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언어습득이론 / 정동빈(중앙대)
Ⅰ. 머리말 = 17
Ⅱ. 입력 가설 모형 = 17
1. 입력 가설 모형의 5가지 가설 = 17
2. 제2언어 습득 모형 = 26
Ⅲ. 원리와 매개 변항 구문 습득 이론 = 29
1. 원리와 매개 변항 이론 습득 과정 = 29
2. 굴절구와 PRO탈락 매개 변항 습득 = 31
3. 결속 이론 습득 = 33
4. 핵의 변이 습득 = 33
Ⅳ. 보편 문법과 제2언어 습득 = 35
1. 제2언어 습득과 플라톤의 문제 = 36
2. 논항에 의한 언어 습득 = 37
3. 제2언어 습득에 있어 보편문법(UG)의 적용 = 38
Ⅴ. 학습과 의사소통 전략 = 39
1. 학습 전략에 의한 언어 터득 = 40
2. 의사소통 전략에 의한 언어 터득 = 42
3. 전략에 있어서의 방법론적 문제 = 47
Ⅵ. 인지론적 언어 습득 = 51
1. Anderson의 ACT(Adaptive Control of Thought) 모형과 정보 처리 = 51
2. Ausubel의 인지 모형 = 54
3. Gagne의 언어 학습 유형 = 55
Ⅶ. 다차원적 언어 습득 모형 = 55
1. 습득 순서 = 56
2. 다차원 이론의 확장 = 58
Ⅷ. 맺음말 = 60
제2장 말하기 지도 / 민찬규(한국교원대)
Ⅰ. 머리말 = 67
Ⅱ. 이론적 배경 = 68
1. 언어 이론과 말하기 지도 = 68
2. 의사소통 능력과 말하기 지도 = 70
3. 초등 학교 영어 교육과 말하기 기능 지도 = 76
Ⅲ. 말하기 지도 절차 = 78
1. 발음 지도 = 78
2. 구문 지도 = 80
3. 의사소통 활동 지도 = 81
Ⅳ. 말하기 지도의 실제 = 82
1. 발음 지도 = 82
2. 구문 구성 지도 = 84
3. 의사소통 활동 지도 = 88
Ⅴ. 맺음말 = 94
제3장 영어 발음 지도 / 김영희(숙명여대)
Ⅰ. 머리말 = 97
Ⅱ. 자음 지도 = 97
1. 조음장소 = 98
2. 조음방법 = 98
3. 성대의 상태 = 99
Ⅲ. 모음지도 = 112
Ⅳ. 음운 변화와 지도 = 121
Ⅴ. 맺음말 = 125
제4장 컴퓨터를 활용한 쓰기 지도 / 김지영(중앙대)
Ⅰ. 머리말 = 129
Ⅱ. 쓰기 지도 = 130
1. 작문교육이론의 발달 = 130
2. 컴퓨터를 이용한 언어학습(CALL)의 개요 = 133
3. 영작문 교실에서의 컴퓨터 사용 = 135
4. 가상 영작문 교실 = 145
Ⅲ. 맺음말 = 151
제5장 문장 구조 발달 지도 / 진경애(한국교육과정평가원)
Ⅰ. 머리말 = 157
1. 문장 구조 지도의 중요성 = 157
2. 문장 구조 지도의 접근 방법 = 158
Ⅱ. 문장 구조 지도 내용 = 159
1. 문장 구조 습득 단계 = 159
2. 문장 구조 지도 내용 = 161
Ⅲ. 문장 구조 발달 지도법 = 162
1. 문장 구조 제시 단계 = 162
2. 문장 구조 지도법 = 163
Ⅳ. 맺음말 = 173
제6장 의미발달지도 / 김신좌(울산대)
Ⅰ. 머리말 = 177
Ⅱ. 맥락중심의 통합적 의미교육 = 178
1. 언어적 맥락 = 179
2. 비언어적 맥락 = 183
Ⅲ. 일반 교과과정과의 적절한 조화를 통한 다각도 접근 = 184
1. 미술교육 = 184
2. 일상적 개념의 생활화 교육 = 187
3. 보여주고 말하기 기법의 이용 = 188
Ⅳ. 학습자로서의 어린이 = 189
1. 구체적인 것에 중점을 둔다. = 189
2. 비언어적, 경험적 자극을 충분히 활용한다. = 190
Ⅴ. 의미발달을 위한 교사의 언어 및 교사의 태도 = 193
1. 교사의 언어 = 193
2. 교사의 태도 = 194
Ⅵ. 맺음말 = 195
제7장 화용발달 지도 / 김영숙(총신대)
Ⅰ. 머리말 = 199
Ⅱ. 화용능력과 제2언어학습 = 200
1. 화용론과 화용능력 = 200
2. 화행이론 = 202
3. 화용능력의 발달 = 205
4. 화행의 실례 = 208
5. 화행에 관한 선행연구 = 213
Ⅲ. 화행지도방안 = 214
1. 화행지도의 목표 = 214
2. 화용지도의 학습내용 = 215
3. 화행지도의 방법 = 218
4. 화용지도의 실제 = 218
Ⅳ. 맺음말 = 229
제8장 문화 게임 지도 / 임희정(숙명여대)
