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행정학의 기초이론
1. 행정의 본질
(1) 행정의 개념(the concept of administration)
행정(行政) = 831
개념(槪念) = 26
본질(本質) = 326
행정현상(行政現象) = 869
공공행정(公共行政) = 73
일반행정(一般行政) = 537
행정법학(行政法學) = 846
행정법학적 행정개념 = 847
사행정(私行政) = 359
공·사 행정 동질론(同質論) = 89
공·사 행정 이질론(異質論) = 90
제3분야(第三分野) = 631
(2) 정치와 행정의 관계(the relation between politics and administration)
정치·행정 관계관(關係觀) = 625
정치·행정 2원론(二元論) = 627
정치·행정 1원론(一元論) = 628
새 (정치·행정) 2원론 = 382
새 (정치·행정) 1원론 = 382
2. 행정의 가치와 행정문화
(1) 행정의 기본이념(ideology of administration)
이념(理念) = 517
이데올로기(ideology) = 518
행정이념(行政理念) = 851
합법성(合法性) = 821
능률성(能率性) = 219
민주성(民主性) = 300
효과성(效果性) = 903
효율성(效率性) = 903
사회적 형평성(衡平性) = 368
생산성(生産性) = 383
가외성(加外性) = 4
(2) 행정의 가치(administrative value)
행정가치(行政價値) = 832
가치(價値) = 6
초가치(超價値) = 752
가치관(價値觀) = 6
가치지향(價値志向) = 8
가치배분(價値配分) = 7
가치판단(價値判斷) = 9
합목적성(合目的性) = 820
(3) 행정철학과 공익(philosophy of administration, public interest)
행정철학(行政哲學) = 857
공공(公共 ; public) = 64
공공선(公共善) = 70
공익(公益) = 93
과정설[소극적 인식론] = 107, 402
실체설[적극적 인식론] = 433, 572
규범설(規範說) = 159
공공재설(公共財說) = 71
공리설(功利說) = 76
계몽사상(啓蒙思想) = 42
사회계약론(社會契約論) = 360
일반의지(一般意志) = 535
존재(存在) = 660
(4)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
행정문화(行政文化) = 844
가족주의(家族主義) = 5
관료주의(官僚主義) = 115
권위주의(權威主義) = 155
합리주의(合理主義) = 819
할거주의(割據主義) = 817
다원주의(多元主義) = 223
3. 국가발전과 현대행정
(1) 국가발전과 행정국가(national development and administrative state)
근세국가(近世國家) = 172
경찰국가(警察國家) = 40
근대국가(近代國家) = 168
야경국가(夜警國家) = 443
행정국가(行政國家) = 842
발전(發展) = 306
국가발전(國家發展) = 142
발전도상국(發展途上國) = 307
복지국가(福祉國家) = 322
(2) 현대행정(modern administration)
현대행정(現代行政) = 878
복지행정(福祉行政) = 323
대중(大衆) = 232
대중문화(大衆文化) = 233
대중조작(大衆操作) = 233
대중사회(大衆社會) = 233
행정수요(行政需要) = 848
행정과정(行政過程) = 840
사회지표(社會指標) = 369
행정지도(行政指導) = 854
행정편의주의(行政便宜主義) = 860
파킨슨(C.N. Parkinson) = 795
파킨슨의 법칙 = 795
행정의 경직성(硬直性) = 850
4. 행정학의 의의와 접근방법
(1) 행정학의 의의(significance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行政學) = 860
사회과학(社會科學) = 360
패러다임(paradigm) = 796
(2) 행정학의 접근방법(appproach method of public administration)
접근방법(接近方法) = 587
귀납적(歸納的) 방법 = 157
연역적(演繹的) 방법 = 452
가설(假說) = 2
가설검정(假說檢定) = 3
전통적(傳統的) 접근법 = 583
역사적(歷史的) 접근법 = 448
원리적(原理的) 접근법 = 506
사회학적 접근법 = 371
사회심리학적 접근법 = 367
권력구조적 접근법 = 152
생태론적(生態論的) 접근법 = 384
행태론적(行態論的) 접근법 = 871
실증적(實證的) 접근법 = 432
행정행태(行政行態) = 867
행태과학(行態科學) = 870
가치중립성(價値中立性) = 8
논리실증주의(論理實證主義) = 215
사실(事實) = 356
규범적(規範的) 접근법 = 160
체계론적(體系論的) 접근법 = 748
현상학적(現象學的) 접근법 = 881
현상학(現象學) = 880
물상화(物象化) = 294
감정이입(感情移入) = 21
신제도론적 접근법 = 424
5. 행정학의 발달과 오늘날의 경향
(1) 행정학의 발달(advance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사(行政學史) = 862
관방학(官房學) = 124
슈타인(stein) 행정학 = 411
슈타인(L. Stein) = 411
진보주의(進步主義) = 719
과학적 관리론(科學的管理論) = 109
고전적 행정이론 = 58
원리주의(原理主義) = 506
행정관리설(行政管理設) = 841
윌슨(W. Wilson) = 510
굿노우(F.J. Goodnow) = 150
어윅(L.F. Urwick) = 444
귤릭(L.H. Gulick) = 163
화이트(L.D. White) = 887
포스드코르브(POSDCORB) = 801
뉴욕 시정조사 연구소 = 216
미국행정학회(ASPA) = 295
왕립행정학회(RIPA) = 502
통치기능설(統治機能說) = 778
뉴딜 정책(New Deal) = 216
한국행정학회 = 817
애플비(P.H. Appleby) = 442
행정행태론(行政行態論) = 868
사이먼(H.A. Simon) = 358
비교행정론(比較行政論) = 341
발전행정론(發展行政論) = 309
신행정론(新行政論) = 427
공공관리론(公共管理論) = 69
(2) 비교행정론(compatative administration)
비교행정론(比較行政論) = 341
비교행정연구회(CAG) = 343
리그스(F.W. Riggs) = 262
