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ⅰ
일러두기 = ⅶ
제1장 들어가기
1.1 텍스트, 텍스트이론, 텍스트언어학 = 1
1.2 텍스트이론과 그 기초학문 및 이웃학문과의 관계 = 10
1.2.1 기초학문 - 기호학과 언어학 = 10
1.2.2 이웃학문 = 11
인지과학/인문과학/사회과학/텍스트이론과 실용론 = 11
내용보충 = 16
연습 및 토론 과제 = 25
연구 과제 = 26
제2장 텍스트 연구의 흐름과 움직임
2.1 문제의 제기 = 29
2.2 텍스트이론의 연원과 발전 = 30
2.3 서양의 지역적 연구 = 32
2.3.1 옛 서독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의 텍스트 연구 = 32
2.3.2 옛 동독과 체코, 스웨덴의 텍스트 연구 = 38
2.3.3 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텍스트 연구 = 41
2.3.4 옛 소련과 프랑스, 덴마크의 텍스트 연구 = 43
2.3.5 미주의 텍스트 / 담화 연구 = 45
2.4 동양의 역사적·지역적 연구 = 48
2.4.1 고대 중국의 훈고학 및 시학과 텍스트이론 = 48
2.4.2 일본과 중국의 텍스트 / 담화 연구 = 50
2.4.3 한국의 고전 시학 및 훈고학과 현대의 텍스트이론 = 53
2.4.4 한국의 근대 이후의 텍스트 연구 = 55
2.5 간추림 - 텍스트이론의 좌표 세우기 = 64
내용보충 = 65
연구 과제 = 74
제3장 텍스트이론의 기호학적 근거
3.1 문제의 제기 = 77
3.2 기호학의 흐름과 움직임 = 78
3.3 텍스트이론과 기호학 = 86
3.4 주시경의 기호학과 텍스트이론 - 언어문학 분야의 창출을 위하여 = 92
3.5 간추림 = 95
내용보충 = 96
연구 과제 = 101
제4장 텍스트기호론과 통합적 언어문학론의 전개
4.1 문제의 제기 = 103
4.2 어학과 문학, 그 만남의 발자취 = 104
4.3 일상언어기호론과 문학언어기호론의 만남 = 109
4.4 통합적 언어문학론의 세움 = 115
4.5 간추림 - 통합적 언어문학론으로 가는 길 = 126
내용보충 = 128
연습 및 토론 과제 = 134
연구 과제 = 135
제5장 텍스트 형성에 있어서 응결성과 응집성의 문제
5.1 문제의 제기 = 137
5.2 응결성과 텍스트다움 = 141
5.2.1 응결성 장치(1) = 141
5.2.2 응결성 장치(2) = 153
5.3 응집성과 텍스트다움 = 162
5.4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관계 = 169
5.5 간추림-박목월의 "나그네"의 응집성과 응결성 = 176
내용보충 = 179
토론 과제 = 187
연구 과제 = 188
제6장 텍스트의 생성과 구조의 분석
6.1 문제의 제기 = 189
6.2 텍스트의 생성문제 = 190
6.3 텍스트의 경계 긋기 = 193
6.4 텍스트 응결성의 주제적 문제 = 203
6.4.1 프라그학파의 주제부 - 설명부 개념 = 205
6.4.2 반 다이크의 거시구조, 서사구조, 논증구조의 개념 = 210
6.4.3 텍스트주제와 주제전개 = 220
6.5 주제전개의 기본모형 = 225
6.5.1 기술형 주제전개 모형 = 226
6.5.2 설명형 주제전개 모형 = 231
6.5.3 논증형 주제전개 모형 = 233
내용보충 = 238
연습 및 토론 과제 = 246
연구 과제 = 248
제7장 텍스트의 기능과 텍스트 유형
7.1 문제의 제기 = 251
7.2 화행이론과 텍스트의 기본기능 = 252
7.3 텍스트의 유형화 문제 = 264
7.4 동양과 한국의 텍스트유형화 문제 = 268
7.4.1 중국의 텍스트유형화 문제 = 269
7.4.2 한국의 옛 한문문장과 이두, 이문의 유형화 문제 = 271
7.4.3 전통시대의 한글텍스트의 유형화 문제 = 275
7.4.4 개화기의 한글텍스트의 유형화 문제 = 280
7.4.5 식민지시대의 한글텍스트의 유형화 문제 = 284
7.4.6 해방 후의 한글텍스트의 산생과 유형화 문제 = 290
7.5 간추림 = 298
내용보충 = 300
연습 및 토론 과제 = 307
연구 과제 = 310
제8장 한국 텍스트의 분석 실례
8.1 문제의 제기 = 313
8.2 현대의 작품텍스트와 문서텍스트 = 315
8.2.1 시의 텍스트분석 - 한용운의 "님의 침묵" = 315
8.2.2 수필의 텍스트 분석 - 이양하의 "나무" = 321
8.2.3 대중매체 - 신문의 텍스트 분석 = 326
8.3 고전 텍스트 = 335
8.3.1 악장의 텍스트분석 -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고) = 336
8.3.2 시조의 텍스트분석 = 349
8.3.3 언해의 텍스트분석 = 354
8.3.4 번안의 텍스트분석 = 358
내용보충 = 368
연습 및 토론 과제 = 373
연구 과제 = 374
제9장 마무리
9.1 간추림 = 375
9.2 응용분야 = 378
9.3 내다보기 = 383
내용보충 = 385
참고문헌 = 387
찾아보기 =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