Ⅰ. 머리말 = 235
Ⅱ. 언어와 문화 = 235
Ⅲ. 문화의 개념 = 236
Ⅳ. 초등학교 영어 교육에 있어 문화 교육의 중요성 = 238
1. 초등학교 연령기 특색 = 239
2. 외국어 교습법의 양상 변화 = 239
3. 실제 상황에 대비한 문화 수업 = 240
Ⅴ. 문화 지도 프로그램 개발 = 240
1. 초등학교 연령기 인지 발달 특성 = 241
2. 문화 지도 프로그램을 위한 학습 목표 세우기 = 243
3. 문화 지도 프로그램 = 245
Ⅴ. 문화 지도를 위한 게임 = 250
1. 게임 지시어 = 251
2. 게임 = 253
Ⅵ. 맺음말 = 254
제9장 학습 보조 자료를 활용한 영어지도 / 김혜련(인천교대)
Ⅰ. 머리말 = 259
Ⅱ. OHP를 활용한 영어지도 = 259
1. OHP의 특징 = 260
2. OHP를 활용한 영어지도의 실례 = 260
Ⅲ. 그림을 이용한 영어지도 = 267
1. 그림의 이용가치와 선정기준 = 267
2. 그림을 이용한 영어지도의 실례 = 268
Ⅲ. 만들기 활동을 통한 영어지도 = 278
1. 만들기 활동을 통한 영어지도에 있어 기본 원칙 = 278
2. 만들기 활동을 통한 영어지도의 실례 = 279
Ⅳ. 맺음말 = 282
제10장 재미있는 영미 문화 이야기 지도 / 채유순(한서대)
Ⅰ. 머리말 = 285
1. 고대영어사회 = 286
2. 중세영어사회 = 287
3. 현대영어의 형성과 사회 = 288
4. 미국과 미국인 = 289
5. 미국인의 꿈 = 290
Ⅱ. 영미 문화의 이해 = 291
1. 문화의 본질적 차이 = 291
2. 언어상의 차이 = 291
3. 문화적 차이의 언어사용 극복 방법 = 293
4. 생활 문화의 차이점 비교 = 294
Ⅱ. 조기영어교육을 위한 재미있는 영미 문화 이야기 = 301
Ⅲ. 영미문화의 의사소통 몸짓 = 334
Ⅳ. 맺음말 = 353
제11장 노래와 활동을 통한 영어지도 / 정동빈 ; 계영아(중앙대)
Ⅰ. 머리말 = 355
Ⅱ. 영어 노래를 통한 율동 지도의 실제 = 357
Ⅲ. 맺음말 = 421
제12장 연극을 통한 특별활동 영어 / 김영숙(이화여대)
Ⅰ. 머리말 = 423
Ⅱ. 연극을 통한 특별활동 영어반 지도 = 424
1. 특별활동과 전인교육 = 424
2. 의사소통능력과 연극 활동 = 426
Ⅲ. 특별활동 영어반 연극 지도의 실제 = 430
1. 연극 대본의 선정 = 430
2. 지도의 실제 = 432
Ⅳ. 맺음말 = 441
제13장 다양한 어린이 교수방법 ; Whole Language Approach를 중심으로 / 이화자(순천대)
Ⅰ. 머리말 = 447
Ⅱ. Whole language 교수 원리 = 448
1. 교과 과정은 학습자 중심이어야 한다. = 449
2. 언어는 전체에서 부분으로 학습되어진다. = 449
3. 언어의 네 기능은 순서에 따라 제시되지 않고 통합하여 사용하도록 이끈다. = 450
4. 학습은 유의적이고 기능적이어야 한다. = 450
Ⅲ. Whole language 교실의 특징 = 451
Ⅳ. Whole language 교수 학습 활동의 실제 = 452
1. 친숙해지기 학습 활동 = 452
2. 집단 협동 학습 = 454
3. 문화 이해 = 457
4. 읽기와 쓰기 = 459
5. 일반 교과 중심 교수법 = 467
Ⅴ. 맺음말 = 473
제14장 영어 교육 과정의 새 방향 / 정동빈(중앙대)
Ⅰ. 머리말 = 477
Ⅱ. 외국어 교육의 약사와 교육 과정의 변천 = 478
1. 한국의 외국어 교육사 = 478
2. 한국의 교육 과정의 변천 = 479
Ⅲ. 영어과 교육 과정 구성의 기저 = 480
1. 교육 과정 구성의 기본 고려 사항 = 480
2. 심화 및 보충 학습 과정으로 초등 영어 교육의 추진 기저 = 480
3. 조기 영어 교육 모형 = 482
Ⅳ. 교육의 질 향상을 고려한 제7차 영어 교육 과정 = 483
1. 개정의 중점과 원칙 = 483
2. 영어 교육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의 = 484
3. 의사소통 교수 방법을 전제로 한 영어과 새 교육 과정 = 485
4. 제7차 영어 교육 과정의 심화 및 보충 학습을 지향하는 초등 영어 교육 방향 = 487