발전도상국의 행정환경 = 307
파리아(pariah) 자본주의 = 792
프리즘적 모형 = 806
살라 모형(sala model) = 374
가족주의(家族主義) = 5
가치의 양립성(兩立性) = 7
아노미 현상(anomie 現象) = 437
합리주의(合理主義) = 819
(3) 발전행정론(development administration)
발전기능설(發展機能說) = 307
발전(發展) = 306
국가발전(國家發展) = 142
발전행정론(發展行政論) = 309
사회체계적 접근법 = 370
행정체계적 접근법 = 858
(4) 신행정론과 공공관리론(new public administration & public management)
가치주의(價値主義) = 7
후기행태주의(後期行態主義) = 905
왈도(C.D. Waldo) = 501
신행정론(新行政論) = 427
미노브룩(Minnowbrook) 회의 = 297
롤스(J. Rawls) = 260
롤스의 정의론(正義論) = 261
현상학(現象學) = 880
행위이론(行爲理論) = 830
공공관리론(公共管理論) = 69
Ⅱ. 정책과 기획
1. 정책의 기초이론
(1) 정책의 의의(significance of policy)
정책(政策) = 598
정책과학(政策科學) = 604
정책철학(政策哲學) = 613
정책결과(政策結果) = 600
(2) 정책의 유형(classification of policy)
구성정책(構成政策) = 139
규제정책(規制政策) = 161
상징정책(象徵政策) = 379
추출정책(抽出政策) = 758
분배정책(分配政策) = 333
재분배정책(再分配政策) = 567
(3) 정책과정 참여자
정책과정(政策過程) = 601
정책과정 참여자 = 602
대통령(大統領) = 234
국무총리(國務總理) = 146
정무관(政務官) = 592
행정관(行政官) = 841
이익집단(利益集團) = 520
정당(政黨) = 589
2. 정책의제 설정과 정책결정
(1) 정책의제 설정(policy agenda setting)
정책의제(政策議題) = 607
무의사결정(無意思決定) = 294
내부접근(內部接近) 모형 = 209
동원 모형(動員模型) = 250
외부주도(外部主導) 모형 = 503
정책형성(政策形成) = 618
(2) 정책결정과 그 유형(policy making and the classification)
정책결정(政策決定) = 600
의사결정(意思決定) = 514
단독제(單獨制) = 225
합의제(合議制) = 821
정책목표(政策目標) 설정 = 605
정책대안(政策代案) 선택 = 605
정형적(定型的) 결정 = 629
비정형적(非定型的) 결정 = 345
전략적 결정(戰略的決定) = 574
전술적 결정(戰術的決定) = 579
(3) 정책결정의 이론모형(theoretic model of policy making)
합리(合理) 모형 = 818
만족(滿足) 모형 = 271
점증(漸增) 모형 = 586
혼합관조[주사] 모형 = 886
최적(最適) 모형 = 755
파레토 최적(Pareto 最適) = 791
카네기(Carnegie) 학파 = 761
(4) 정책결정의 기타 주요 모형
엘리트(elite) 모형 = 447
집단(集團) 모형 = 726
회사[연합] 모형 = 453, 902
쓰레기통[집합] 모형 = 434
공공선택(公共選擇) 모형 = 71
관료정치(官僚政治) 모형 = 111
조직과정(組織過程) 모형 = 643
합리적 행위자 모형 = 819
(5) 합리적 정책결정의 제약요인
가치관(價値觀) = 6
집단사고(集團思考) = 727
매몰비용(埋沒費用) = 272
불확실성(不確實性) = 334
(6) 우리나라의 정책결정
품의제(稟議制) = 805
국무회의(國務會議) = 147
차관회의(次官會議) = 741
정부위원(政府委員) = 595
(7) 정책의 분석기법(analysis method of policy)
정책 분석(政策分析) = 606
대안(代案) = 230
대안 탐색(代案探索) = 231
체제 분석(體制分析) = 751
비용편익 분석 = 344
내부수익률(IRR) = 208
비용효과 분석 = 344
오퍼레이션 리서치(OR) = 497
관리과학(管理科學) = 116
변량 분석(變量分析) = 317
상관관계 분석 = 377
회귀 분석(回歸分析) = 901
3. 정책의 집행과 평가
(1) 정책집행과 그 유형(policy implementation and the classification)
정책집행(政策執行) = 608
정책집행 과정 = 609
정책집행상 변수(變數) = 610
고전적 기술관료형 = 56
관료적 기업가형 = 111
재량적 실험형 = 564
지시적 위임형 = 702
협상형(協商型) = 883
(2) 정책평가와 그 유형(policy evaluation and the classification)
정책평가(政策評價) = 614
정책평가 과정 = 616
과정평가(過程評價) = 108
산출평가(産出評價) = 615
성과평가(成果評價) = 615
임팩트(impacts) 평가 = 615
총괄평가(總括評價) = 753
기술적 평가(記述的評價) = 184
인과적 평가(因果的評價) = 525
진실험(眞實驗) = 720
준실험(準實驗) = 670
시계열분석(時系列分析) = 414
기관평가제(機關評價制) = 176
4. 기획[企劃]
(1) 기획의 개념과 특성(concept of planning)
기획(企劃 ; planning) = 187
계획(計劃 ; plan) = 47
사업계획(事業計劃 ; program) = 357
기획이론(企劃理論) = 197
기획의 특성(特性) = 195
(2) 기획의 유형(classification of planning)
기획의 유형(企劃-類型) = 193
장기 기획(長期企劃) = 193
중기 기획(中期企劃) = 193
단기 기획(短期企劃) = 193
경제 기획(經濟企劃) = 193
사회 기획(社會企劃) = 193
물적 기획(物的企劃) = 295
정책 기획(政策企劃) = 194
운영 기획(運營企劃) = 194
강제 기획(强制企劃) = 194
유도 기획(誘導企劃) = 194
고정 계획(固定計劃) = 194
연동 계획(連動計劃) = 194
전략적 기획(戰略的企劃) = 574
(3) 기획의 과정과 제약요인
기획과정(企劃過程) = 189
기획체계(企劃體系) = 199
기획전제(企劃前提) = 198
시계열분석(時系列分析) = 414
델파이 기법(delphi 技法) = 237
전문가집단(專門家集團) = 577
기획의 한계(企劃-限界) = 196
지각착오(知覺錯午) = 682
선택적 지각오류 = 389
