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첫째 강의·정도 자질과 우리말의 음운 현상
1. 머리말 = 11
2. 기저 음소 설정의 원칙 = 12
3. 갈이소리 /ㅅ/의 체계상의 위치 = 19
4. 경음과 반경음의 음운론 = 25
5. 우리말 음절 구성의 기본 지식 = 29
6. 보편적인 음절 구조 = 38
7. 우리말의 음절 구조 = 43
8. 기저 표상과 삭제 = 51
9. 연음과 축약 = 56
10. 자질 선택의 우선 조건과 조정 = 65
11. 열림도 6°닿소리의 위치 강도 = 67
12. 열림도 동화 = 73
13. 강도 동화 = 80
14. 의사 전달의 기능과 노력 절약 = 83
15. 구개음화, 앞모음되기와 잇몸 자질 = 90
16. 맺음말 및 비판에 대한 응답 = 99
2. 둘째 강의·혀오그림과 우리말 홀소리 어울림의 어제와 오늘
1. 머리말 = 107
2. 실제 공간과 인식 공간 = 108
3. 훈민정음해례의 홀소리체계 = 112
4. [설축]과 [ATR]/[RTR] = 121
5. 중세 국어 홀소리어울림의 상태 = 125
6. 홀소리 체계의 변천과 홀소리어울림 = 138
7. 현대 국어 상징어의 분석 = 147
8. 맺음말 = 155
3. 셋째 강의·우리말 성조 연구의 성과와 미래의 방향
1. 머리말 = 159
2. 최초의 두 관점과 높낮이 = 161
3. 구조주의적 성조관 = 175
4. 생성음운론적 성조관 = 194
5. 악센트 분석법과 자립분절음운론 = 200
6. 초분절음소론 = 218
7. 자립분절음운론의 발전과 비단선음운론 = 231
8. 음조 분석 = 265
9. 성조와 변별적 자질 = 273
10. 팽씨의 자손은 팽씨, 고씨의 자손은 고씨 = 275
11. 대립과 중화에 따른 성조론의 발전 = 280
12. 방점법 및 측성법과 표기 체계의 통일 = 285
13. 중화와 방점법 및 측성법 = 291
14. 음조 표상과 그 실현 규칙 = 296
15. 1음절어의 음조 = 300
16. 성조와 음조의 표기법 = 305
17. 월 속에서 성조와 음조 = 307
18. 비성조 방언과 준성조 방언의 방점 활용 = 310
19. 맺음말 = 313
4. 넷째 강의·훈민정음의 성조와 방언 운소의 변천 방향
1. 머리말 = 315
2. 입성 = 316
2.1. 중국말의 입성 = 316
2.2. 우리 한자음의 입성 = 326
2.3. 훈민정음의 입성 설명 = 333
3. 상성 = 338
3.1. 음조적인 특징의 재구 = 338
3.2. 상성의 본질 = 340
3.3. 방언의 상성 = 344
4. 성조 체계와 성조 이론 = 350
4.1. 성조 체계와 성조형 = 350
4.2. 최종 성조형의 구조 = 353
4.3. 성조형과 음조형의 구조 = 356
5. 성조 체계의 변천 = 361
5.1. 중세 국어에서 무점화의 경향 = 361
5.2. 삼단 체계에서 이단 체계로 = 363
5.3. 삼성조 체계에서 이성조 체계로 = 364
5.4. 성조형의 평성형화 = 367
5.5. 음조형의 단순화 = 375
5.6. 성조형과 음조형의 혼란과 개편 = 377
5.7. 음조형의 재편성과 운소의 비김 = 412
6. 맺음말 = 416
5. 다섯째 강의·육진 방언과 창원 방언 성조의 비교
1. 머리말 = 419
2. 육진 방언과 그 자료 = 420
3. 방점법의 장점 = 423
4. 성조 및 성조형의 대응 관계 = 426
5. 음조형 실현 규칙 = 430
6. 장모음의 성조 표상 = 434
7. 표면적인 음조의 중화와 최종 성조형의 재구 = 436
8. 이름씨와 대이름씨 성조의 대응 관계 = 439
9. 풀이씨 성조의 대응 관계 = 466
10. 파생어 성조의 대응 관계 = 492
11. 한자어 성조의 대응 관계 = 496
12. 맺음말 = 503
6. 여섯째 강의·우리말 풀이씨의 음운론
1. 머리말 = 509
2. 홀소리 체계 = 511
3. 음절의 길이 = 513
4. 삭제의 영향 = 516
5. 당기기 = 521
6. 소리의 무게 및 부피와 길이 = 535
7. 풀이씨 줄기의 특징과 분류표 = 582
8. 풀이씨 줄기의 특징과 분류표 = 582
9. 닫힘소리와 삭제 = 586
10. 열림도 동화와 강도 동화 = 592
11. 앞터짐소리되기와 공기길 일치 = 595
12. 맺음말 = 598
참고문헌 =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