자제 = 204 결론 중국에서의 상속과 입양 = 205 일본에서의 상속과 입양 = 209 한국에서의 상속과 입양 = 211 변화를 초래한 원인들 : 종래의 연구성과와 그 의의 = 214 변화를 초래한 원인들 :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과 그 중요성 = 217 이데올로기적 요인 = 218 결혼제도의 변화 = 220 인구변천과 관련된 요인 = 222 경제성장과 종족제도의 발달 = 223 한정된 자원과 분할상속의 붕괴 = 225 정치적인 요인들 = 225 전쟁의 충격 = 227 원인과 결과 : 유교화의 중요성 = 229 시대구분 : 조선 중기에 대한 새로운 조명 = 230 미래의 가족 =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