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654545 | |
005 | 20150119171404 | |
007 | ta | |
008 | 991223s1999 ulk 001c kor | |
020 | ▼a 8975482073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143144 ▼l 111143145 ▼l 111143146 |
082 | 0 4 | ▼a 379 ▼2 23 |
085 | ▼a 379 ▼2 DDCK | |
090 | ▼a 379 ▼b 1999 | |
245 | 0 0 | ▼a 한국 교육개혁의 정치학 / ▼d 안기성 [외]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1999 | |
300 | ▼a 304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안기성,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 1999 | Accession No. 11114314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 1999 | Accession No. 1111431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 1999 | Accession No. 1111431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우리 교육 현실의 하나를 교육정치학의 접근법을 동원하여 살펴본 것이다.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면 제1장에서 한국 교육개혁의 정치학을 제2장에는 제3공화국의 교육개혁의 성격에 대해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1980년대에 단행된 교육개혁 가운데 7.30 교육개혁 조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나아가 제4장과 제5장은 각각 제6공화국과 문민정부의 교육개혁을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다. 아울러 제6장에서는 문민정부의 교육개혁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가하고 있는데, 이는 자체로 하나의 완결적인 논문이면서도 제5장의 논의를 보완, 확장하는 의미도 함께 가지고 있다. 끝으로 제7장에서는 본 학회의 학술대회 기획과정에서 다루어지지 못하였으나 한국의 교육개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기로 언급되는 8.15전후의 교육개혁론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안기성(지은이)
교육학(교육행정학, 교육법학, 교육정치학) 고려대학교 문이과대학 철학과 졸업 일본구주대학교 교육학부 연구과 수료 미국 Eastern Michigan University 졸업 국제사회교육협의회(International Community Education Association) 한국대표 국제이사 대한교육법학회 회장 한일학회교육분과연구회 회장 일본재단연구원(Japan Foundation Fellow) 일본국립교육연구소 객원교수 교육부중앙교육심의회 위원(지방교육지원분과위원장) 격암문화재단 이사 한국교육정치학회 회장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소장 고려대학교 사회교육원장유네스코아태지역 교육혁신산업 국내위원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한국 교육개혁의 정치학 Ⅰ. 근대 이전의 교육개혁 = 19 1. 불교에 따른 교육개혁 = 20 2. 유학에 따른 교육개혁 = 22 Ⅱ 근대 이후의 교육개혁 = 25 1. 조선조 후기와 대한제국의 교육개혁 = 25 2. 왜국 식민지하의 교육개혁 = 31 3. 미군정의 교육개혁 = 34 4. 대한민국의 교육개혁 = 35 제2장 제3공화국의 교육개혁과 정치 Ⅰ. 들어가는 말 = 53 Ⅱ. 두 가지 사례 = 58 Ⅲ. 교육과 정치 = 69 Ⅳ. 맺음말 = 75 제3장 1980년대 교육개혁의 정치적 의미와 교육적 의미 Ⅰ. 정치를 위한 교육개혁과 교육을 위한 정치 = 81 Ⅱ. 정치적 과정으로서의 교육개혁 = 85 1. 7.30 교육개혁의 전개과정 = 85 2. 7.30 교육개혁안의 주요 내용 = 92 3. 7.30 교육개혁안의 정치적 의미와 교육적 의미 = 93 Ⅲ. 교육개혁 = 114 제4장 제6공화국 교육개혁의 정치학 Ⅰ. 서론 = 123 Ⅱ. 논의의 틀 = 127 1. 정책형성과정에서 분석되어야 할 준거 = 129 2. 정책집행과정에서 적용되어야 할 준거 = 131 3. 정책평가과정에서 적용되어야 할 준거 = 132 Ⅲ. 교육개혁정책 형성과정 분석 = 132 1. 6공화국 정치구조의 특성 = 133 2. 교육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제 집단의 특성 = 134 3. 정책결정의 특성분석 = 136 4. 6공화국 교육개혁 정책형성의 특성 = 139 Ⅳ. 교육개혁정책 집행과정 분석 = 140 Ⅴ. 교육개혁정책 평가과정 분석 = 152 Ⅵ. 요약 및 결론 = 154 제5장 문민정부 교육개혁의 정치학 Ⅰ. 서론 = 157 Ⅱ. 교육개혁의 구조와 분석 = 160 1. 교육개혁의 구조 = 160 2. 교육개혁 현상의 정치학적 분석 = 163 Ⅲ. 문민정부의 교육개혁 = 168 Ⅳ. 문민정부 교육개혁 형성과정의 정치학적 분석 = 172 1. 정부 = 172 2. 교육개혁위원회 = 176 3. 교육계 = 180 4. 이해 집단 = 185 Ⅴ. 결론 = 194 제6장 교육개혁의 주요 쟁점과 과제 Ⅰ. 문제 제기 = 201 Ⅱ. 한국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 = 203 1. 한국교육의 실태와 주요 시책 = 204 2. 한국교육의 문제점 = 206 Ⅲ. 교육 개혁안의 주요 내용과 교육관련 집단의 인지도 = 213 1. 교육개혁안의 주요 내용 = 213 2. 교육개혁안에 대한 교육 관련 집단의 인지도 = 216 3. 논의 = 226 Ⅳ. 교육 개혁의 기본 방향 = 227 1. 인간교육 및 품성교육의 심화 = 228 2. 교육체제의 개방화·다양화 = 229 3. 교육 프로그램의 수월성 및 적합성 제고 = 230 4. 교육요원의 전문화 = 231 5. 교육환경의 복지화 = 231 5. 인력개발의 효율화 = 232 7. 교육지원체제의 강화 = 233 Ⅴ. 교육개혁의 주요 쟁점과 과제 = 234 1. 올바른 교육관 및 고용관 정립 = 235 2. 취학전 교육의 확대 = 236 3. 초·중등 교육의 내실화 = 237 4. 대학교육의 특성화·다양화 = 244 5. 사회교육체제의 활성화 = 247 6. 유능하고 긍지 높은 교직풍토 조성 = 249 7. 학교중심의 교육행정제도 정착 = 254 8. 교육여건의 개선과 재정투자의 확대 = 258 Ⅵ. 맺음말 = 261 제7장 8.15 전후의 교육개혁론 연구 Ⅰ. 서론 = 265 Ⅱ. 일제 잔재의 청산과 민주적인 교육제도 건설 = 267 1. 교육개혁론의 이념적 기초 = 268 2. 단선형 학제의 수립과 민주 교육론 = 279 Ⅲ. 성인층의 문맹퇴치와 의무교육제도 실시안 = 286 1. 성인층의 문맹퇴지안 = 286 2. 의무교육제도 실시안 = 290 Ⅳ 결론 = 293 찾아보기 =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