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3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0658367 | |
005 | 20100806115744 | |
007 | ta | |
008 | 000221s1999 ulka 000a kor | |
020 | ▼a 8931003862 ▼g 03680 : ▼c \96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47102 ▼l 111147103 ▼l 111147104 |
082 | 0 4 | ▼a 791.43 ▼2 21 |
090 | ▼a 791.43 ▼b 1999j | |
100 | 1 | ▼a 송희복 ▼0 AUTH(211009)100218 |
245 | 1 0 | ▼a 영화, 뮤즈의 언어 : ▼b 장 콕토에서 에밀 쿠스투리차까지 20세기 영상시인들과의 만남 / ▼d 송희복 지음. |
260 | ▼a 서울 : ▼b 문예출판사 , ▼c 1999. | |
300 | ▼a 302 p. : ▼b 삽도 ; ▼c 23 cm. | |
950 | 0 | ▼b \96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 1999j | 등록번호 111147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 1999j | 등록번호 1111471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 1999j | 등록번호 11114710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02-06-21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791.43 1999j | 등록번호 1510779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791.43 1999j | 등록번호 1510779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 1999j | 등록번호 111147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 1999j | 등록번호 1111471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 1999j | 등록번호 11114710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02-06-21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791.43 1999j | 등록번호 1510779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791.43 1999j | 등록번호 1510779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영화에 대한 진지하고 깊이 있는 시선으로 영화읽기에 접근하고 있는 책. 지은이는 자신의 논지를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펼치고 있다. 첫번째로는 시적인 영화에 대한 정의를 내리면서 '시적인 영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제기한다.
두 번째 장을 프랑스 영화의 시적 리얼리즘의 설명으로 시작하는 지은이는 이탈리아 영화의 음악적 청감과 새로운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70년대 독일에서 시작된 뉴저먼 시네마와 그 대표적인 감독들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발칸 반도 영화의 우울한 시선을 문학적 관점에서 폭넓게 설명하며 일본 영화의 대표작들을 통해 동양적인 미장센의 깊이와 일본만의 스타일리즘을 새로이 분석한다.
세 번째 장에서는 20세기 영상 시인들로 불리는 여섯 명의 명감독들의 생애와 대표작들을 상세하면서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며 마지막으로 '영화로 읽는 시인의 생애'에서는 스크린에 비친 시인들은 과연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세 편의 영화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지은이는 책의 마무리에서 앞으로 사회에 있어 바람직한 지식인상은 철학자가 아니라 시인이어야 한다고 했던 리처드 로티의 말을 인용하면서 자신의 글을 맺는다. 영상시대의 문학, 그 중에서도 '시'는 시각의 노예가 아니라 시각쾌락의 시대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이 책은 보여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책머리에 = 7 프롤로그 : 영화, 시를 만나다 = 13 시와 영화의 운명적 만남 = 15 말하는 그림, 움직이는 시 = 30 삶을 비추는 영혼의 거울 = 38 영상의 서정시, 그 열정과 감격의 현장 = 59 프랑스 영화의 시적 리얼리즘 = 61 이탈이아 영화의 음악성과 시적 청감 = 81 뉴저먼 시네마 : 신의 분노와 천사의 욕망 = 94 일본 영화의 시적 양식과 소시민 근성 = 107 발칸의 수난사에 서다 = 124 영상시인, 빛의 잉크로 시를 쓰다 = 137 신화적 공간의 미학 -장 콕토 = 139 나의 여신이여, 춤을 추소서 -샤트야지트 레이 = 163 신의 침묵에 관한 명상 -잉마르 베리만 = 177 예술의 피안과 영혼의 풍경화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201 혁명의 영화, 영화의 혁명 -미클로시 얀초 = 238 사랑의 광시곡, 그 세기말 색조 -레오스 카락스 = 251 영화로 읽는 시인의 생애 = 265 스크린에 비친 랭보와 베를린 = 267 네루다와 우편배달부의 우정 = 280 로르카, 혹은 그라나다의 총성 =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