Ⅲ. 행정조직
1. 조직에 대한 개관
(1) 조직의 개념(concept of organization)
조직(組織) = 640
집단(集團 ; group) = 724
행정조직(行政組織) = 853
공식 조직(公式組織) = 93
비공식 조직(非公式組織) = 338
(2) 조직의 유형(classification of organization)
강제적 조직(强制的組織) = 25
공리적 조직(公利的組織) = 76
규범적 조직(規範的組織) = 161
공익 조직(公益組織) = 95, 98
사업 조직(事業組織) = 357
서비스 조직(service 組織) = 388
호혜적 조직(互惠的組織) = 886
경제적생산 조직 = 38
정치적 조직(政治的組織) = 619
형상유지(形象維持) 조직 = 884
통합 조직(統合組織) = 780
기계적(機械的) 관료제 = 175
동태적 조직(動態的組織) = 252
애드호크라시(adhocracy) = 440
가상 조직(假像組織) = 2
(3) 조직의 목표(goal of organition)
목표(目標) = 287
공식적 목표(公式的目標) = 92
실질적 목표(實質的目標) = 432
상위 목표(上位目標) = 378
하위 목표(下位目標) = 814
사회적 목표(社會的 目標) = 367
산출 목표(産出目標) = 374
생산 목표(生産目標) = 383
체제 목표(體制目標) = 750
파생적 목표(派生的目標) = 793
목표-수단의 연쇄 = 290
목표대치(目標代置) = 289, 292
과두제의 철칙(寡頭制-鐵則) = 105
목표승계(目標承繼) = 291
목표 확장·축소 = 292
목표관리(MBO) = 288
(4) 조직의 구성원(constituent individuals of organization)
조직과 개인 = 642
조직 구성원(組織構成員) = 644
조직인(組織人) = 653
(5) 조직의 문화와 기술(culture and technology of organization)
조직문화(組織文化) = 646
기술(技術 ; 조직기술) = 181
루틴·비루틴 = 262
페로(Perrow)의 기술모형 = 797
길게 연결된 기술 = 182
중개적 기술(仲介的技術) = 182
집약적 기술(集約的技術) = 182
(6) 조직의 구조(organizational structure)
조직구조(組織構造) = 645
부서편성(部署編成) = 326
계층제(階層制) = 47
전문화(專門化) = 578
명령통일(命令統一) = 280
명령의 사슬(命令連鎖) = 280
통솔범위(統率範圍) = 778
파킨슨(Parkinson)의 법칙 = 795
조정(調整) = 639
애스턴 그룹(Aston group) = 442
2. 조직이론의 발전
(1) 고전적 조직이론(classical organization theories)
조직이론(組織理論) = 651
고전적(古典的) 조직이론 = 58
원리주의(原理主義) = 506
과학적 관리론(科學的管理論) = 109
테일러(F. W. Taylor) = 776
포드(H. Ford) = 800
포드 시스템(Ford system) = 801
동작연구(動作硏究) = 251
관료제(官僚制) 이론 = 113
(2) 신고전적 조직이론(new classical organization theories)
인간관계론(人間關係論) = 522
신고전적 조직이론 = 420
메이요(G. E. Mayo) = 275
호손(Hawthorne) = 885
자생집단(自生集團) = 555
집단규범(集團規範) = 725
시카고(Chicago) 학파 = 419
하버드(Harvard) 학파 = 813
(3) 현대적 조직이론(mordern organization theories)
개방체계 이론(開放體系理論) = 27
체계 이론(體系理論) = 749
투입·산출(投入·産出) = 783
등종국성(等終局性) = 254
항상성(恒常性) = 822
상황적응 이론(狀況適應理論) = 380
대리 이론(代理理論) = 230
인구생태학 모형 = 525, 645
자원-의존 이론(資源依存理論) = 557
제도적 모형(制度的模型) = 630
3. 조직의 권력구조
(1) 권력과 권위(power and authority)
권력(權力) = 151
국가권력(國家權力) = 141
권력의존성 이론 = 153
전략적 상황 이론 = 575
신뢰 이론(信賴理論) = 423
권위(權威) = 153
권위수용 이론(權威受容理論) = 154
무관심권(無關心圈) = 293
수용권(受容圈) = 406
관여(關與) = 127
전통적 권위(傳統的權威) = 581
카리스마적 권위 = 762
합법적 권위(合法的權威) = 821
행정적 권위(行政的權威) = 852
전문적 권위(專門的權威) = 577
신뢰의 권위(信賴-權威) = 423
동일화의 권위(同一化-權威) = 251
제재(制裁)의 권위 = 633
정당성의 권위(正當性-權威) = 592
정당성(正當性) = 591
정통성(正統性) = 629
의존성(依存性) = 515
크로지어(M. Crozier) = 770
(2) 관료제(bureaucracy)
관료제(官僚制) = 112
가산 관료제(家産官僚制) = 1
근대 관료제(近代官僚制) = 164
카리스마적 관료제 = 762
기술 관료제(技術官僚制) = 183
베버(M.Weber) = 314
중범위 이론(中範圍理論) = 672
레드 테이프(red tape) = 259
골드너(Gouldner) 모형 = 62
머턴(Merton) 모형 = 274
블라우(Blau) 모형 = 336
셀즈닉(Selznik) 모형 = 401
후기 관료제론(後期官僚制論) = 904
(3) 부처 조직(departmentalization)
부처(部處) 조직 = 327
부처조직 편성기준 = 328
행정기관(行政機關) = 843
행정기구(行政機構) = 843
국무총리(國務總理) = 146
국무조정실(國務調整室) = 145
행정자치부(行政自治部) = 851
정부조직법(政府組織法) = 595
(4) 계선과 참모(line and staff)
계선기관(系線機關) = 42
참모기관(參謀機關) = 743
계선과 참모의 관계 = 43
담당관(擔當官) = 227
심의관(審議官) = 433
대통령 비서실 = 235
보조기관(補助機關) = 320
보좌기관(補佐機關) = 321
차관(次官) = 741
차관보(次官補) = 741
(5) 위원회 조직(commission (committee) system)
위원회(委員會) = 508
독립규제(獨立規制) 위원회 = 247
자문 위원회(諮問委員會) = 551
조정 위원회(調整委員會) = 640
행정 위원회(行政委員會) = 849
