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유아언어교육의 기초
1. 유아와 언어 = 13
2. 언어 발달 이론 = 14
2-1. 행동주의 이론 = 14
2-2. 생득주의 이론 = 16
2-3. 상호작용주의 이론 = 17
3. 언어 발달의 과정 = 19
3-1. 음성 언어의 발달 = 19
3-2. 문자 언어의 발달 = 29
제2장 유아언어교육
1. 언어 교육의 중요성 및 성격 = 49
2. 언어 교육의 목표 및 내용 = 51
2-1. 듣기 = 52
2-2. 말하기 = 53
2-3. 읽기·쓰기에 관심 가지기 = 54
3. 언어 교육 방법 = 55
3-1. 듣기 지도 = 55
3-2. 말하기 지도 = 66
3-3. 읽기 지도 = 76
3-4. 쓰기 지도 = 89
4. 언어 교육 평가 = 98
4-1. 평가의 목적 = 98
4-2. 평가의 방법 = 99
제3장 유아 교육 기관에서의 읽기·쓰기 교육
1.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접근법 = 109
1-1. 기초 독본 접근법 = 110
1-2. 언어학적 접근법 = 111
1-3. 개별화된 접근법 = 112
1-4. 언어 경험 접근법 = 113
1-5. 문학에 기초한 접근법 = 114
1-6. 총체적 언어 = 115
2. 균형잡힌 읽기·쓰기 교육 = 117
2-1. 균형잡힌 읽기·쓰기 교육의 이론적 기저 = 117
2-2. 균형잡힌 읽기·쓰기 교육의 기본 요소 = 118
2-3. 균형잡힌 읽기·쓰기 교육의 내용 = 118
3. 유아 교육 기관에서의 실제 적용 = 121
3-1. 학습지를 이용한 읽기·쓰기 교육 = 121
3-2. 그림책을 활용한 읽기·쓰기 교육 = 126
4. 언어 교육을 위한 교실 환경의 구성 = 141
4-1. 언어 교육을 위한 교실의 특성 및 교실 환경 = 141
4-2. 언어 교육을 위한 영역 구성과 자료 = 144
5. 유아 교육 기관에서의 언어 활동의 실제 = 149
5-1. 그림책을 활용한 언어 활동 = 150
5-2. 신문·인쇄물을 활용한 언어 활동 = 203
5-3. 교재·교구를 활용한 언어 활동 = 241
제4장 유아교육 기관과 가정의 연계
1. 유아 교육 기관과 가정에서의 언어 활동의 특징 = 290
2. 가정 문해에 대한 이해 = 291
3. 유아 교육 기관과 가정의 협력 전략 = 293
4. 부모 상담의 진행과 효과 = 296
제5장 가정에서의 읽기·쓰기교육
1. 문해가 풍부한 가정 환경 = 305
1-1. 가정에서의 읽기·쓰기 발달 증진을 위한 요소 = 306
1-2. 가정에서의 읽기 자료 = 307
1-3. 가정 활동으로서의 읽기 = 307
1-4. 가정에서의 쓰기 자료 = 308
2. 부모 참여의 필요성과 효과 = 309
2-1. 부모 참여의 필요성 = 309
2-2. 읽기 활동에의 부모 참여의 효과 = 311
3. 가정에서 책 읽어주는 방법 = 313
3-1.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책 선택하기 = 313
3-2. 효과적으로 책 읽어주는 방법 = 318
4. 가정에서의 읽기·쓰기 지도법 = 319
5. 가정에서의 언어 활동을 위한 실제 = 327
5-1. '가정 활동용 달력'을 이용한 언어 활동(만5세) = 331
5-2. '가정 활동용 달력'을 이용한 언어 활동(만4세) = 335
5-3. '가정 활동용 달력'을 이용한 언어 활동(만3세) = 342
참고 문헌 = 353
색인 =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