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상 이미지 읽기

영상 이미지 읽기 (Loan 14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Joly, Martine 김동윤, 역
Title Statement
영상 이미지 읽기 / 마르틴 졸리 지음 ; 김동윤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문예출판사 ,   1999.  
Physical Medium
238 p. : 삽도 ; 23 cm.
Varied Title
Introduction a l'analyse de l'image
ISBN
8931003951
000 00691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658365
005 20100806115740
007 ta
008 000221s1999 ulka 000a kor
020 ▼a 8931003951 ▼g 03600 : ▼c \8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49 1 ▼l 111147099 ▼l 111147100 ▼l 111147101
082 0 4 ▼a 700.1 ▼2 21
090 ▼a 700.1 ▼b 1999a
100 1 ▼a Joly, Martine
245 1 0 ▼a 영상 이미지 읽기 / ▼d 마르틴 졸리 지음 ; ▼e 김동윤 옮김.
246 1 9 ▼a Introduction a l'analyse de l'image
260 ▼a 서울 : ▼b 문예출판사 , ▼c 1999.
300 ▼a 238 p. : ▼b 삽도 ; ▼c 23 cm.
700 1 ▼a 김동윤, ▼e▼0 AUTH(211009)5466
950 0 ▼b \8000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 1999a Accession No. 1111471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 1999a Accession No. 1111471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Call Number 700.1 1999a Accession No. 1111470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1 1999a Accession No. 1511118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1 1999a Accession No. 1511118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 1999a Accession No. 1111471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 1999a Accession No. 1111471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5)/ Call Number 700.1 1999a Accession No. 1111470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1 1999a Accession No. 1511118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1 1999a Accession No. 1511118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줄거리

전체 4장으로 나누어진 이 책의 제1장에서는 영상 이미지의 개념과 용법, 기원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며, 제2장에서는 영상 이미지 분석의 목적과 방법이 피카소의 그림을 예로 하여 설명되고 있다. 제3장에서는 시각기호학의 효시로 간주되는 롤랑 바르트의 논문「이미지의 수사학」에 등장하는 "판자니 스파게티"와 세계적인 의류 브랜드 "말보로 클래식" 광고를 이용해 광고 이미지 분석에 대한 접근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세잔의 풍경"이라는 관광 표지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미지와 언어 사이의 순환적이고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설명된다. 또한 안토니오 타부치의 소설 <지평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저자는 마치 정신분석학자가 인간의 본능적 무의식을 포착하듯, 사진 또한 인간의 "시각적 무의식"을 드러낸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그것은 바르트가 <카메라 루시다>에서 보여준 사진에 대한 현상학적 관점, 혹은 사르트르 류의 실존주의적 관점에 기대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Book Introduction

이미지 시대, 나아가 영상 시대란 인간이 '세계를 이미지로 바꾸고 그 이미지를 소유하는' 시대이다. 이러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그림도 없고 소리도 없는 책을 무엇에 쓰지?"라고 투덜대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처럼 영상 이미지에 중독되어 있으면서도, 과연 이미지란 무엇인가에 대한 시원적 질문에는 극히 인색하다.

마르틴 졸리는 이 책에서 바르트적 퍼스펙티브를 포함한 다양한 기호학적 해석틀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대한 합리적 접근을 시도한다. 성경과 그리스 신화, 플라톤의 동굴에서부터 피카소의 그림, '말보로 클래식'과 이탈리아 '판자니 스파게티' 광고 분석에 이르는 서구 문명사의 방대한 흔적들을 통해 이미지의 실체를 규명하는 이 책은 영상 이미지 분야의 입문서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범람하는 이미지 문명 안에서 살아가는 "영상 이미지 소비자들"이 이미지가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씌어졌다. 이를 위해 저자 마르틴 졸리는 이미지에 대한 합리적 규명과 기호학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지은이에 따르면 영상 이미지는 우리를 가장 오래고 풍부한 전통과 연결시키는 표현 수단이자 커뮤니케이션 도구이며, 우리는 일상적으로 그것을 사용하고 해석한다. "신이 자신의 이미지로 인간을 창조하였다"는 창조론적 표현에서도 알 수 있듯, 이미지는 인류의 기원부터 늘 우리 곁에 있어 왔다.