기획예산 위원회 = 191
특별 위원회(特別 委員會) = 784
중소기업 특별위원회 = 673
국가경찰(國家警察) 위원회 = 140
금융감독(金融監督) 위원회 = 173
금융통화(金融通貨) 위원회 = 174
(6) 공기업 조직(public enterprise)
공기업(公企業) = 74
정부기업(政府企業) = 593
주식회사형 공기업 = 668
공사형(公社型) 공기업 = 92
공사(公社) = 88
독립채산제(獨立採算制) = 248
슈메르 뱅크(Smer Bank) = 410
당사자능력(當事者能力) = 228
공공조합(公共組合) = 72
공익사업(公益事業) = 95
전매사업(專賣事業) = 576
(7) 분권과 집권(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분권(分權) = 330
집권(集權) = 721
지방분권(地方分權) = 685
중앙집권(中央集權) = 680
권한(權限) = 155
권한위임(權限委任) = 156
일선기관(一線機關) = 540
4. 조직 내의 개인과 집단
(1) 개인의 차이와 행동
성격유형론(性格類型論) = 392
상승형(上昇型) = 377
무관심형(無關心型) = 293
애매형(曖昧型) = 441
지각(知覺) = 681
지각 착오[오류] = 682
기대성 오류(期待性誤謬) = 180
선택적 지각 오류 = 389
방어적 지각오류 = 311
유형화(類型化) 오류 = 512
귀인 이론(歸因理論) = 157
학습(學習) = 815
학습 이론(學習理論) = 816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 57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 637
순치 이론(馴致理論) = 409
인지부조화 이론 = 532
인지적 학습이론 = 533
(2) 인간관과 효과적 관리(human view and the effective management)
인간관(人間觀) = 521
인간성(人間性) = 524
고전적(古典的) 인간관 = 56
인간관계론적 인간관 = 524
복합적(複合的) 인간관 = 325
엑스 이론(X 理論) = 446
와이 이론(Y 理論) = 500
맥그리거(D. McGregor) = 273
제트 이론(Z 理論) = 633
관리체계 이론(管理體系理論) = 123
시행착오(試行錯誤) = 420
(3) 행동 동기부여 이론(motivation theories)
동기부여(動機賦輿) = 249
과학적 관리론(科學的管理論) = 109
인간관계론(人間關係論) = 522
성장 이론(成長理論) = 397
내용 이론(內容理論) = 210
욕구단계 이론(欲求段階理論) = 505
매슬로(A. H. Maslow) = 272
동기-위생(動機衛生) 이론 = 249
미성숙-성숙 이론 = 297
이아르지 이론(ERG 理論) = 519
과정 이론(過程理論) = 107
기대 이론(期待理論) = 180
성과만족 이론(成果滿足理論) = 394
선호-기대(選好-期待) 이론 = 390
공정성 이론(公正性理論) = 97
보강 이론(補强理論) = 318
(4) 집단의 이론(theories on group)
집단(集團) = 724
비공식 집단(非公式集團) = 338
집단규범(集團規範) = 725
집단역학(集團力學) = 727
집단의사결정(集團意思決定) = 728
집단사고(集團思考) = 727
집단일치성(集團一致性) 이론 = 729
소집단(小集團) = 403
내부내각(內部內閣) = 207
사적조직(私的組織) = 358
5. 조직의 환경과 변동
(1) 조직과 환경(organization andits environment)
환경(環境) = 888
일반환경(一般環境) = 539
특정환경(特定環境) = 787
사회변동(社會變動) = 361
평온적·무작위적 환경 = 799
평온적·군집적 환경 = 799
교란적·반응적 환경 = 133
격동하는 환경 = 33
불확실성(不確實性) = 334
기술적 환경(技術的環境) = 185
전략적 관리관(管理觀) = 574
자원-의존(資源依存) 이론 = 557
기관형성(機關形成) = 176
조직집합(組織集合) = 654
경쟁(競爭) = 38
적응적 흡수(適應的吸收) = 573
협상(協商) = 883
연합(聯合) = 453
조직의사결정(組織意思決定) = 651
(2) 조직의 동태적 발전(dynamic development of organization)
동태적 조직(動態的組織) = 252
애드호크라시(adhocracy) = 440
행렬조직(行列組織) = 823
프로젝트 조직(project 組織) = 806
과업집단[태스크 포스] = 106
(3) 조직의 변동(organizational change)
조직혁신(組織革新) = 655
혁신자(革新者) = 875
조직심리학(組織心理學) = 650
조직설계(組織設計) = 650
계획적 변화(計劃的變化) = 52
비계획적 변화(非計劃的變化) = 336
조직혁신 과정 = 658
조직발전(組織發展 : OD) = 646
조직발전 과정 = 649
과정상담(過程相談) = 106
내재화(內在化) = 211
감수성훈련(感受性訓練) = 19
관리망(管理網) 훈련 = 118
태도조사환류(態度調査還流) = 775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 = 267
Ⅳ. 행정관리
1. 행정관리의 개관
(1) 행정관리의 개념(concept of public management)
행정관리(行政管理) = 841
총체적 질관리(TQM) = 754
관리통제(管理統制) = 124
전략적 통제점(戰略的統制點) = 576
사무관리(事務管理) = 354
(2) 관리자와 관리계층(manager and managemental class)
관리자(管理者) = 120
관리인(管理人) = 119
조직인(組織人) = 653
최고관리층(最高管理層) = 754
중간관리층(中間管理層) = 671
하위관리층(下位管理層) = 814
관리개발(管理開發) = 116
2. 리더십[指導力]
(1) 리더십의 개념(concept of leadership)
리더십(leadership) = 263
헤드십(headship) = 874
(2) 리더십의 유형(style of leadership)
리더십 유형 = 266
권위적(權威的) 리더십형 = 154
민주적(民主的) 리더십형 = 301
자유방임적 리더십형 = 557
지시적(指示的) 리더십 = 700
지원적(支援的) 리더십 = 703
성취지향적 리더십 = 398
참여적(參與的) 리더십 = 744
