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화와 모더니티

영화와 모더니티 (6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Orr, John Cinema and modernity 김경욱, 옮김
서명 / 저자사항
영화와 모더니티 / 존 오르 지음 ; 김경욱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민음사 ,   1999.  
형태사항
350 p. ; 23 cm.
총서사항
뉴미디어총서 = New media ; 12
원표제
Cinema & modernity
ISBN
8937426129 8937426005(세트)
일반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권말에 영화목록 수록  
원저자명: Cinema and modernity  
000 00902namccc200313 k 4500
001 000000661495
005 20100806010029
007 ta
008 000329s1999 ulk 001 kor
020 ▼a 8937426129 ▼g 94680 : ▼c \12000
020 1 ▼a 8937426005(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49 1 ▼l 111151555 ▼l 111151556 ▼l 111151557
082 0 4 ▼a 791.4301 ▼2 21
090 ▼a 791.4301 ▼b 1999b
100 1 ▼a Orr, John ▼0 AUTH(211009)39497
245 1 0 ▼a 영화와 모더니티 / ▼d 존 오르 지음 ; ▼e 김경욱 옮김.
246 1 9 ▼a Cinema & modernity
260 ▼a 서울 : ▼b 민음사 , ▼c 1999.
300 ▼a 350 p. ; ▼c 23 cm.
490 0 0 ▼a 뉴미디어총서 = New media ; ▼v 12
500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500 ▼a 권말에 영화목록 수록
500 ▼a 원저자명: Cinema and modernity
700 1 ▼a Cinema and modernity
700 1 ▼a 김경욱, ▼e 옮김 ▼0 AUTH(211009)130958
950 0 ▼b \1200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1999b 등록번호 1111515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1999b 등록번호 11115155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8-10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791.4301 1999b 등록번호 1111515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1 1999b 등록번호 1510843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1999b 등록번호 1111515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1999b 등록번호 11115155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8-10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791.4301 1999b 등록번호 1111515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1 1999b 등록번호 1510843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영국의 사회학자이자 영화학자인 존 오르의 저작. 그는 1980년대와 90년대 동안 전 세계의 영화 비평가들 사이에서 중요한 논객으로 활동해 왔으며, 영국 북부의 에딘버러 영화제 프로그래머로 활동하면서 영화의 예술학적 연구와 학제적 관심을 자극시켜 왔다. 이 책은 그 동안 국내 영화 관계자와 영화과 학생들 사이에서 필독서로 널리 알려졌는데, 문체가 난해하고 내용이 암시적이며 까다로워 심도 있게 독해되지 못했다.

이 책은 1950년 말에서 1970년 중반까지 서양 영화의 흥미로운 경향에 대해 재평가하면서, 세계 대전 이후 서양 산업 사회를 형성한 문화적.정치적 힘에 대한 분석과 날카로운 비평적 통찰을 결합한 영화 연구의 중요한 저작이라 할 수 있다.

존 오르의 영화 연구는 작가주의적 읽기, 정치적 읽기, 혹은 문예 사조 분류에 의한 읽기 둘 다를 삼간다. 그래서 <영화와 모더니티>는 영화 연구에 '모더니티와 모더니즘 예술'이라는 광범위한 문제 의식을 결합시키고 있다.

1960~70년대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잉그마르 베르이만,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루이스 브뉘엘, 페데리코 펠리니, 장-뤽 고다르, 베르너 헤어조그, 데이빗 린치, 테렌스 맬릭, 보브 라펠슨, 알랭 레네, 에릭 로메르, 프랑수아 트뤼포, 빔 벤더스의 영화들을 언급하면서 존 오르는 자본주의 산업 사회의 모더니티와 영화 예술의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그는 1914년부터 1925년을 초기 하이 모던으로, 1960년대와 1970년대 초까지를 네오 모던으로 나누고, 프랑스 누벨 바그로부터 시작된 네오 모던 시기 영화와 모더니티의 복잡한 관계를 논의한다. 지은이는 이 시기 영화의 모더니티에 대한 비판적 전망에 '모던'과 '포스트모던'이라는 용어가 둘 다 부적절하다고 주장한다.

미국 멜로드라마와 이탈리아 네오 리얼리즘을 능가하는 움직임이 출현했지만, 여전히 에이젠슈테인, 프리츠 랑, 무르나우의 초기 모더니즘에 대한 반향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평적 자기 만족에 많은 부분 도전한다.

또한 지은이만의 특출한 인문학적이고 통합적인 연구의 방법은 니체, 프로이트, 사르트르의 개념에 기대어 영화 연구에 인문학적이고 성찰적인 글쓰기 방식을 도입한다. 이는 단순한 영화 연구에 더 나아가 영상의 시대로 일컬어지는 현대에 시각 문화 혹은 '보는 방법'에 대한 진지한 방향을 제시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존 오르(지은이)

에딘버러 대학 사회학과 교수이다. 영화학을 강의하며 에딘버러 국제 영화제의 프로그램 어드바이저이기도 하다. 사회.문화 이론, 철학, 종교, 정치, 모더니티 등 다양한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저자는 특히 모던 컬처, 영화, 픽션과 드라마에 관련된 저서를 출판하였다.

김경욱(옮긴이)

영화평론가. 영화사에서 기획과 시나리오 컨설팅을 했고, 영화제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했으며, 한국영화평론가협회 기획이사로 활동 중이다. 영화에 대한 글을 쓰면서, 세종대 등에서 영화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 《블록버스터의 환상, 한국영화의 나르시시즘》(2002), 《나쁜 세상의 영화 사회학》(2013), 《한국영화는 무엇을 보는가》(2016) 등이 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 &lt;김경욱의 시네마 크리티크&gt;를 연재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 5 
감사의 말 = 11 
제1장 영화와 모던의 패러독스 = 13 
제2장 희비극과 냉소적인 묵시록 = 33 
제3장 이중성과 순수성 = 65 
제4장 시선의 권력 = 103 
제5장 부재하는 이미지와 비현실적인 대상 = 143 
제6장 상품화된 악마들 1: 기계와 가면 = 177 
제7장 상품화된 악마들 2: 자동차 = 207 
제8장 필름 누아르의 이상한 열정 = 249 
역자 후기 = 289 
참고 문헌 = 293 
영화 목록 = 301 
찾아보기 = 337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서경 (2023)
이도훈 (2023)
한국영화학회 (2022)
宇野常寛 (2022)
프로파간다 (202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