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6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661066 | |
005 | 20100806125106 | |
007 | ta | |
008 | 000327s1999 ulka 001a kor | |
020 | ▼a 893003733X ▼g 94330 : ▼c \10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51578 ▼l 111151579 ▼l 111151580 |
082 | 0 4 | ▼a 303.484 ▼2 21 |
090 | ▼a 303.484 ▼b 1999b | |
100 | 1 | ▼a 조대엽 ▼0 AUTH(211009)126983 |
245 | 1 0 | ▼a 한국의 시민운동 : ▼b 저항과 참여의 동학 / ▼d 조대엽 지음. |
246 | 1 9 | ▼a 참고문헌 : p.301-319 |
260 | ▼a 서울 : ▼b 나남출판 , ▼c 1999. | |
300 | ▼a 330 p. : ▼b 삽도 ; ▼c 23 cm. | |
490 | 0 0 | ▼a 나남신서 ; ▼v 733 |
500 | ▼a 색인수록 | |
950 | 0 | ▼b \100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84 1999b | 등록번호 1111515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84 1999b | 등록번호 111151580 | 도서상태 파오손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303.484 1999b | 등록번호 1510787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 청구기호 303.484 1999b | 등록번호 1510776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84 1999b | 등록번호 1111515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84 1999b | 등록번호 111151580 | 도서상태 파오손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303.484 1999b | 등록번호 1510787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보존 | 청구기호 303.484 1999b | 등록번호 1510776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조대엽(지은이)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마칠 때까지 낙동강을 보며 자랐다. 고려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 박사를 마쳤다. 정치사회학 분야 가운데 사회운동, 시민사회, 공공성과 민주주의,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등에 연구관심을 기울였다. 분단국가의 사회과학자라는 원초적 책무를 핑계로 남북관계와 통일 분야 또한 연구관심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간의 공공성과 민주주의 연구에 바탕을 두고 최근에는 노동학연구와 사회적 대화, 좀 넓게는 협력문명에 대한 관심이 많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20년 가깝게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연구하고 있다. 바깥일로는 주로 학회활동과 시민단체 돕는 일을 했다. 한국사회학회, 한국정치사회학회, 한국 NGO학회, 한국 비교사회학회 등의 일을 비교적 열심히 했고, 현재는 노동대학원장 겸 노동문제연구소장을 맡아 노사정 현장과 고려대학교 아카데미즘을 하나로 묶는 데 애쓰고 있다. 돌이켜 보니 약 70편의 학술논문과 22권의 저서, 그리고 세상 돌아가는 데 훈수 두는 약 120편의 칼럼이 남았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사회운동 분석의 쟁점과 논리 제1장 한국의 사회운동 연구 : 동향과 과제 = 21 1. 사회운동 연구의 부문별 동향 = 24 2. 한국사회운동 연구의 일반적 경향 = 39 3. 한국사회운동 연구의 몇 가지 과제 = 41 제2장 사회운동 분석의 쟁점 : 조직의 문제 = 45 1. 사회운동과 사회운동조직 = 48 2. 사회운동 분석의 여러 수준 = 54 3. 사회운동조직과 미시 - 거시 매개의 문제 = 63 4. 맺음말 = 71 제3장 사회운동이론의 비교 : 자원동원론과 신사회운동 = 73 1. 사회운동에 관한 두 시각의 일반적 성격 = 76 2. 사회운동에 관한 자원동원론적 시각 = 81 3. 사회운동에 관한 신사회운동론적 시각 = 92 4. 두 시각의 비교론적 특성 = 104 제2부 시민운동과 정치과정 제4장 한국사회운동의 정치 : 흐름과 전망 = 113 1. 제도정치와 운동의 정치 = 113 2. 민주화운동의 전개 = 117 3. 민주화운동과 학생운동 = 127 4. 사회운동의 전환과 노동운동 = 136 5. 시민운동의 전개 = 142 6. 시민운동의 과제와 전망 = 147 제5장 민주화운동과 정치과정 = 151 1. 민주화운동에 관한 정치적 기회구조론의 접근 = 154 2. 정치적 개방성 : 선거국면과 노정권의 자유화 조치 = 163 3. 억압의 수준 : 방북사건과 공안정국 = 173 4. 국제적 맥락의 기회구조 : 동유럽의 변혁 = 178 5. 맺음말 = 185 제6장 의식의 변화와 시민운동의 성장 = 189 1. 정치권력에 대한 인식과 시민운동의 성장 = 191 2. 개혁의 한계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운동이슈 = 198 3. 대의체에 대한 불신과 시민운동의 성장 = 204 4. 맺음말 = 209 제3부 시민운동의 조직 제7장 한국의 사회변동과 1990년대 시민운동조직의 분화 = 213 1. 1990년대 사회운동조직의 분화(1) : 정체성원형과 정체도전형 = 215 2. 1990년대 사회운동조직의 분화(2) : 시장형과 공동체형 = 219 3. 사회운동조직 유형의 변화경로 모형 = 224 4. 1990년대 운동조직 분화의 특징과 사회변동적 함의 = 229 제8장 시민운동의 조직(1) : 공동체형 조직 사례 = 233 1. 사례의 개관 = 233 2. '교바협'의 공동체적 특성 = 235 3. '그린스카우트'의 공동체적 특성 = 240 4. '교바협' 및 '그린스카우트'와 정부 및 정체의 관계 = 245 제9장 시민운동의 조직(2) : 시장형 조직 사례 = 251 1. 사례의 개관 = 251 2. '참여연대'의 시장적 특성 = 252 3. '경실련'의 시장적 특성 = 262 4. '참여연대' 및 '경실련'과 정부 및 정체의 관계 = 269 제4부 새로운 도전과 과제 제10장 세계시장주의의 도전과 시민운동의 과제 = 277 1. 예정된 위기와 사회운동의 딜레마 = 277 2. 세계시장주의와 김대중정부 그리고 사회운동 = 280 3. 1990년대 사회운동과 운동조직의 분화상 = 283 4. 우리 시민운동은 건강한가 = 291 5. 지구적 사회변동과 시민운동의 이중과제 = 295 참고문헌 = 301 찾아보기 =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