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단원1 문자, 발음, 표기
1. 문자론 = 15
1.1. 문자론 연구의 필요성 = 15
1.2. 입말과 글말의 상관성 = 17
1.3. 문자론의 용어 = 20
1.4. 문자론의 영역 = 23
1.5. 문자 발달사 = 25
1.6. 차자법 = 38
2. 한글 = 43
2.1. 한글의 문자론적 특성 = 43
2.2. 문자 인지(文字 認知)의 문제 = 48
2.3. 표기법의 원리 : 표음주의와 표의주의 = 55
3. 자소와 음소의 상관성 = 59
3.1. 자소의 기능 부담 = 59
3.2. 국어의 자소 기능부담량 = 61
3.3. 영어의 자소 기능부담량 = 64
4. 표음주위와 표의주의의 대립과 중립 = 68
5.표기법의 변천사 = 71
5.1. 표의주의의 유형과 발달 = 71
5.2. 표음주의의 유형과 발달 = 75
5.3. 연철, 분철, 중철 표기와 그 발달 = 77
6. 현대 정서법의 실제 = 82
6.1. 한글맞춤법의 원리 = 82
6.2. 현대 정서법의 표기와 발음의 상관성 = 84
7. 정리 = 102
단원2 한글 맞춤법론
1. 한글맞춤법의 역사 = 109
2. 제1장 총칙 = 115
3. 제2장 자모 = 117
4.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 119
5.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 128
6. 제5장 띄어쓰기 = 152
7. 제6장 그 밖의 것 = 159
8. 정리 = 162
단원3 한글 띄어쓰기론
1. 머리말 = 163
2. 구두법과 띄어쓰기의 개념 = 164
2.1. 구두점찍기 = 165
2.2. 토달기 = 165
2.3. 띄어쓰기 = 166
3. 무규범기의 띄어쓰기 변천사 = 168
3.1. 전통 높임법 띄어쓰기 : 대두법(擡頭法) = 168
3.2. 외국인에 의한 띄어쓰기 = 170
3.3. 내국인에 의한 띄어쓰기 = 173
4. 규범기의 띄어쓰기 변천사 = 176
4.1. 어문규범의 변천사 = 177
4.2. 통일안 규범기 = 180
4.3. 정부안 규범기 = 186
5. 현행 규정의 영역별 변천사와 문제점 = 201
5.1. 조사-의존명사의 띄어쓰기 = 201
5.2. 단위성 의존명사 = 210
5.3. 수 표기 = 212
5.4. 의존용언 = 212
5.5. 합성어 = 216
5.6. 파생어 = 224
5.7. 고유명사와 전문용어 = 226
6. 북한의 띄어쓰기 = 229
6.1. 제1기 : 통일안 및 '조선어신철자법' 시대(1945-1954) = 230
6.2. 제2기 : '조선어철자법' 시대(1954-1966) = 230
6.3. 제3기 : '조선말규범집' 시대(1966-1987) = 231
6.4. 제4기 : 개정 '조성말규범집' 시대(1987-현재) = 232
7. 띄어쓰기의 효용 문제 = 235
8. 정리 = 238
단원4 문장부호론
1. 전통적 문장부호 = 243
1.1. 구두법과 구두점 = 243
1.2. 구두점찍기 = 244
2. 현대의 문장부호 = 251
2.1. 제1기 : 한글학회 '한글맞춤법통일안' 시기(1933-1964) = 252
2.2. 제2기 : 정부 제정 '교정편람' 시기(1964-1988) = 253
2.3. 제3기 : 정부 제정 '한글맞춤법' 시기(1988-현재) = 253
3. 북한의 문장부호 = 256
3.1. 제1기 : 통일안 및 '조선어신철자법' 시대(1945-1954) = 257
3.2. 제2기 : '조선어철자법' 시대(1954-1966) = 258
3.3. 제3기 : '조선말규범집' 시대(1966-1987) = 259
3.4. 제4기 : 개정 '조선말규범집' 시대(1987-현재) = 260
4. 중국 한인 동포 지역의 문장부호 = 260
5. 한국-북한과 중국 한인 지역 문장부호 규정 비교 = 264
6. 한글맞춤법의 문장부호 규정의 보완점 = 291
7. 정리 = 294
단원5 표준어론
1. 표준어와 방언 = 297
2. 표준어의 개념, 기능, 선정 조건 = 299
