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예술론
제1장 모방으로서의 예술 = 11
1. 플라톤의 모방론 = 13
2.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 = 19
3. 모방론의 변용과 영향 = 27
제2장 표현으로서의 예술 = 36
1. 톨스토이의 예술 표현론 = 37
2. 콜링우드의 표현론 = 43
3. 표현적 음악론 = 50
제3장 도구로서의 예술 = 68
1. 고대 그리스의 예술 도구론 = 72
2. 동양의 예술관 : 수신으로서의 예술 = 82
제4장 제도로서의 예술 = 111
1. 예술의 정의 불가능 이론 = 112
2. '예술계'의 개념 = 117
3. 디키의 예술 제도론 = 122
제2부 예술과 사상
제5장 중세 예술과 상징주의 = 135
1. 고대사상의 계승과 발전 = 135
2. 신과 예술가의 유비 = 137
3.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수학적 예술론 = 143
4.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지적 예술론 = 149
5. 중세 예술의 상징주의적 성격 = 153
제6장 합리론과 고전주의 = 159
1. 이성적 감성의 미학 = 159
2. 신고전주의 : 이상적 모방론 = 171
3. 조수아 레이놀즈의 회화론 = 174
제7장 경험론과 인상주의 = 183
1. 마음이 산출한 관념으로서의 미 = 183
2. 취미의 기준 = 188
3. 인상주의자들과 환영의 창조 = 193
4. 메를로퐁티의 지각 현상학 = 198
제8장 독일 관념론과 낭만주의 = 201
1. 칸트의 유산 = 201
2. 칸트 이후의 관념론의 발전과 낭만주의 = 204
3. 낭만주의의 요소 = 217
제9장 헤겔의 역사 철학과 예술, 그리고 아방가르드 = 223
1. 헤겔의 변증법적 예술론 : 「정신 현상학」 = 225
2. 헤겔의 미학체계 = 229
3. 아방가르드 예술의 헤겔적 토대 = 235
제10장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 리얼리즘 = 244
1. 마르크스·엥겔스와 예술 = 244
2. 마르크스주의 미학 = 253
3. 사회주의 리얼리즘 = 259
제11장 포스트모더니즘과 예술 = 267
1.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배경 = 267
2.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의 특성 = 279
제12장 페미니즘과 미학 = 294
1. 전통 미학과 미적 쾌 = 294
2. 형식미 대 숭고미 = 299
3. 여성주의 비평 = 305
4. 여성주의 영화이론 = 308
참고문헌 = 317
찾아보기 =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