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25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662562 | |
005 | 20100806012112 | |
007 | ta | |
008 | 000417s1999 ulk 000a kor | |
020 | ▼a 8937806371 ▼g 14370: ▼c \5200 | |
020 | 1 | ▼a 8937806266(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54720 ▼f 교육대학원 |
090 | ▼a 373.19 ▼b 1999c ▼c 5 | |
110 | ▼a 한국 . ▼b 교육부 | |
245 | 1 0 | ▼a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 ▼b 외국어(영어), 재량 활동,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 ▼d [교육부 편] . ▼n 5. |
260 | ▼a 서울 : ▼b 대한교과서주식회사 , ▼c 1999. | |
300 | ▼a vi, 371 p. ; ▼c 26 cm. | |
490 | 0 0 | ▼a 교육부 고시 ; ▼v 제1997-15호에 따른 |
504 | ▼a 참고문헌 : p.371 | |
950 | 0 | ▼b \52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3.19 1999c 5 | 등록번호 11137979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3.19 1999c 5 | 등록번호 1113797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 청구기호 교육대학원교학과 N11 K66 5 | 등록번호 111154720 | 도서상태 대출불가(별치)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외국어(영어) 1. 외국어(영어)과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 2 2. 외국어(영어)과 교육 과정의 변천 = 4 가. 교수 요목의 시기(1946∼1954) = 4 나. 제1차 교육 과정의 시기(1954∼1963) = 5 다. 제2차 교육 과정의 시기(1963∼1973) = 5 라. 제3차 교육 과정의 시기(1973∼1981) = 6 마. 제4차 교육 과정의 시기(1981∼1987) = 6 바. 제5차 교육 과정의 시기(1987∼1992) = 7 사. 제6차 교육 과정의 시기(1992∼1997) = 7 3. 외국어(영어)과 교육 과정 개정의 중점 = 9 가. 생활 영어 중시 = 9 나. 언어 사용 능력 신장 = 9 다. 활동·과정/과업 중심의 학습 중시 = 9 라. 성취 기준의 명료화 및 상세화 = 10 마. 수준에 맞게 학습할 수 있는 여건 마련 = 10 4. 외국어(영어)과의 성격과 특징 = 12 5. 외국어(영어)과의 목표 = 14 6. 외국어(영어)과의 내용 = 17 가. 내용 체계 = 17 나. 학년/단계별 성취 기준 = 25 7. 외국어(영어)과의 교수·학습 방법 = 85 8. 외국어(영어)과의 평가 = 90 가. 교육 과정에 나타난 평가 = 90 나. 수행 평가 = 91 9. 외국어(영어)과 신·구 교육 과정의 비교 = 99 참고 문헌 = 101 재량 활동 1. 재량 활동 신설의 배경 및 의의 = 104 가. 재량 활동 신설의 배경 = 104 나. 재량 활동의 신설의 의의 = 106 2. 재량 활동의 성격과 특징 = 109 3. 재량 활동의 목표 = 111 4. 재량 활동의 내용 = 112 5. 재량 활동 교육 과정의 편성·운영 지침 = 115 6. 재량 활동 편성·운영 방안 = 120 가. 기본 방향 = 120 나. 재량 활동 편성·운영의 형태 = 122 다. 영역별 편성·운영 방안 = 124 라. 학교 재량 활동 편성·운영의 기본 절차 = 126 7. 재량 활동 편성·운영의 예시 = 131 8. 재량 활동의 평가 = 140 부록 = 142 한문 1. 한문 과목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 150 가. 교육 과정의 편제 변화 = 150 나. 한문 과목 교육 과정 개정의 내재적 요인 = 151 2. 한문 과목 교육 과정의 변천 = 153 가. 체제 = 153 나. 목표 = 153 다. 내용 및 내용 체계 = 153 라. 제재 선정의 기준 = 154 마.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 = 154 3. 한문 과목 교육 과정 개정의 중점 = 155 4. 한문 과목의 성격과 특징 = 157 가. 한문 과목의 성격 = 157 나. 중학교 한문 과목의 성격 = 158 5. 