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33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659156 | |
005 | 20100806121140 | |
007 | ta | |
008 | 000229s1995 ulk 000a kor | |
020 | ▼a 8930070574 ▼g 03300 : ▼c \10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42724 |
082 | 0 4 | ▼a 323.44 ▼2 21 |
090 | ▼a 323.44 ▼b 1995 | |
100 | 1 | ▼a 서병훈 ▼0 AUTH(211009)90541 |
245 | 1 0 | ▼a 자유의 본질과 유토피아 : ▼b 존 스튜어트 밀의 정치사상 / ▼d 서병훈 저. |
260 | ▼a 서울 : ▼b 사회비평사 , ▼c 1995. | |
300 | ▼a 409 p. ; ▼c 23 cm. | |
490 | 0 0 | ▼a 사회비평신서 ; ▼v 57 |
504 | ▼a 참고문헌 : p.401-409 | |
950 | 0 | ▼b \10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44 1995 | Accession No. 11114272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서병훈(지은이)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라이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9년부터 2020년까지 숭실대학교에서 ‘서양정치사상’, ‘문명론’, ‘문학과 정치’ 등을 가르쳤다. 존 스튜어트 밀의 정치사상을 집중 연구하면서 그에 관해 네 권의 책을 썼다. 밀의 사회주의사상을 음미한 《자유의 본질과 유토피아》(1995), 밀과 플라톤의 자유론을 비교 분석한 《자유의 미학》(2000), 그리고 밀과 토크빌의 삶과 민주주의 이론을 총체적으로 구명한 《위대한 정치》(2017)와 《민주주의》(2020)가 그 책들이다. 이 밖에 ‘칠레식 사회주의’를 따뜻하게 소개한 《다시 시작하는 혁명》(1991)과 포퓰리즘 현상을 비판적으로 논구한 《포퓰리즘》(2008)도 출간했다. 밀의 저작에 앞서 하이에크의 《법, 입법 그리고 자유 III》(1997)과 토머스 힐 그린의 《윤리학 서설》(2004)도 우리말로 옮겼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을 내면서 = 3 존 스튜어트 밀 저술약어표 = 12 제1부 서론 제1장 시대에 대한 성찰 = 15 형이상학의 부활 = 15 존 스튜어트 밀을 읽는 재미 = 18 이 책의 구성 = 22 제2장 존 스튜어트 밀의 생애와 사상 = 29 아버지 제임스 밀 = 28 아버지의 '영재 교육' = 31 아버지와의 '결별' = 35 잊혀진 어머니 = 39 해리엇 테일러와의 만남 = 41 테일러의 영향력에 대한 평가 = 46 정계 투신 전후 = 50 밀의 주요 저술 = 52 제2부 행복의 철학 제3장 새로운 공리주의 = 50 벤담의 공리주의 = 52 공리주의의 혁신 = 66 가치의 객관성 = 70 공리주의 도덕률 = 76 이성제일주의 비판 = 79 제4장 '자기 발전'의 철학 = 81 자기 발전의 실현 = 82 포괄적인 능력의 발전 = 85 행복과 만족의 차이 = 86 개성에 맞는 발전 방향 = 87 교양의 연마 = 89 이기심은 행복의 적 = 92 제5장 개체성 = 93 개체성이란 무엇인가? = 94 개체성의 중요성 = 100 수단이면서 목적 = 104 창조적 소수의 보호 = 106 개체성 억압은 독재 = 109 현대 사회와 개체성의 위기 = 110 개체성 발양의 조건 = 117 제6장 사회성 = 121 사회성이란 무엇인가? = 122 사회적 감정 = 124 도덕심의 형성 = 129 '선한 구경꾼'의 도덕률 = 131 '선한 구경꾼'의 논리 체계 = 136 사회성의 배양 = 137 개체성과 사회성 = 141 제7장 행복의 조건 = 147 자유 = 148 참여 = 170 노동 = 179 소유 = 183 제3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제8장 자본주의의 한계 = 195 밀의 경제 사상 = 196 자본주의의 강점 = 201 분배의 왜곡 = 205 노동의 소외 = 207 제9장 사회주의자 밀? = 215 자리 매김의 문제 = 216 젊은 시절 :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 = 218 1848년 이전 = 223 1852년 전후 : 인식의 전환 = 225 프랑스 2월 혁명 = 227 (사회주의론)의 문제의식 = 228 제10장 사회주의자들과의 만남 = 233 테일러의 영향 = 234 공상적 사회주의자들과의 교류 = 237 루이 블랑과의 관계 = 252 영국 노동운동가들과의 관계 = 255 맑스와의 접점 = 258 제11장 '사려 깊은' 사회주의 = 267 엇갈린 평가 = 268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구분 = 274 공산주의 비판 = 276 공산주의의 장점 = 283 밀의 입장에 대한 종합 평가 = 288 제4부 사회 계혁론 제12장 사회개혁의 방법론 = 295 밀의 유토피아 = 296 방법론 : 인식과 실천 = 301 사회 개혁의 원리 = 311 제13장 소유권 개혁 = 321 기존 사유제에 대한 전면 재검토 = 322 사유제 유지 불가피 = 324 사유제 개선 방향 = 327 토지 소유제의 개선 = 327 상속의 제한 = 330 제14장 (조합 공동체)의 실험 = 333 새로운 제도의 필요성 = 334 임금노동제의 개선을 위한 모색 = 336 생산자 조합 공동체의 의의 = 339 생산자 공동체에 대한 평가의 변화 = 341 노-자 연합 모델 = 343 생산자 협동조합(노-노 연합 모델)의 구체적 사례 = 348 생산자 협동조합의 운영방식 = 352 생산자 협동조합의 창업방법 = 354 기대와 실망 = 359 제5부 결론 제15장 밀의 사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365 요약 = 365 편협한 개인주의자? = 367 '반 자유론'? = 369 엘리트주의자? = 377 사적 재산권 옹호? = 386 사람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 = 389 제16장 미래에 대한 기대 = 393 거듭나는 자유주의 = 393 어디로 갈 것인가? = 397 희망의 철학 = 399 참고문헌 =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