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멀티미디어 PC와 테크놀로지
프롤로그(Prologue)∼멀티미디어 PC를 지지하고 있는 기술
1. PC상에서의 동화재생 = 1-6
2. 멀티미디어 대응 외부 인터페이스 = 1-8
3. 대용량 기억 미디어 = 1-8
제1장 PCI 버스에 의한 동화상 전송방식의 개요
1.1 동화표시 방법의 여러 가지 = 1-12
1.1.1 멀티미디어와 동화 = 1-12
1.1.2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TG 튜너 등을 탑재 = 1-12
1.1.3 오버레이 표시 = 1-14
1.2 비디오 CD 재생 시스템 = 1-16
1.2.1 비디오 CD의 보급 = 1-16
1.2.2 PC로 비디오 CD를 보기에는 = 1-16
1.3 퓨쳐 커넥터의 문제점과 PCI 버스의 새로운 방식 = 1-18
1.3.1 퓨쳐 커넥터에 의한 오버레이의 문제점 = 1-18
1.3.2 PCI 버스에 의한 새로운 방식의 탄생 = 1-20
1.3.3 동작개요 = 1-20
1.3.4 PCI 버스의 동작 = 1-21
1.3.5 그래픽 컨트롤러에 요구되는 스펙 = 1-24
1.3.6 실제로 가능한 경우의 시스템 부하 = 1-25
1.3.7 시스템 구성 예 = 1-25
1.4 PC에 대한 비디오 보드의 전망 = 1-27
1.4.1 ZV포트 = 1-26
1.4.2 PCI 새로운 방식은 Macintosh에서도 사용 가능 = 1-27
1.4.3 MPEC 재생 환경 = 1-28
1.4.4 DVD를 PC로 = 1-28
1.4.5 그래픽 컨트롤러 = 1-29
PCI 버스의 개요
1. PCI 버스의 특징 = 1-31
2. 신호선의 개요 = 1-33
3. PCI 버스의 동작 개요 = 1-35
ZV포트의 개요
1. 노트북 PC의 멀티미디어화에 대한 과제 = 1-37
2. ZV포트란 = 1-38
제2장 IEEE1394 하이 퍼포먼스 시리얼 버스의 개요
2.1 IEEE1394의 개요 = 1-42
2.1.1 고속성, 리얼타임성, 범용성 그리고 소형화 = 1-42
2.1.2 하이 퍼포먼스 시리얼 버스의 등장 = 1-42
2.2 1394 규격의 특징 = 1-43
2.2.1 고속전송과 다른 고속통신 속도의 공유성 = 1-43
2.2.2 접속 케이블과 커넥터 = 1-43
2.2.3 자유도 높은 접속방식(토폴로지) = 1-44
2.2.4 1394의 어드레싱 = 1-46
2.3 1394 인터페이스 아키텍쳐 = 1-46
2.3.1 시스템 전체의 구성요소 = 1-46
2.4 1394 버스 이니셔라이즈와 노드 관리 = 1-48
2.4.1 노드 번호의 관리 = 1-48
2.4.2 버스 리세트의 시퀸스 = 1-48
2.4.3 1394의 노드 형태 = 1-50
2.5 1394 전송 프로토콜의 개요 = 1-41
2.5.1 서브액션과 파트 = 1-51
2.6 어싱크로너스 서브액션 = 1-52
2.6.1 비동기전송의 모드 = 1-52
2.6.2 패킷 단위로 데이터 전송 = 1-53
2.7 아이소크로너스 서브액션(Isochronous Subaction) = 1-53
2.7.1 리얼타임 데이터 전송 모드 = 1-53
2.7.2 아이소크로너스 전송 사이클 = 1-54
2.7.3 1394 전송포맷 = 1-55
2.7.4 아이소크로너스 전송에서의 사용 포맷의 예 = 1-55
2.8 1394를 실현하는 칩 세트 = 1-57
2.8.1 1394 칩 세트 = 1-58
2.8.2 피지컬 레이어 칩 TSB11C01DL = 1-58
2.8.3 링크 레이어 칩 TSB12C01A = 1-60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와 DV단자
1. 가정용 디지털 비디오의 규격개요 = 1-67
2. DV단자의 개요 = 1-70
3. DV 케이블 구조 = 1-72
PCI 버스의 개요
1. IEEE1394 관련 정보를 WWW에서 살펴보자 = 1-75
제3장 CD-ROM의 포맷 심층해석
3.1 각종 CD의 분류 = 1-80
3.1.1 CD-DA = 1-81
3.1.2 CD-ROM = 1-82