한문 과목의 목표 = 160 6. 한문 과목의 내용 = 161 가. 내용 체계 = 161 나. 영역별 내용 = 162 7. 한문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 = 199 가. 교수·학습 계획 = 199 나. 교수·학습 방법 = 201 다. 교수·학습 자료 = 203 8. 한문 과목의 평가 = 205 가. 평가 계획 = 205 나. 평가 방법 = 207 다. 평가 결과의 활용 = 208 9. 한문 과목 신·구 교육 과정의 비교 = 210 가. 개정의 중점 = 210 나. 개정 사항 요약 = 210 다. 신·구 교육 과정의 비교 = 210 컴퓨터 1. 컴퓨터 과목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 214 가. 컴퓨터 과목의 제7차 교육 과정의 기반 = 214 나. 환경적인 배경 = 215 다. 외국의 정보 기술 교육 = 216 2. 컴퓨터 과목 교육 과정의 변천 = 219 가. 제3차 교육 과정 = 219 나. 제4차 교육 과정 = 220 다. 제5차 교육 과정 = 220 라. 제6차 교육 과정 = 222 마. 제7차 교육 과정 = 224 3. 컴퓨터 과목 교육 과정 개정의 중점 = 227 4. 컴퓨터 과목의 성격 = 229 5. 컴퓨터 과목의 목표 = 231 가. 총괄 목표 = 232 나. 하위 목표 = 233 6. 컴퓨터 과목의 내용 = 234 가. 컴퓨터 과목의 체제 = 234 나. 영역별 내용 = 234 7. 컴퓨터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 = 246 가. 과목의 특성 = 246 나. 과목 운영의 중점 = 247 다. 학습 운용 방식 = 248 라. 과제 해결의 지도 = 249 마. 수준별 지도 = 249 바. 실기 지도 = 249 사. 학습 진행 = 250 아. 윤리 지도 = 250 자. 영역별 유의 사항 = 250 8. 컴퓨터 과목의 평가 = 252 9. 컴퓨터 과목 신·구 교육 과정의 비교 = 255 환경 1. 환경 과목 교육 과정 개정의 배경 = 258 가. 환경 친화적인 사고 함양 = 259 나. 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한 환경 교육 = 259 다. 학습자의 활동을 중시 = 260 라. 지역적 맥락을 고려한 환경 인식 = 260 2. 환경 과목 교육 과정의 변천 = 262 가. 1980년 이전 시기(태동기) = 262 나. 1981∼1991년(성립기) = 263 다. 1992년 이후의 시기(정착기) = 264 3. 환경 과목 교육 과정 개정의 중점 = 266 가. 수준별 교육 과정의 구성 = 266 나. 종합적인 환경 인식 형성 = 266 다. 환경 학습 내용의 적정화 = 267 라. 일상 생활 속에서의 환경 교육 = 267 마. 지역 중심의 환경 교육 내용 선정 = 268 4. 환경 과목의 성격과 특징 = 269 가. 환경 과목의 성격 = 269 나. 환경 과목의 특징 = 270 5. 환경 과목의 목표 = 271 가. 목표 설정의 배경 = 271 나. 환경 과목의 목표 = 271 6. 환경 과목의 내용 = 273 가. 내용 선정 및 조직의 기준 = 273 나. 환경 과목의 내용 체계 = 274 다. 영역별 내용 = 275 7. 환경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 = 290 8. 환경 과목의 평가 = 297 가. 환경 과목 평가의 원칙 = 297 나. 환경 교육 평가 방법 = 297 다. 평가 = 299 9. 환경 과목의 교수·학습 계획과 지도 = 301 가. 환경 과목의 학교 교육 과정 편성 = 301 나. 연간 교수·학습 계획 = 302 다. 교수·학습 모형 예시 = 303 라. 평가 예시 = 304 10. 환경 과목의 신·구 교육 과정의 비교 = 305 생활 외국어 1. 생활 외국어 과목 교육 과정 개발의 배경 = 308 2. 생활 외국어 과목 교육 과정 개발의 중점 = 310 가. 의사 소통 활동 중심의 외국어 교육 = 310 나. 문화 이해 교육의 중시 = 310 다.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활동의 강조 = 311 라. 내용 활용의 유연성 강조 = 311 3. 생활 외국어 과목의 성격과 특징 = 313 가. 성격 설정의 기본 방향 = 313 나. 생활 외국어 과목의 성격과 특징 = 314 4. 생활 외국어 과목의 목표 = 317 5. 생활 외국어 과목의 내용 = 319 가. 내용 체계 = 319 나. 과목별 목표 = 320 6. 생활 외국어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 = 366 7. 생활 외국어 과목의 평가 = 369 참고 문헌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