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55n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00659057 | |
005 | 20100806121100 | |
007 | ta | |
008 | 000228s1999 ulk 001a kor | |
020 | ▼a 8985367757 ▼l 94680 : ▼c \15000 | |
020 | 1 | ▼a 8985367765(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145788 ▼l 111145789 ▼l 111145790 |
082 | 0 4 | ▼a 791.43015 ▼2 21 |
090 | ▼a 791.43015 ▼b 1999g | |
100 | 1 | ▼a Rodowick, David Norman ▼0 AUTH(211009)26477 |
245 | 1 0 | ▼a 현대영화 이론의 궤적 / ▼d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 ▼e 김수진 옮김. |
246 | 1 9 | ▼a (The)crisis of political modernism : criticism and ideology in contemporary film theory |
260 | ▼a 서울 : ▼b 한나래 , ▼c 1999. | |
300 | ▼a 404 p. ; ▼c 23 cm. | |
490 | 0 0 | ▼a 한나래 시네마 시리즈 ; ▼v 14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수진, ▼e 역 ▼0 AUTH(211009)124698 |
950 | 0 | ▼b \1500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15 1999g | Accession No. 11114578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15 1999g | Accession No. 1111457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791.43015 1999g | Accession No. 11114578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3015 1999g | Accession No. 1510770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3015 1999g | Accession No. 1510770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15 1999g | Accession No. 11114578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15 1999g | Accession No. 1111457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 Call Number 791.43015 1999g | Accession No. 11114578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3015 1999g | Accession No. 1510770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3015 1999g | Accession No. 1510770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968년 `5월 혁명' 이후 영화 이론은 기존의 영화에 대한 사고와 완전히 결별했다. 문학 이론에서 이미 기반을 얻은 `정치적 이론'의 세례를 받으면서 그것은 영화적 의미 실천에 대한 우리의 사고를 뒤바꾸어 놓았다. 정치적 영화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영화는 이미 그 자체로 정치적이라는 새로운 사고 방식이 자리잡게 된 것이다.
로도윅은 이 책에서 1960년대 후반 프랑스에서 구축된 문예 이론의 패러다임들을 검토하면서 그것이 장 뤽 고다르, 노엘 버치, 피터 울른 같은 여러 영화 감독 / 이론가들의 작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추적한다. 저자는 이 새로운 이론적 실천에의 노력을 크게 `정치적 모더니즘'이란 용어로 지칭하고 있는데 이것은 할리우드식 리얼리즘의 환영주의를 비판하면서 유물론적이고 비이데올로기적인 대항 영화를 생산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 의식 아래 1970년대의 영화 이론은 영화 형식, 주체성, 내러티브, 재현, 동일시 등 영화 이론의 개념들을 풍부하게 생산해 낸다. 이 책은 흔히 난삽하다는 인상을 주는 현대 영화 이론을 그것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포착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그것의 정치적 함의 및 그 맹점까지도 잘 해명하고 있다. 즉, 현대 영화 이론에 대한 `비판적 개설서'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영화 이론을 단순히 독자적인 자기 완결적인 행위로 보지 않는다. 오히려 영화, 비평, 읽기의 제도와 수행의 차원을 포괄하는 담론의 차원에서 생산되고 작동되는 개념적 경계들로 본다. 따라서 그것은 단순히 영화 필름뿐 아니라 영화에 대한 다양한 말과 글들을 포함하는 담론적 장 속에서 생산되고 그곳에 스며 있다. 그는 그러한 문예 이론들과 영화가 역사적이고 제도적인 담론의 장에서 특정하게 그 관계를 형성해 가는 것으로 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지은이)
하버드대학교 시각환경학과 교수다. 텍사스대학교와 파리 제3대학교에서 영화와 비교문학을 공부했고, 1983년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로체스터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영화학을 가르쳤고 런던대학교 킹스컬리지에 영화학과와 영화학 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예술의 미학과 철학, 영화 이론의 역사, 현대 시각 문화에 대한 미학적 접근, 현대사회에 대한 뉴미디어와 테크놀로지의 영향 등으로 폭넓고 다양하다. 국제영화제 수상 경력이 있는 실험영화 감독이자 비디오 아티스트이기도 하다. 2002년 미국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의 영화학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2009년 에세이 <이론을 위한 애가>가 시네마와 미디어학회의 에세이상을 수상했다. 2010년 독일 바이마르 바우하우스대학교의 문화기술과 미디어철학 국제 컬리지에서 펠로로 선정되었다. 주요 저서로 『정치적 모더니즘의 위기(The Crisis of Political Modernism: Criticism and Ideology in Contemporary Film Theory)』(1989), 『차이의 어려움(The Difficulty of Difference: Psychoanalysis, Sexual Difference, and Film Theory)』(1991), 『질 들뢰즈의 시간기계(Gilles Deleuze’s Time Machine)』(1997), 『형상 읽기(Reading the Figural, or, Philosophy after the New Media)』(2001) 등이 있다. 편저로 『질 들뢰즈 영화 철학의 잔상(Afterimages of Gilles Deleuze’s Film Philosophy)』(2009)이 있다.
