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사회교육방법의 탐구 : 성인교육방법의 새로운 지평

사회교육방법의 탐구 : 성인교육방법의 새로운 지평 (Loan 5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차갑부
Title Statement
사회교육방법의 탐구 : 성인교육방법의 새로운 지평 / 차갑부 著.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양서원 ,   1999.  
Physical Medium
413 p. : 삽도 ; 26 cm.
ISBN
8970079599
General Note
색인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387-404
000 00646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653772
005 20100806102425
007 ta
008 991214s1999 ulka 001a kor
020 ▼a 8970079599 ▼g 93370 : ▼c \1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139803 ▼l 111139804 ▼l 111139805
082 0 4 ▼a 374.13 ▼2 21
090 ▼a 374.13 ▼b 1999
100 1 ▼a 차갑부 ▼0 AUTH(211009)100304
245 1 0 ▼a 사회교육방법의 탐구 : ▼b 성인교육방법의 새로운 지평 / ▼d 차갑부 著.
260 ▼a 서울 : ▼b 양서원 , ▼c 1999.
300 ▼a 413 p. : ▼b 삽도 ; ▼c 26 cm.
500 ▼a 색인수록
504 ▼a 참고문헌 : p.387-404
950 0 ▼b \13000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13 1999 Accession No. 1111398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13 1999 Accession No. 1111398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374.13 1999 Accession No. 1111398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4.13 1999 Accession No. 1511201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13 1999 Accession No. 1111398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13 1999 Accession No. 1111398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374.13 1999 Accession No. 1111398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4.13 1999 Accession No. 1511201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차갑부(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명지전문대학교 청소년교육복지과 명예교수이며, 평생교육, 교수법 및 부모교육 전문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 저서 및 역서 학교교육과 사회(역), 한서출판사, 1985. 평생교육론(역), 교육과학사, 1990. 교육과 선발(역), 양서원, 1992. 신교육학개론(저), 형설출판사, 1992. 성인교육방법론(저), 양서원, 1993. 열린사회의 평생교육(저), 양서원, 1997. 사회교육방법의 탐구(저), 양서원, 1999. 성인교육사회학(저), 양서원, 2002. 평생교육의 이해(저), 학지사, 2004. 텔리아고지(저), 교육과학사, 2009.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명강의를 위한 40가지 이야기(저), 교육과학사, 2010. 평생교육론(저), 교육과학사, 2012. 예화로 푸는 공감교수법(저), 교육과학사, 2013. 평생학습자본의 인문학적 통찰(저), 교육과학사, 2015. (201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平生斅學(저), 교육과학사, 2017.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저), 교육과학사, 2018. 학습력사회의 평생교육(저), 교육과학사, 2020.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앤드라고지와 성인교육 = 11