3. 표준어, 공용어, 공통어의 개념과 세계 언어의 실태 = 313
4. 국어의 표준어 역사 = 320
5. 현행 '표준어규정'에 대한 검토 = 325
6. 정리 = 346
단원6 외래어와 외래어 표기법론
1. 외래어 연구의 방향 = 349
2. 외래 언어 요소의 차용 유형 = 351
2.1. 언어 단위에 따른 차용 = 351
2.2. 차용 동기에 따른 유형 = 356
2.3. 원어 유지 여부에 따른 유형 = 359
2.4. 지속성에 따른 유형 = 362
3. 외래어와 어원문제 = 364
4. 외래어의 차용 방법 = 367
5. 외래어의 변용 양상 = 374
5.1. 형태변용의 양상 = 377
5.2. 의미변용의 양상 = 379
6. 외래어의 경쟁 = 381
7. 한제외래어 = 384
8. 외래어표기법의 문제 = 390
9. 정리 = 393
단원7 로마자 표기법론
1. 로마자 표기의 한계 = 395
2. 전자법과 전사법 = 398
3. 국어 로마자표기법의 변천사 = 399
3.1. 개화기 = 399
3.2. 일제강점기 = 400
3.3. 대한민국 정부 시기 = 400
4. 쟁점 사항 = 405
5. 로마자표기법의 혼란 실태 = 406
5.1. 외적 혼란 양상 = 408
5.2. 내적 혼란 양상 = 409
6. 정리 : 현행 전사법의 문제법 = 415
단원8 오용언어와 국어순화론
1. 오용언어의 실태 = 421
2. 음운 영역의 오용과 지도법 = 432
2.1. 자음의 발음 및 표기의 오용 = 434
2.2. 모음의 발음 및 표기의 오용 = 447
2.3. 끊어읽기(休止, pause)의 오용 = 459
2.4. 장음과 단음의 오용 = 459
3. 형태 영역의 오용과 지도법 = 463
3.1. 준말의 오용 = 463
3.2. 원말과 변음어의 문제 = 467
3.3. 형태와 표기의 상관성 지도 = 467
3.4. 파생어와 합성어의 오용 = 470
4. 통사 영역의 오용과 지도법 = 473
4.1. 체언의 오용 = 473
4.2. 조사의 오용 = 475
4.3. 용언의 오용 = 476
4.4. 어미의 오용 = 479
4.5. 피동법의 오용 = 482
4.6. 사동법의 오용 = 485
4.7. 시제 표현의 오용 = 487
4.8. 의존용언 구문의 오용 = 488
4.9. 높임법의 오용 = 489
4.10. 부사의 오용 = 491
4.11. 관형사의 오용 = 492
4.12. 통사적 변형상의 오용 = 494
4.13. 성분 호응 및 생략상의 오용 = 495
4.14. 주체와 객체의 혼동 = 497
4.15. 외래어투 번역 표현의 남용 = 498
5. 의미 영역의 오용과 지도법 = 499
5.1. 부정확한 어휘 = 500
5.2. 외래어 문제와 말다듬기 지도법 = 504
5.3. 모순어법 = 511
5.4. 동의중복(뜻 겹침) = 512
6. 정리 = 513
단원9 문자정책론
1. 문체변천사 = 519
2. 문체 갈등 = 521
3. 한글전용론과 국한혼용론 = 523
3.1. 한글전용론 = 524
3.2. 국한혼용론 = 525
4. 문자 논쟁과 정책 처리 방안 = 526
4.1. 문자 논쟁의 재연 = 526
4.2. 문제 접근 방식의 두 가지 예 = 530
4.3. 문자 문제 공론화의 주의점 = 533
5. 정리 = 537
단원10 21세기 어문정책론
1. 영어의 반공용어화(半公用語化) = 539
2. 한자 정책의 역사 = 540
3. 한자교육의 실태 = 542
3.1. 초등학교 한자교육 = 543
3.2. 중고등학교의 한자, 한문교육 = 545
3.3. 대한의 한자, 한문교육 = 552
3.4. 교육대학원 한문교육 전공 = 553
4. 한자, 한문 교육관의 재정립 = 554
5. 전통 상실과 역사 단절의 심각성 = 555
6. 21세기 문화전쟁 시대의 어문정책 = 557
7. 정리 = 559
부록
Ⅰ. 한글 맞춤법 = 565
Ⅱ. 표준어 규정 = 605
Ⅲ. 외래어 표기법 = 643
Ⅳ. 로마자 표기법 = 663
참고문헌 = 667
찾아보기 = 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