(3) 리더십 이론(leadership theories)
자질 이론(資質理論) = 558
행태 이론(行態理論) = 871
오하이오 연구(Ohio 硏究) = 498
미시간 연구(Michigan 硏究) = 298
상황 이론(狀況理論) = 379
라이프 사이클 이론 = 257
삼차원적리더십 이론 = 376
진로-목표(進路目標) 이론 = 719
의사결정참여규범 이론 = 514
피들러의 상황모형 = 808
3. 갈등관리
(1) 갈등의 개념과 유형
갈등(葛藤) = 10
개인적 갈등(個人的葛藤) = 11
조직내 갈등(組織內葛藤) = 11
마찰적 갈등(摩擦的葛藤) = 11
전략적 갈등(戰略的葛藤) = 12
갈등 기능 (葛藤機能) = 12
(2) 갈등관리(conflict management)
갈등관리(葛藤管理) = 13
갈등 원인(葛藤原因) = 13
갈등해소 방법 = 15
갈등조장 방법 = 16
4. 의사소통, 공공관계 및 행정정보
(1) 의사소통(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意思疏通) = 764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 92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 337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 409
상향적 커뮤니케이션 = 379
하향적 커뮤니케이션 = 815
(2) 공공관계(public relation ; PR)
공공관계(公共關係) = 64
백서(白書) = 312
여론(輿論) = 447
공청회(公聽會) = 102
청원(請願) = 747
공중(公衆) = 98
대중(大衆) = 232
대중사회(大衆社會) = 233
대중조작(大衆操作) = 233
(3) 행정정보(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행정정보화(行政情報化) = 852
행정정보체계(PMIS) = 852
관리정보체계(MIS) = 122
모뎀크라시(modemcracy) = 282
전자정부(電子政府) = 579
논스톱 서비스 = 580
정보자원관리(IRM) = 593
Ⅴ. 인사행정
1. 인사행정 일반
(1) 인사행정의 의의(significance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인사행정(人事行政) = 530
인사관리(人事管理) = 530
인사행정의 범위 = 531
(2) 인사행정의 발달(advance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절대관료제(絶對官僚制) = 584
전제군주제(專制君主制) = 580
정당관료제(政黨官僚制) = 590
정실주의(情實主義) = 596
엽관제도(獵官制度) = 453
노스코트-트리벨리언 위원회 = 213
추밀원(樞密院) = 756
풀턴(Fulton) 위원회 = 803
실적주의(實績主義) = 429
펜들턴 공무원법 = 798
국가공무원법 = 141
램스펙법(Ramspeck法) = 258
적극적 인사행정 = 571
(3) 공무원 제도(government employee system)
직업공무원제(職業公務員制) = 712
폐쇄형 공무원제 = 800
개방형 공무원제 = 29
대표관료제(代表官僚制) = 236
(4) 공직의 분류(classification of public office)
공직의 분류(公職-分類) = 99
경력직(經歷職) = 36
특수(特殊) 경력직 = 786
일반직(一般職) 공무원 = 537
특정직(特定職) 공무원 = 787
기능직(機能職) 공무원 = 180
정무직(政務職) 공무원 = 592
별정직(別定職) 공무원 = 317
계약직(契約職) 공무원 = 45
고용직(雇用職) 공무원 = 55
계급제(階級制) = 41
직위분류제(職位分類制) = 713
(5) 직위분류제(position classification system)
직위분류제(職位分類制) = 713
직위(職位) = 713
직급(職級) = 705
등급(等級) = 253
직류(職類) = 707
직렬(職列) = 706
직군(職群) = 705
직무조사(職務調査) = 710
직급명세서(職級明細書) = 706
직무기술서(職務記述書) = 708
직무분석(職務分析) = 710
직무평가(職務評價) = 711
요소비교법(要素比較法) = 504
점수법(點數法) = 585
정급(定級) = 588
(6) 우리 나라 공무원의 직급(class)
관리관(管理官) = 117
이사관(理事官) = 519
부이사관(副理事官) = 387
서기관(書記官) = 387
사무관(事務官) = 353
주사(主事) = 668
주사보(主事補) = 668
서기(書記) = 386
서기보(書記補) = 387
복수직급제(複數職級制) = 322
2. 인사행정의 체계
(1) 중앙인사기관(central personnel agency)
중앙인사기관(中央人事機關) = 676
중앙인사(中央人事) 위원회 = 679
인사위원회(人事委員會) = 528
인사교류심의 위원회 = 527
소청심사(訴請審査) 위원회 = 404
행정자치부(行政自治部) = 851
(2) 임용 절차(process of service selsction)
모집(募集) = 284
임용시험(任用試驗) = 544
공개경쟁 채용시험 = 63
공개경쟁 승진시험 = 63
특별 채용시험 = 784
여성채용 목표제 = 448
타당도(妥當度) = 773
신뢰도(信賴度) = 422
객관도(客觀度) = 30
난이도(難易度) = 207
필기시험(筆記試驗) = 809
면접시험(面接試驗) = 277
실기시험(實技試驗) = 428
서류심사(書類審査) = 388
비집합(非集合)시험 = 346
지능검사(知能檢査) = 683
적성검사(適性檢査) = 572
업적검사(業績檢査) = 445
성격검사(性格檢査) = 391
미네소타 다면 성격검사 = 296
캘리포니아 성격검사 = 763
채용자후보명부 = 745
추천(推薦) = 757
전력조사(前歷調査) = 576
시보임용(試補任用) = 415
임명(任命) = 543
보직(補職) = 321
(3) 임용의 종류(classification of service selection)
임용(任用) = 544
내부임용(內部任用) = 208
특별채용(特別採用) = 503
외부임용(外部任用) = 502
배치전환(配置傳換) = 311
공개경쟁채용(公開競爭採用) = 63
전보(轉補) = 579
전직(轉職) = 581
파견근무(派遣勤務) = 791
승진(昇進) = 413
강임(降任) = 24
