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현대경제지리학의 이해
제1장 경제지리학의 관점과 성격 = 21
1. 경제지리학의 관점 = 21
2. 경제지리학 성격의 변화 = 24
2.1 1900년 이전의 상업지리학 = 26
2.2 환경결정론 = 29
2.3 지역적 차이 = 33
2.4 1960년대 이후의 경제지리학 = 34
2.5 경제지리학 성격의 연속과 변화 = 43
3. 한국의 경제지리학 연구성과와 과제 = 45
3.1 농업지리학 연구와 그 성과 = 45
3.2 공업지리학 연구와 그 성과 = 49
3.3 상업, 서비스 및 유통지리학 연구와 그 성과 = 60
3.4 연구성과와 과제 = 65
제2장 경제공간 변화의 요인과 현대경제지리학 = 67
1. 경제공간 변화의 요인 = 67
1.1 경쟁우위 = 68
1.2 포터의 경제발전단계 = 72
1.3 신경제지리학과 지역의 재발견 = 78
2. 경제공간변화의 과정과 현대경제지리학 = 79
2.1 경제공간의 변화과정 : 개념적 틀 = 80
2.2 현대경제지리학의 쟁점 = 84
제2부 세계의 자원과 환경
제3장 자원과 환경 = 93
1. 자원의 개념과 분류 = 93
2. 자원의 부족과 지속가능성 = 96
2.1 자원의 부족 = 96
2.2 지속가능한 발전 = 101
3. 자원개발과 환경관리 = 105
3.1 개척경제학적인 패러다임 = 107
3.2 환경보호의 패러다임 = 109
3.3 자원관리의 패러다임 = 111
3.4 생태개발의 패러다임 = 112
3.5 심층생태학의 패러다임 = 114
제4장 세계자원의 개발과 이용 = 117
1. 세계의 자원문제 = 117
2. 식량자원 = 121
2.1 세계 식량생산의 추이 = 122
2.2 미래의 세계 식량공급 = 125
3. 세계 에너지 자원 = 131
3.1 에너지 생산과 소비의 추세 = 132
3.2 에너지 자원의 이용 = 134
3.3 미래 에너지 자원의 전망과 대책 = 141
제3부 경제활동의 입지결정 원리
제5장 전통적 입지이론과 공간조직 = 151
1. 농업적 토지이용과 공간조직 = 151
1.1 지대의 개념 = 152
1.2 농업생산의 공간조직 = 156
2. 전통공업입지이론 = 165
2.1 최소비용이론 = 165
2.2 최대 수요이론과 시장지역 분석 = 170
2.3 비용과 수요의 통합이론 = 172
3. 중심지이론과 중심지체계 = 175
3.1 단일재화나 서비스 공급의 공간조직 = 176
3.2 다양한 재화나 서비스 공급의 공간조직 = 181
제6장 기업조직과 기술변화 및 경제활동입지 = 187
1. 기업의 입지결정 과정 = 187
1.1 입지결정의 행태적 접근 = 187
1.2 준최적행동 = 190
1.3 입지결정 과정 = 191
2. 기업조직과 경제활동입지 = 193
2.1 기업조직 연구의 배경 = 193
2.2 다국적기업의 성장과 세계화 = 194
2.3 분공장경제 = 201
2.4 공간분업 = 203
3. 기술변화와 경제활동입지 = 207
3.1 제품수명주기이론 = 207
3.2 장기파동이론 = 212
3.3 생산체계의 변화 = 216
제7장 첨단기술산업 입지와 지역 = 221
1. 첨단기술산업의 입지요인 = 223
1.1 첨단기술산업의 정의 = 223
1.2 첨단기술산업의 입지요인 = 227
2. 첨단기술산업과 지역발전 = 233
2.1 기술혁신과 지역 = 233
2.2 첨단기술산업과 지역발전 = 235
3. 첨단기술산업 직접유형과 육성전략 = 238
3.1 첨단기술산업의 집적유형 = 239
3.2 첨단기술산업 집적유형별 정책방안 = 241
4. 신산업화와 지역성장 = 244
제4부 경제구조재편과 경제공간조직
제8장 산업구조재편과 경제공간 변화 = 249
1. 산업구조의 변화 = 250
1.1 산업구조의 정의 = 250
1.2 한국의 산업구조 변화 = 253
2. 산업의 구조재편전략 = 262
2.1 기업의 구조재편 = 262
2.2 포디스트 기업과 유연적 기업의 노동시장분할 = 264
2.3 한국기업의 구조재편 = 267
3. 구조재편과 경제공간의 변화 = 271
제9장 생산자서비스의 성장과 공간구조 변화 = 277
1. 생산자서비스업의 정의와 업종 = 277
2. 생산자서비스업의 성장과 지역발전 = 280
3. 서울의 생산자서비스업의 성장과 공간구조 변화 = 283
3.1 서울의 산업구조재편 = 285
3.2 서울 생산자서비스 활동의 공간구조 = 287
3.3 생산자서비스 활동의 공간분화 = 300
3.4 기업간 거래와 국제적 - 국지적 연줄망 구조 = 305
제5부 신산업지구의 형성과 발달
제10장 산업지구의 형성과 유형 및 역동성 = 315
1. 마샬의 산업지구이론과 이탈리아 산업지구 = 317
2. 신산업지구 형성에 대한 이론 = 321
3. 신산업지구의 형성과 역동성의 주요 요인 = 329