3.1.3 CD-i와 CD-ROM XA = 1-83
3.2 CD-DA와 CD-ROM의 구조를 함께 갖춘 CD = 1-84
3.2.1 보통 싱글 세션 = 1-84
3.2.2 멀티세션의 PhotoCD = 1-85
3.2.3 이외의 CD = 1-86
3.3 CD의 물리 포맷 개요∼CD의 구조와 기록원리∼ = 1-87
3.3.1 디스크의 물리구조 = 1-87
3.3.2 CD-DA의 구조 = 1-89
3.3.3 에러 정정과 제어 = 1-90
3.3.4 CD-ROM의 구조 = 1-91
3.4 CD-ROM 포맷의 논리구조∼ISO 9660 CD-ROM∼ = 1-94
3.4.1 CD-ROM 상에 ISO 9660 = 1-94
3.4.2 패스 테이블 = 1-96
3.4.3 ISO 9660의 호환성 = 1-98
3.5 ISO 9660의 배리먼트의 구조 = 1-99
3.5.1 RockRidge 포맷 = 1-99
3.5.2 Apple ISO = 1-100
3.5.3 멀티세션 ISO 9660 = 1-101
3.5.4 하이브리드 디스크 = 1-101
DVD의 개요
1. DVD 규격의 개요 = 1-103
2. DVD 비디오 사양 = 1-104
3. 라이트원스형, 바꿔쓰는 형 = 1-106
4. 컴퓨터와 파일 호환성 = 1-108
5. CD와 같은 8cm의 싱글 DVD도 = 1-108
6. 고쳐쓰는 형은 카트리치로 = 1-108
제2부 최신PC용 시리얼 버스 규격
제1장 최신 PC 주변기기용 버스 규격
1. 주변 인터페이스의 한계 = 2-3
2. 플러그&플레이 = 2-5
1.1 앞으로 주변 버스 인터페이스 = 2-5
1.1.1 SCSI-3 = 2-7
1.1.2 파라렐 버스의 사양 = 2-7
1.1.3 시리얼 버스의 사양 = 2-8
1.2 컴퓨터상의 실례 = 2-10
1.2.1 USB와 IEEE1394 = 2-10
1.2.2 SSA와 FC = 2-12
1.2.3 컴퓨터 주변장치의 앞날 = 2-17
제2장 PC 주변기기용 버스 규격군 총람
2.1 IEEE1394-1995(Fire Wire) = 2-20
2.1.1 용도 = 2-20
2.1.2 토폴로지 = 2-21
2.1.3 인터페이스의 정의 = 2-21
2.1.4 전송속도와 부호화 방식 = 2-22
2.1.5 버스 인터페이스와 노드 관리 = 2-23
2.1.6 전송 프로토콜 = 2-25
2.1.7 IEEE1394의 전망 = 2-26
2.2 USB(Universal Serial Bus) = 2-27
2.2.1 USB의 기본접속 = 2-27
2.2.2 전송속도 = 2-28
2.2.3 케이블의 구조 = 2-29
2.2.4 커넥터 종류 = 2-29
2.2.5 토폴로지 = 2-30
2.2.6 전송형태 = 2-30
2.2.7 디바이스로의 전원공급 = 2-31
2.2.8 USB 허브의 기능 = 2-31
2.3 SSA(Serial Storage Architecture) = 2-32
2.3.1 용도 = 2-33
2.3.2 SSA의 구성 = 2-34
2.3.3 커넥터 및 케이블 사양 = 2-34
2.3.4 링크 토롤로지 = 2-34
2.3.5 프레임 구성 = 2-36
2.3.6 스페셜 리유스(Spatial Reuse) = 2-37
2.3.7 SAT 알고리즘 = 2-37
2.3.8 신뢰성 = 2-38
2.3.9 SSA-SCSI = 2-38
2.3.10 SCSI와의 비교 = 2-39
2.3.11 SSA의 전도 = 2-39
2.4 Fibre Channel = 2-39
2.4.1 용도 = 2-40
2.4.2 접속 토폴로지 = 2-41
2.4.3 Fibre Channel의 특성 = 2-42
2.4.4 프레임의 구조 = 2-44
2.4.5 서비스 클래스 = 2-44
2.4.6 Fibre Channel의 전망 = 2-45
2.5 Ultra SCSI = 2-46
2.5.1 용도 = 2-46
2.5.2 접속대수와 케이블 길이 = 2-48
2.5.3 케이블의 인피던스 = 2-48
2.5.4 동기 니고시에이션 = 2-49
2.5.5 Fast SCSI와 Ultra SCSI의 SDTR = 2-50
2.5.6 Ultra SCSI의 전망 = 2-50
2.6 Ultra2 SCSI = 2-501
2.6.1 LVD = 2-51