겸임(兼任) = 35
직무대행(職務代行) = 709
휴직(休職)= 907
인사교류(人事交流) = 526
(4) 징계처분(discipline)
징계(懲戒) = 732
징계위원회(懲戒委員會) = 733
견책(譴責) = 33
정직(停職) = 733
직위해제(職位解除) = 716
해직(解職) = 822
파면(罷免) = 792
(5) 능력개발(development of faculty)
능력개발(能力開發) = 217
시찰(視察) = 418
현장훈련(現場訓練) = 882
사례연구(事例硏究) = 352
역할연기(役割演技) = 449
감수성훈련(T진단훈련) = 19
모의연습[시뮬레이션] = 283
분임연구[신디케이트] = 333
순환보직(循環補職) = 409
신규채용자 훈련 = 420
재직자훈련(在職者訓練) = 570
감독자훈련(監督者訓練) = 17
관리자훈련(管理者訓練) = 121
실무수습(實務修習) = 429
(6) 근무성적 평정(performance evaluation)
근무성적평정(勤務成績評定) = 169
공무원 평정규칙 = 88
근무성적평정서 = 171
근무성적 평정표 = 172
강제배분법(强制配分法) = 24
강제선택법(强制選擇法) = 25
도표식 평정법 = 246
사실표지법[체크리스트법] = 356
산출기록법(産出記錄法) =373
서열법(序列法) = 388
직무기준법(職務基準法) = 709
업무보고법(業務報告法) = 445
집단평정법(集團評定法) = 729
연공서열제(年功序列法) = 449
연쇄적 영향(halo effect) = 452
관대화 경향(寬大化傾向) = 110
집중화 경향(集中化傾向) = 731
논리적 오류(論理的誤謬) = 215
규칙적 오류(規則的誤謬) = 163
총계적오류(總計的 誤謬) = 753
표준(標準)의 착오 = 802
공무원 점수관리제 = 86
경력평정(經歷評定) = 36
도목정사(都目政事) = 238
인사평정서(人事評定書) = 529
(7) 사기 돋우기(heightening the morale)
사기(士氣) = 349
태도조사(態度調査) = 774
질문서법(質問書法) = 720
사회적 욕구(社會的 欲求) = 367
인사상담(人事相談) = 527
지시적 상담(指示的相談) = 701
비지시적(非指示的) = 346
절충식 상담(折衷式相談) = 585
사회측정법(社會測定法) = 370
고충처리(苦衷處理) = 59
고충처리기관 = 61
제안 제도(提案制度) = 361
(8) 보수 제도(compensation system)
보수(報酬) = 319
일반적 보수수준 = 535
차별적 보수수준 = 742
보수곡선(報酬曲線) = 320
호봉(號俸) = 884
수당(手當) = 405
연금(年金) = 450
급여(給與) = 175
연봉제(年俸制) = 451
성과급(成果給) = 393
직무급(職務給) = 707
능력급(能力給) = 218
능률급(能率給) = 219
승급(昇給) = 413
기금제(基金制) = 179
비기금제(非基金制) = 179
기여제(寄與制) = 186
비기여제(非寄與制) = 186
퇴직급여(退職給與) = 780
단기급여(短期給與) = 224
장기급여(長期給與) = 562
(9) 퇴직과 감원(retirement and reduction in staff)
정년제(停年制) = 588
계급(階級) 정년제 = 40
근속(勤續) 정년제 = 173
연령(年齡) 정년제 = 451
감원(減員) = 20
면직(免職) = 278
명예퇴직(名譽退職) = 281
조기퇴직(早期退職) = 634
강제퇴직(强制退職) = 26
3. 공직과 윤리
(1) 행정윤리와 공무원의 행위규범
행정윤리(行政倫理) = 849
공무원 윤리(公務員倫理) = 85
행위규범(行爲規範) = 825
행위(行爲) = 825
공무원 윤리헌장(倫理憲章) = 826
(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political neutral)
정치적 중립(政治的中立) = 619
중립성(中立性) = 672
민주적 기본질서 = 301
정당(政黨) = 589
해치법(Hatch法) = 823
(3) 공무원의 집단행위(collective activity)
공무원(公務員) = 77
공무원 단체(公務員團體) = 78
공무원 조합(公務員組合) = 87
공무원단체 활동 = 80
단체교섭(團體交涉) = 226
단체행동(團體行動) = 227
공무원 직장 협의회 = 87
근로감독관(勤勞監督官) = 168
태프트-하틀리법(Taft-Hartley Act) = 776
Ⅵ. 재무 행정
1. 재무행정 일반
(1) 재무행정과 예산(financial administration and budget)
재무행정(財務行政) = 566
예산(豫算) = 461
세입(歲入) = 399
세출(歲出) = 400
예산의 원칙(豫算原則) = 481
전통적(傳統的) 예산원칙 = 582
예산공개(豫算公開)의 원칙 = 465
예산단일(豫算單一)의 원칙 = 470
예산사전의결의 원칙 = 471
예산엄밀(豫算嚴密)의 원칙 = 476
예산완전성의 원칙 = 477
예산통일(豫算統一)의 원칙 = 493
예산한정성의 원칙 = 496
회계연도독립의 원칙 = 901
현대적(現代的) 예산원칙 = 876
통합예산(統合豫算) = 779
(2) 재무행정기관(financial administration gfency)
중앙 예산기관 = 675
기획예산 위원회 = 191
재정경제부(財政經濟部) = 567
예산청(豫算廳) = 492
국세청(國稅廳) = 150
관세청(關稅廳) = 126
조달청(調達廳) = 634
예산실(豫算室) = 471
관리예산처(OMB) = 19
의회예산처(CBO) = 516
(3) 예산의 종류와 분류(classification of budget)
예산의종류(豫算-種類) = 485
일반회계(一般會計) 예산 = 539
특별회계(特別會計) 예산 = 785
본 예산(本豫算) = 325
수정예산(修正豫算) = 407
추가경정(追加更正) 예산 = 756
준예산(準豫算) = 670
잠정예산(暫定豫算) = 562
가예산(假豫算) = 3
예산의 분류(豫算-分類) = 479
예산과목(豫算科目) = 466
예산과목 구조 = 466
2. 예산 제도
(1) 예산제도의 발달 단계(stages of budget reform)
예산제도(豫算制度) = 486
예산제도 개혁 = 487
품목별(品目別) 예산 = 803
성과주의(成果主義) 예산 = 394
성과단위(成果單位) = 393
단위원가(單位原價) = 225
자본예산(資本豫算) 제도 = 551
자본적(資本的) 지출 = 554
경상지출(經常支出) = 38