Ⅴ. 제7차 영어과 교육 과정 개요 = 490
1. 성격 = 490
2. 목표 = 491
3. 내용 = 491
4. 의사소통 기능과 예시문 = 491
5. 의사소통에 필요한 언어 형식 = 495
Ⅵ. 제7차 교육 과정에서 추구하는 효율적인 교수 방법 = 499
1.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과정 학습 방법 = 500
2. 단계형 수준별 교육 과정 = 501
3. 선택 교과 교육 과정 = 502
Ⅶ. 영어 평가 = 505
1. 언어 평가의 기저 = 505
2. 교육 과정별 평가 = 506
Ⅷ. 맺음말 = 510
제15장 최근 열린 영어 학습 방법 / 정동빈(중앙대)
Ⅰ. 머리말 = 527
Ⅱ. 열린 영어 학습법 = 529
1. 열린 영어 학습의 목표 = 529
2. 열린 영어 학습 형태 소개 = 529
3. 시청각 자료의 활용을 통한 열린 영어 학습 = 533
4. 열린 영어 학습에서의 컴퓨터의 역할 = 535
5. 열린 영어 학습의 방향 = 550
6. 열린 영어 학습의 지도상 유의점 = 553
7. 영어과 열린 학습 지도 단계별 유의점 = 554
8. 열린 영어 학습 평가 = 556
Ⅲ. 맺음말 = 557
제16장 영어 문자 지도 / 정동빈(중앙대)
Ⅰ. 머리말 = 575
Ⅱ. 문자 지도의 이론적 기저 = 576
1. 외국의 영어 문자 지도 동향 = 576
2. 읽기 지도 과정 모형 = 580
3. 쓰기 지도 = 585
Ⅲ. 제6차 교육 과정의 문자 지도 방향 = 588
1. 제6차 교육 과정의 문자 지도 = 588
2. 제7차 교육 과정의 문자 지도 방향 = 594
Ⅳ. 초등 영어 교육 과정의 문자 지도 방법 = 596
1. 제6차 교육 과정 지도 방법 = 596
2. 제7차 교육 과정에서 추구하는 효율적인 교수 방법 = 607
3.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과정 학습 방법 = 608
Ⅴ. 교육 과정의 문자 학습 평가 = 610
1. 언어 평가의 기저 = 611
2. 교육 과정의 문자 언어 학습의 성취 기준 = 612
Ⅵ. 맺음말 = 619
제17장 초등 영어 평가 방법 / 정동빈(중앙대)
Ⅰ. 머리말 = 627
Ⅱ. 영어 평가 방법의 실제와 평가 도구 개발 = 628
1. 영어 교육 과정의 평가 방법 = 628
2. 영어과 수행 평가의 기저 = 628
5. 평가와 측정 방법 = 641
6. 평가 도구 개발 = 645
7. 평가의 수행 과정 = 648
8. 수행 평가 결과 처리 및 활용 = 649
Ⅲ. 맺음말 = 650
제18장 과제수행 영어 교수 - 학습 / 현태덕(안동대)
Ⅰ. 머리말 = 655
Ⅱ. 언어학습을 위하여 활용하는 과제 = 656
1. 유창성과 정확성 = 656
2. 과제 = 658
3. 과제의 요소 = 659
4. 과제의 유형 = 660
Ⅲ. 과제수행 교수 - 학습의 모형 = 663
1. 과제수행 교수 - 학습 이론 = 663
2. 과제수행 교수 - 학습의 모형 = 665
3. 과제 중심 교수 요목의 특징 = 667
Ⅳ. 과제의 실례 = 669
1. 정보 전달 놀이 = 669
2. 맞추기 놀이 = 671
3. 놀이판 놀이 = 671
4. 카드를 이용한 놀이 = 671
Ⅴ. 맺음말 = 683
제19장 컴퓨터를 이용한 조기 영어 교육 / 이소영(한국교육과정평가원)
Ⅰ. 머리말 = 687
Ⅱ. 컴퓨터의 활용과 조기영어 교육 = 688
1. 하드웨어로서의 컴퓨터 = 688
2. 소프트웨어로서의 컴퓨터 = 689
Ⅲ. 네트워크 = 699
Ⅳ. 맺음말 = 702
제20장 멀티미디어 초등영어 교수의 이론과 실제 / 김인석(동덕여대)
Ⅰ. 머리말 = 705
Ⅱ. 컴퓨터 보조언어학습의 발전 과정 = 706
Ⅲ. 컴퓨터를 통한 언어 습득 이론적 배경 = 709
Ⅳ. 컴퓨터 언어학습의 심리 = 711
Ⅴ. 컴퓨터 영어학습 프로그램 소개 = 715
Ⅵ. 컴퓨터 영어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한 교수법 = 727
Ⅶ. 맺음말 = 734
맺음말 = 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