 1. 아동·청소년교육과 성인교육 = 11

  1) 평생교육에 있어서 아동과 성인 = 11

  2) 성인교육의 특성 = 13

 2. 성인교육론으로서 앤드라고지 = 17

  1) 앤드라고지의 기원 = 17

  2) 앤드라고지적 주기 = 20

  3) 앤드라고지와 의식화 = 23

 3. 페다고지와 앤드라고지의 관계 논쟁 = 25

  1) 이분법론 = 26

  2) 연속체론 = 33

  3) 직교론 = 35

제2장 자기주도학습 = 39

 1. 자기주도학습의 기본 개념 = 39

  1) 기본 개념 = 39

  2) 필요성 및 의의 = 42

 2. 자기주도학습의 속성 = 44

  1) 학습과정으로서 자기주도학습 = 44

  2) 개인적 속성으로서 자기주도성 = 49

  3) 통합론적 연구 = 53

 3. 학습자원 및 교사의 역할 = 62

  1) 학습자원 = 62

  2) 교사의 역할 = 64

제3장 학습이론 및 성인교육방법 원리 = 67

 1. 학습이론과 성인교육에의 적용 = 67

  1) 학습이론 = 67

  2) 성인학습 상황에의 적용 = 77

 2. 성인학습 및 방법의 원리 = 79

  1) 주요 학자들의 관점 = 79

  2) 성인교육방법의 원리 = 88

제4장 성인의 교육참여 및 모형 = 91

 1. 성인교육에의 참여 = 91

  1) 참여동기 = 92

  2) 참여 장애요인 = 99

 2. 성인교육 참여모형 = 101

  1) 참여모형 = 101

  2) 요약 = 113

제5장 성인교육자 = 117

 1. 성인교육자의 지도력과 자질 = 117

  1) 성인교육자의 지도력 = 117

  2) 성인교육자의 역할 및 자질 = 125

 2. 성인교육자로서 자원봉사자 = 135

  1) 자원봉사자의 의의 = 135

  2) 성인교육자로서 자원봉사자 = 137

제6장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 141

 1. 프로그램의 개념 및 영역 = 141

  1) 프로그램(개발)의 개념 및 의의 = 141

  2)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 144

 2. 프로그램의 유형 및 제 개념 = 152

  1) 프로그램 유형 = 152

  2)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제 개념 = 156

 3. 프로그램 개발 단계 = 162

  1) 개발프로그램 = 162

  2) 기관프로그램 = 166

  3) 정보프로그램 = 168

제7장 프로그래머의 철학적 신념·역할 및 고객 참여 = 171

 1. 프로그래머의 철학적 관심 = 171

  1) 프로그래머의 교육관 = 171

  2)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대한 신념 = 173

 2. 프로그래머의 역할 = 175

  1) 프로그래머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76

  2) 프로그래머의 역할에 대한 견해 = 178

 3.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의 고객 참여 = 182

  1) 고객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83

  2) 참여방법 = 189

제8장 교육욕구 분석 = 193

 1. 조사연구 = 194

  1) 전략 점검 및 선정 = 194

  2) 평가를 위한 준비 = 197

  3) 평가 실시 = 201

  4) 결과 활용 = 204

 2. 델파이 기법 = 204

  1) 전략 점검 = 205

  2) 평가를 위한 준비 = 206

  3) 평가 실시 = 207

  4) 결과 활용 = 209

 3. 면접법 = 209

  1) 전략 점검 = 210

  2) 평가를 위한 준비 = 213

  3) 평가 실시 = 214

  4) 결과 활용 = 217

 4. 명목집단 기법 = 218

  1) 전략 점검 = 219

  2) 평가를 위한 준비 = 220

  3) 평가 실시 = 221

  4) 결과 활용 = 224

제9장 수업설계 = 225

 1. 학습자 분석 = 225

  1) 생물학적 특성 = 226

  2) 교육적 배경 = 227

  3) 인지유형 = 230

  4) 정의적·인성적 특성 = 233

  5) 지각 및 운동적 특성 = 238

 2. 수업목표 = 238

  1) 수업목표 설정 = 238

  2) 수업목표 분류 = 242

 3. 수업지도안 = 247

  1) 필요성 = 247

  2) 주요 내용 = 248

제10장 교수기법 = 253

 1. 교수기법 = 253

  1) 강의법 = 254

  2) 질의법 = 256

  3) 시범 = 257

  4) 프로그램학습 = 258

  5) 역할극 = 263

  6) 감수성 훈련 = 266

  7) 토의법(1) : 지도회의 = 270

  8) 토의법(2) : 문제해결회의 = 273

  9) 토의법(3) : 자유토론 = 275

  10) 토의법(4) : 버즈그룹 = 277

  11) 토의법(5) : 브레인스토밍 = 279

 2. 집단적 교수기법 선정시 고려사항 = 281

  1) 학습영역 및 수준 = 282

  2) 집단규모 = 283

  3) 학습목표 = 283

  4) 수업의 속성 = 285

제11장 수업자료 및 시설 = 289

 1. 수업자료 선정 = 289

  1) 수업자료 유형 = 290

  2) 수업기법과 수업자료의 연계 = 298

 2. 성인을 위한 학습장소 및 시설 = 303

  1) 학습장소 = 303

  2) 성인교육을 위한 교실의 환경개선 = 308

  3) 회합장소의 점검 = 310

제12장 프로그램 평가 = 321

 1. 교육 프로그램 평가 개요 = 322

  1) 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 = 322

  2)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및 활용 = 324

 2. 평가수준 : 기본모형 = 328

  1) Kirkpatrick 접근 = 328

  2) CIRO 접근 = 329

  3) IBM 접근 = 331

  4) 제록스 접근 = 331

  5) CIPP 모형 = 332

  6) Caffarella의 평가수준 모형 = 333

  7) Cranton의 수업평가 모형 = 335

 3.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계획 = 336

  1) 평가과정 설계 = 336

  2) 평가자료 수집 = 339

  3) 자료의 분석 및 해석 = 346

  4) 프로그램의 실패요인 검토 = 348

  5)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의견교환 = 350

부록 :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 353

 Ⅰ. 청소년 환경·과학교육 캠프 : "푸른 자연, 푸른 꿈, 우리의 미래" = 355

 Ⅱ. 건전한 직장문화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 = 373

 Ⅲ. 퇴직 전 교육 프로그램 = 378

참고문헌 = 387

찾아보기 = 40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미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