경상계정(經常計定) = 37
공채(公債) = 102
유효수요(有效需要) = 512
계획예산 제도(PPBS) = 48
랜드(RAND) 연구소 = 258
게임(game) 이론 = 32
비용편익 분석 = 344
체제분석(體制分析) = 751
영기준예산 제도(ZBBS) = 454
덮개 예산 = 236
(2) 영기준 예산과 감축관리(ZBB and cutback management)
영기준예산의 등장 배경 = 454
영기준예산의 특징 = 455
영기준예산의 편성 절차 = 456
영기준예산의 평가 = 457
감축관리(減縮管理) = 22
일몰법(日沒法) = 534
시퀘스트레이션[강제몰수] =419
3. 예산 과정
(1) 예산의 편성(budget preparation)
예산과정(豫算過程) = 467
회계연도(會計年度) = 900
예산편성(豫算編成) = 494
예산편성지침서 = 495
예산요구서(豫算要求書) = 477
예산청(豫算廳) = 492
예산안사정(豫算案査定) = 475
차관회의(次官會議) = 741
국무회의(國務會議) = 147
예산총칙(豫算總則) = 493
세입세출 예산 = 399
계속비(繼續費) = 44
명시이월비(明示移越費) = 281
국고채무부담행위 = 144
경직성경비(硬直性經費) = 39
관서당경비(官署當經費) = 126
예산결정 이론(豫算決定理論) = 464
중앙관서(中央官署) = 673
(2) 예산안의 심의(budget-bill deliberation)
예산심의(豫算審議) = 472
예산결산 특별위원회 = 464
예산불성립(豫算不成立) = 474
세출예산법(歲出豫算法) = 401
예산과 법률(法律) = 475
(3) 예산의 집행(budget execution)
예산집행(豫算執行) = 488
재정통제(財政統制) = 569
예산의 배정(豫算-配定)= 478
예산의 재배정(豫算-再配定) = 484
예산집행사의 신축성 = 470, 490
재량행위(裁量行爲) = 565
예산의 이용(豫算-移用) = 483
예산의 전용(豫算-轉用) = 485
예산의 이체(豫算-移替) = 484
예산의 이월(豫算-移越) = 483
명시이월비(明示移越費) = 281
사고이월(事故移越) = 349
예비비(豫備費) = 460
총괄예산(總括豫算) = 753
추가경정예산(追加更正豫算) = 756
세입징수관(歲入徵收官) = 400
출납공무원(出納公務員) = 758
재무관(財務官) = 565
지출관(支出官) = 703
지급기관(支給機關) = 682
지출원인행위(支出原因行爲) = 704
(4) 결산과 회계검사(closing accounts and audit)
결산(決算) = 34
회계(會計) = 895
회계검사(會計檢査) = 895
회계검사기관(會計檢査機關) = 897
회계검사원(GAO) = 899
감사원(監査院) = 18
4. 구매 행정
(1) 구매행정의 의의(significance of purchasing administration)
구매(購買) = 137
집중구매(集中購買) 제도 = 729
(2) 중앙 구매기관과 구매절차
중앙구매기관(中央購買機關) = 674
조달청(調達廳) = 634
구매절차(購買節次) = 138
일반경쟁계약(一般競爭契約) = 534
지명경쟁계약(指名競爭契約) = 684
수의계약(隨意契約) = 407
Ⅶ. 행정의 통제와 개혁
1. 행정 통제
(1) 행정 책임(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and accountibililty)
행정책임(行政責任) = 855
책임(責任) = 746
도의적 책임(道義的責任) = 246
법적 책임(法的責任) = 313
책무적 책임(責務的責任) = 745
행정책임의 기준 = 856
행정심판(行政審判) = 848
(2) 행정 통제(control to administration)
내부통제(內部統制) = 209
외부통제(外部統制) = 504
행정통제(行政統制) = 859
입법통제(立法統制) = 546
사법통제(司法統制) = 355
민중통제(民衆統制) = 302
옴부즈만(ombudsman) 제도 = 499
시민참여(市民參與) = 415
행정평가(行政評價) = 860
2. 행정 개혁
(1) 행정개혁의 의의(significance of administrative reform)
행정개혁(行政改革) = 833
행정개혁의 요인 = 838
행정개혁의 성공조건 = 837
(2) 행정개혁의 과정(process of administrative reform)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 839
행정개혁 과정 = 835
행정개혁 위원회 = 836
(3) 외국의 행정개혁 사례
뉴욕 시정조사 연구소 = 216
브라운로우(Brownlow) 위원회 = 335
후버(Hoover) 위원회 = 906
국가성과심의회(NPR) = 143
노스코트-트리베리언 위원회 = 213
능률성진단(能率性診斷) = 220
넥스트 스텝스 개혁 = 212
시민헌장(市民憲章) 제도 = 415
(4) 우리나라의 행정개혁 사례
기획예산 위원회 = 191
기관평가제(機關評價制) = 176
책임경영 행정기관제 = 746
주민반응측정제 = 660
주민복지 센터 = 661
여성채용 목표제 = 448
공무원 직장 협의회 = 87
연봉제(年俸制) = 451
성과급제(成果給制) = 393
Ⅷ. 지방·도시 행정
1. 지방행정의 개관
(1) 중앙집권과 지방분권(centralization amd decentralization)
중앙집권(中央集權) = 680
지방분권(地方分權) = 685
신(新) 중앙집권 = 425
신(新) 지방분권 = 426
중앙통제(中央統制) = 680
(2) 지방행정과 지방자치(local administration and local autonomy)
지방행정(地方行政) = 698
관치행정(官治行政) = 128
간접지방행정(間接地方行政) = 9
자치행정(自治行政) = 559
일선기관(一線機關) = 540
중간기관(中間機關) = 671
지방자치(地方自治) = 691
주민자치(住民自治) = 663
단체자치(團體自治) = 226
향약(鄕約) = 872
향청(鄕廳) = 873
향회(鄕會) = 873
(3) 지방자치단체의 구역과 광역행정(area and regional administration)
계층(階層) = 46
자치계층(自治階層) = 46
행정계층(行政階層) = 46
구역(區域) = 139
통치구역(統治區域) = 140
행정구역(行政區域) = 140
광역행정(廣域行政) = 130
규모의 경제(規模-經濟) = 159
행정협의회(行政協議會) = 870