3.1 생산체계 : 유연적 생산체계와 대량생산체계의 공존 = 330
3.2 연줄망 : 국지화된 연줄망과 세계적 연줄망의 공존 = 331
3.3 착근성 : 국지적 착근성과 타지역 착근성의 공존 = 334
3.4 기업의 규모 : 소기업과 대기업의 공존 = 335
4. 신산업지구의 유형과 그 특성 = 337
5. 신산업지구의 역동성과 경쟁우위 = 346
5.1 역동성과 경쟁우위 = 346
5.2 산업지구 유형의 단순화 = 350
제11장 비서구지역의 신산업지구 : 한국의 사례 = 353
1. 한국에서의 신산업지구 기원 = 355
1.1 산업 및 지역정책의 방향 = 355
1.2 구미 : 전자 및 섬유산업단지 = 357
1.3 안산 : 공해산업을 위한 산업단지로 출발 = 359
2. 구미와 안산 산업지구의 조직과 구조 = 362
2.1 산업 전문화 = 364
2.2 기업규모, 소유권, 국지적 연계와 타지역 연계 = 366
2.3 노동력 구조재편 = 371
3. 한국 산업지구의 역동성 = 376
4. 종합과 전망 = 379
제6부 경제의 세계화·지방화와 세계 경제공간조직
제12장 경제의 세계화·지방화와 공간조직의 변화 = 385
1. 경제의 세계화와 지방화 = 387
2. 태평양 연안지역의 경제공간조직 변화 = 391
2.1 교역과 해외 직접투자의 증가 = 391
2.2 신산업지구와 지역경제시대 = 395
3. 세계 경제공간조직 변화의 주요 과정 = 399
3.1 공간분업과 상품사슬 = 400
3.2 산업구조재편 = 403
3.3 생산조직과 산업연줄망 = 404
4. 세계화·지방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 409
제13장 한국기업의 해외투자 = 413
1. 한국기업의 해외 직접투자 동향 = 414
1.1 총투자 동향 = 414
1.2 지역별 해외투자 동향 = 416
2. 한국기업의 대중국투자 = 418
2.1 동향 = 418
2.2 한국기업 대중국투자의 지역간 투자연계와 투자업종 분석 = 423
2.3 대중국투자 한국기업의 국내 모기업과의 연계 : 산동성의 사례 = 427
2.4 대중국투자 기업의 기업간 협력의 비교 = 433
3. 정책적 시사점 = 439
제14장 지방의 국제화 = 443
1. 한국에서 지방의 국제화 수준 = 444
2. 지방국제화의 문제점 = 449
3. 지방의 국제화전략 = 453
3.1 지방의 국제화 기반조성 및 시설의 확충 = 453
3.2 지역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 = 455
3.3 산업기술 정보망의 구축과 지역정보화의 추진 = 460
3.4 환경친화적 지역산업발전 = 461
3.5 외국인 투자환경의 개선과 국제화를 위한 조직의 강화 = 464
4. 전략의 종합화 = 466
제7부 지역경제개발 정책
제15장 지역산업발전과 지역개발 = 471
1. 지역의 재발견과 경제공간의 재편성 = 473
1.1 경제구조 조정과 경제공간 = 473
1.2 지역의 재발견 = 475
2. 지역산업정책 추진의 전제 = 477
3.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산업정책 = 479
3.1 산업연줄망 전략을 통한 경쟁력 강화 = 479
3.2 지역의 기술혁신 잠재력 제고 = 482
3.3 지역정보화의 추진 = 484
3.4 기존 산업단지의 구조재편 = 488
3.5 다양한 유형의 신산업지구 개발 = 489
3.6 외국인 투자전용단지 개발 = 492
3.7 동북아 지역산업 협력체계의 구축 = 494
제16장 친환경적 산업정책과 지속가능한 발전 = 499
1.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 500
1.1 지속가능한 발전 : 배경과 개념 = 500
1.2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 503
2. 외국의 환경 - 산업정책 :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사례 = 505
2.1 네델란드의 환경친화적 산업정책 = 505
2.2 덴마크의 산업·환경정책 = 514
3. 한국의 공업입지 실태와 환경문제 = 524
3.1 개별입지와 계획입지 = 524
3.2 개별입지의 환경문제 = 526
4. 지속가능한 지역산업 발전정책 방향 = 528
4.1 환경친화적인 산업구조재편 = 529
4.2 지역산업 혁신전략 = 531
4.3 지속가능한 산업발전을 위한 공간조직 = 533
4.4 지역환경의 이용과 보전이 조화를 이루는 국토개발 = 534
참고문헌 = 537
찾아보기 = 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