이 책에서 논의되는 영상 세계의 근간 또한 이미지의 세계이다. 그것은 고대 "라스코 벽화"(B.C. 1500년)나 "알타미라 동굴벽화"에서 보이는 구체적 이미지 세계의 형성으로부터 출발하여 미술과 소리, 문자언어와 표정, 몸짓을 포함하고 인간의 모든 예술 행위와 지각을 아우르는 포괄적 개념이다. 즉, 인간의 역사는 이미지의 역사에 다름 아닌 것이다.

마르틴 졸리는 <영상 이미지 읽기>에서 20세기 입체파 회화운동을 대표하는 피카소의 그림 "오르타 데 에브로의 공장"에 대한 분석과 "말보로 클래식", 이탈리아 "판자니 스파게티" 광고 이미지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해 이미지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양상들 속으로 차근차근 접근해간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이 책은 우리가 내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 이미지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미지의 창조적 힘이란 과연 어떤 것인지를 심도있게 드러내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마르틴 졸리(지은이)

프랑스 보르도 3대학(몽테뉴 대학) 교수이자 정보 커뮤니케이션 연구소(ISIC) 시청각 자료 제작교육 책임자이다. &lt;영상 이미지 읽기&gt; 외에 &lt;이미지와 기호&gt;등 이미지와 미디어에 관한 다수의 글을 발표했다.

김동윤(옮긴이)

프랑스 프로방스대학교 문학박사로서 현재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또한 한국영상문화학회 명예회장이면서 ‘4차산업혁명 관련 국가정책과제’(2017-2019) 책임연구자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프루스트』,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2017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누스페어』(공역), 『트랜스휴먼 혁명』(2019년 하반기 출간예정) 등이 있다. 폴 리쾨르, 메를로 퐁티, 미셀 마페졸리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9

1. 이미지란 무엇인가? = 13

 1. 이미지의 개념 : 용법과 의미 = 13

  1. 1 미디어 이미지로서의 이미지 = 15

  1. 2 이미지의 추억 = 18

  1. 3 이미지와 기원 = 19

  1. 4 이미지와 인간 심리 = 23

  1. 5 과학적 상상과 영상 = 29

  1. 6 새로운 이미지 = 32

  1. 7 이미지 - 프로테우스 = 35

 2. 이미지와 기호학 이론 = 37

  2. 1 기호학적 접근 = 37

  2. 2 기호학의 기원 = 38

  2. 3 언어학과 기호학 = 40

  2. 4 기호이론을 위하여 = 43

  2. 5 기호의 다양한 형태 = 45

  2. 6 기호로서의 이미지 = 50

  2. 7 기호학 이론과 이미지의 이해 = 53

  2. 8 모방 / 흔적 / 관례 = 55

2. 이미지 분석의 목적과 방법 = 59

 1. 분석의 전제들 = 59

  1. 1 분석의 거부 = 59

  1. 2 이미지 분석의 기능 = 68

  1. 3 분석의 목적과 방법론 = 72

 2. 이미지, 타인을 향한 메시지 = 81

  2. 1 이미지의 기능 = 82

  2. 2 이미지와 커뮤니케이션 = 83

  2. 3 교차점으로서의 이미지 = 89

  2. 4 기대와 콘텍스트 = 92

  2. 5 회화의 구성요소 분석 = 95

 결론 = 103

3. 원형 이미지 = 105

 1. 광고 이미지 = 105

  1. 1 이론의 현장으로서의 광고 = 108

  1. 2 묘사 = 109

  1. 3 메시지의 다양한 형태들 = 113

  1. 4 이미지의 수사학 = 116

  1. 5 고전 수사학 = 117

  1. 6 새로운 수사학 = 124

  1. 7 수사학과 암시적 의미 = 127

  1. 8 수사학과 광고 = 130

  1. 9 일반 수사학을 위하여 = 135

 2. 광고분석의 한 예 = 137

  2. 1 묘사 = 140

  2. 2 조형적 메시지 = 141

  2. 3 도상적 메시지 = 159

  2. 4 언어적 메시지 = 166

 결론 = 175

4. 이미지와 단어 = 179

 1. 몇 가지 편견들 = 180

  1. 1 배타 / 상호작용 = 180

  1. 2 진실 / 허위 = 181

 2. 상호작용과 상호보완성 = 183

  2. 1 중계 = 185

  2. 2 상징 = 186

  2. 3 이미지 / 상상 = 189

  2. 4 사진에 관하여 = 190

  2. 5 이미지의 힘 = 204

  2. 6 세잔의 풍경 = 205

결론 = 209

찾아보기 = 211

참고문헌 = 213

옮긴이의 말 = 23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