사무조합(社務組合) = 354
특별구역(特別區域) = 783
지역사회(地域社會) = 702
님비 현상(NIMBY 現象) = 220
2.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참여
(1) 지방자치단체의 의의(significance of local autonomous entity)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團體) = 693
지방자치법(地方自治法) = 696
자치권(自治權) = 559
고유사무(固有事務) = 55
위임사무(委任事務) = 509
법인격(法人格) = 313
권능(權能) = 151
광역 지방자치단체 = 129
기초 지방자치단체 = 187
(2) 지방자치단체의 기관[지방정부]
의회의장형(議會議長型) = 516
(시정)의회형(議會型) = 417
(시정)위원회형(委員會型) = 417
주민총회형(住民總會型) = 666
지방의회(地方議會) = 688
지방자치단체장 = 695
시장-시의회제(市長市議會制) = 416
약시장-의회제(弱市長議會制) = 444
강시장-의회제(强市長議會制) = 22
강시장-행정관리관제 = 23
시정관리관제(市政管理官制) = 417
시지배인제(市支配人制) = 418
지방공무원(地方公務員) = 684
지방공무원법(地方公務員法) = 684
조례(條例) = 635
규칙(規則) = 162
인사위원회(人事委員會) = 528
(3) 주민참여(citizen participation)
주민참여(住民參與) = 664
주민투표(住民投票) = 667
발안제도(發案制度) = 305
주민자문 위원회 = 662
주민[국민]소환(recall) = 718
(4) 지방자치단체의 재정(local finance)
지방재정(地方財政) = 697
지방수입(地方收入) = 687
조세(租稅) = 636
지방세(地方稅) = 686
보통세(普通稅) = 687
목적세(目的稅) = 286
직접세(直接稅) = 718
간접세(間接稅) = 9
마권세(馬券稅) = 271
면허세(免許稅) = 279
주민세(住民稅) = 661
사업소세(事業所稅) = 357
세외수입(稅外收入) = 398
지방교부세(地方交付稅) = 685
공동세 제도(共同稅制度) = 75
국고보조금(國庫補助金) = 143
지방양여금(地方讓與金) = 687
조세부담률(租稅負擔率) = 637
제장자립도(財政自立度) = 568
지역내 총생산(GRDP) = 702
3. 도시문화와 도시행정
(1) 도시화와 도시문제(urbanization and urban problems)
도시(都市) = 238
도시화(都市化) = 245
가도시화(假道市化) = 1
도시문제(都市問題) = 241
거대도시(metropolis) = 30
광역도시(metropolitan) = 129
메갈로폴리스(megalopolis) = 274
수도권(首都圈) = 406
체감도시(遞減都市) = 748
(2) 도시정부의 행정(public administration of urban government)
도시정부(都市政府) = 243
도시행정(都市行政) = 244
도시헌장(都市憲章) = 244
도시재정(都市財政) = 242
참여기획(參與企劃) = 744
(3) 도시개발 정책(policy of urban development)
도시계획(都市計劃) = 239
하워드(E. Howard) = 813
그린 벨트(green belt) = 164
신도시(新都市;new town) = 421
위성도시(衛星都市) = 507
도시내 신도시(都市內新都市) = 240
자원개발 신도시 = 557
휴양도시(resort town) = 907
기술도시(technopolis) = 184
신수도(新首都) = 424
거점도시(據點都市) = 31
도시재개발(都市再開發) = 241
슬럼(slum) = 412
다목적 개발사업 = 223
확대도시(擴大都市) = 888
Ⅸ. 복지·환경 행정
1. 사회복지와 복지행정
(1) 복지행정과 사회보장(welfare administration & social security)
사회복지(社會福祉) = 364
복지행정(福祉行政) = 323
사회보장(社會保障) = 362
가치(價値) = 6
가치배분(價値配分) = 7
사회적 형평성(衡平性) = 368
내셔널 미니멈 = 210
'삶의 질' 지표 = 375
인간개발지수(HDI) = 520
잔여주의(殘餘主義) = 560
제도주의(制度主義) = 631
(2) 복지행정의 발전(advancement of welfare administration)
베버리지(W. H. Beveridge) = 315
베버리지 보고(報告) = 316
진대법(賑貸法) = 718
무갹출노령연금법 = 324
보건복지부(保健福祉部) = 319
2. 사회보장의 체계
(1) 사회보험 제도(social insurance system)
사회보험(社會保險) = 363
기금제(基金制) = 179
기여제(寄與制) = 186
의료보험(醫療保險) 제도 = 513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 = 372
국민연금(國民年金) 제도 = 148
고용보험(雇傭保險) 제도 = 53
퇴직연금(退職年金) 제도 = 781
퇴직급여(退職給與) = 780
장해급여(障害給與) = 564
유족급여(遺族給與) = 511
(2) 공적부조 제도(public assistance sysytem)
공적부조(公的扶助) = 95
생활보호(生活保護) 제도 = 385
의료보호(醫療保護) 제도 = 386
(3) 사회복지 서비스 제도(social welfare service system)
사회복지 서비스 = 366
아동복지(兒童福祉) = 437
노인복지(老人福祉) = 214
장애인복지(障碍人福祉) = 563
가족복지(家族福祉) = 4
3. 환경행정과 공해대책
(1) 환경 행정(environmental administration)
환경행정(環境行政) = 893
생태계(生態系) = 384
환경용량(環境容量) = 892
환경기준(環境基準) = 890
환경지표(環境指標) = 892
환경영향평가(環境影響評價) = 891
환경부(環境部) = 891
환경 위원회(CEQ) = 893
(2) 공해 대책(antipollution measure)
공해(公害) = 103
대기오염(大氣汚染) = 228
수질오염(水質汚染) = 408
토양오염(土壤汚染) = 777
하이테크 오염(hi-tech 汚染) = 815
개발공해(開發公害) = 27
재활용(再活用) = 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