김수진(옮긴이)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0년 현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관으로 재직 중이다. 『모성의 담론과 현실』(공저 1999), 『젠더연구의 방법과 사회분석』(공저 2006), 『신여성, 근대의 과잉』(2009), 『사회사/역사사회학』(공저 2016) 등을 저술하였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긴이의 말 = 9 새 판을 내며 = 11 서론 근대적인 자기 반영성: 셰익스피어, 세르반테스, 브레히트 = 28 코믹 서사에서 서사극까지 = 34 모더니즘과 '불가능'한 내러티브 = 37 영화, 모더니즘, 리얼리즘 = 40 자기 반영성의 정치적 가치 = 45 영화/글쓰기/텍스트/텍스트군 = 51 텍스트 교류성 = 58 1. 관극 행위의 우의들 관객의 공모 = 72 리얼리즘, 그리고 욕망하는 관객 = 76 영화와 꿈: (셜록 2세) = 78 허구와 관음증 = 80 유형에 대한 실례: 히치콕의 (이창) = 85 (이창): 관음증에 대한 비판 = 88 분쇄되는 거리감 = 92 관음증과 시점 = 95 관음증과 이웃 정신 = 96 고다르의 관능적 파괴 활동 = 99 (결혼한 여자)와 (남성, 여성) = 105 페미니스트 포르노그라피: (넘버 2), (할 수 있는 자가 구하라) = 108 욕망이라는 모호한 대상 = 112 2. 생산 과정 예술 그리고 문화 산업: 발자크의 《환멸》 = 118 할리우드를 다룬 할리우드 영화: 무성 영화 시대 = 124 영화와 생산적 노동: (카메라를 든 사나이) = 128 할리우드 영화의 자기 반영성: 유성 영화 = 131 (선셋 대로) = 136 뮤지컬과 자기 과시적 기교 = 141 자기 반영성과 애니메이션 = 147 작가주의와 그 반대자들 = 151 펠리니와 (8½) = 157 뉴 할리우드: 피터 보그다노비치와 (표적) = 161 뉴 저먼 시네마의 자기 반영성: (성스러운 창녀를 조심하라) = 163 트뤼포의 (아메리카의 밤) = 166 제3 세계에서 영화 만들기 = 169 안제이 와이다의 (대리석의 사나이) = 171 몰락하는 스타: (페도라), (베로니카 포스) = 175 1980년대 속으로: 고다르와 벤더스 = 182 3. 자의식의 장르 카메오 출연: 세르반테스에서 우디 앨런까지 = 190 자의식적인 장르: 잡식적 양식, 해부, 카니발 = 191 중심적 지위를 차지하게 된 패러디 = 195 돈 키호테적 주제 = 197 내러티브상의 자기 반영적 전략들 = 200 스토리와 담론 = 203 영화와 소설에서의 템포 = 209 자막, 중간 자막 = 213 작가/독자/관객의 대화 = 215 자기 수정적인 문제 = 219 불확정의 테스트 = 221 비평의 편입 = 223 자기 반영적 소설의 영화화: (톰 존스), (롤리타), (프랑스 중위의 여자) = 229 스타일의 다양성 = 234 4. 카니발과 모더니즘 시조 격의 작품: (우부 왕) = 241 우부의 자식들: (황금 시대)와 초현실주의자들 = 247 우부의 손자: 장 뤽 고다르의 모더니즘 = 252 고다르와 아방가르드 연극 = 256 카니발과 묵시록: (절멸의 천사) = 260 우부와 (카라비니에) = 262 (카라비니에): 전쟁 영화 텍스트군 = 269 카니발과 남미 문화 = 272 브라질의 모더니즘과 식민주의의 은유 = 275 마리오 데 안드라데와 언어의 카니발화 = 277 (마쿠나이마): 소설에서 영화로 = 282 카니발의 정치학 = 287 5. 전복의 즐거움 브레히트의 교훈들 = 296 브레히트 교훈들의 응용: (만사 쾌조) = 301 기법의 정치학 = 307 계속되는 응용: (넘버 2) = 311 비디오에 의한 언어 전복 = 313 분할된 글쓰기/분할 화면 = 317 리얼리즘, 자기 반영성, 성: (할 수 있는 자가 구하라) = 322 즐거움의 정치학: (2000년에 25살이 되는 요나) = 330 해체를 넘어서 = 346 부록. 영화 특유의 자기 반영성 몽타주와 현실 묘사 = 357 사운드 = 360 음악과 환영성 = 364 참고 문헌 = 369 찾아보기 =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