2.6.2 밴드 폭 = 2-52
2.6.3 Ultra3, UltraX SCSI = 2-52
제3장 기대되는 PC용 범용 버스 USB의 개요
3.1 USB의 등장 = 2-54
3.1.1 USB에 의해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 2-55
3.1.2 USB에서 확장된 주변기기의 종류 = 2-56
3.2 USB의 토폴로지와 물리적인 사양 = 2-58
3.2.1 USB의 토폴로지 = 2-58
3.2.2 USB 케이블의 구성 = 2-59
3.2.3 2종류의 USB 커넥터 = 2-60
3.2.4 USB의 아이콘 = 2-61
3.3 USB의 전기적 특성 = 2-61
3.3.1 DC 특징 = 2-61
3.3.2 USB 신호의 AC 전기특성 = 2-61
3.3.3 디바이스의 전송 스피드 검출 = 2-63
3.4 USB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 2-63
3.4.1 프레임에 의한 시간분할 = 2-63
3.4.2 아이소크로너스 전송 = 2-67
3.4.3 인터럽트 전송 = 2-70
3.4.4 컨트롤 전송 = 2-71
3.4.5 벌크 전송 = 2-71
3.5 USB 패킷의 종류 = 2-72
3.5.1 SOF(Start Of Frame) 패킷 = 2-72
3.5.2 토큰 패킷 = 2-73
3.5.3 핸드쉐이크 패킷 = 2-74
3.6 USB의 데이터 통신방식 = 2-76
3.6.1 데이터의 코드화와 비트 스터핑 = 2-76
3.6.2 통신 데이터의 동기화 = 2-77
3.6.3 USB 디바이스의 전원제어 = 2-78
3.7 USB의 활용이 기대되는 애플리케이션 예 = 2-80
3.7.1 USB 대응 펑션의 하드웨어 구성 예 = 2-80
제4장 USB 합성 코어(CORE)에 의한 USB 시스템 개발과 실례
4.1 USB 디바이스 칩의 개발 플로우 = 2-86
4.2 USB 디바이스 컨트롤 합성 코어 = 2-88
4.3 USB 시뮬레이션 모델 = 2-88
4.3.1 USB 호스트 시뮬레이션 모델 = 2-89
4.3.2 USB 디바이스 시뮬레이션 모델 = 2-89
4.3.3 USB 모니터 시뮬레이션 모델 = 2-90
4.4 USB 디바이스 코어를 쓴 ASIC 개발 = 2-90
4.4.1 실험회로 = 2-91
4.4.2 래피드 스크립트 = 2-92
4.4.3 RTL 시뮬레이션 = 2-93
4.4.4 논리합성 = 2-97
4.4.5 게이트 모델 시뮬레이션 = 2-100
USB 개발 톨 - USB 프로토콜/버스 아날라이저
1. USB 디텍티브 = 2-103
2. USB 디텍티브의 기능 = 2-104
3. 검색·발견 기능 = 2-105
4. 데이터 내용의 표시 = 2-108
제5장 IEEE1394(Fire Wire)의 리얼타임 전송모드와 멀티미디어 대응 프로토콜
5.1 IEEE1394-1995의 기대 = 2-112
5.2 어드레싱과 버스 관리 = 2-114
5.2.1 IEEE1394의 어드레싱 = 2-114
5.2.2 노드의 접속구성 = 2-115
5.2.3 노드 관리를 위한 제어정보 = 2-116
5.3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 2-122
5.3.1 트랜잭션 층 = 2-124
5.3.2 링크층 = 2-125
5.3.3 패킷 형식 = 2-127
5.4 아이소크로너스 전송을 이용한 AV 프로토콜 = 2-130
5.4.1 플러그 = 2-133
5.4.2 FCP = 2-135
5.5 앞으로의 전망 = 2-136
5.5.1 광역 네트워크와의 접속 = 2-137
제3부 멀티미디어 PC와 테크놀로지
서론 RTOS 마이컴 시스템과 리얼타임
1. 리얼타임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 3-4
2. 리얼타임 멀태태스크 시스템의 구축 = 3-8
제1장 다중처리와 리얼타임 멀티 태스크 OS
1.1 조립형 시스템에서의 처리와 멀티 프로그램 = 3-14
1.1.1 프린터의 예와 리얼타임 시스템 = 3-14
1.1.2 가로채기의 이용 = 3-16
1.1.3 다중 가로채기 = 3-19
1.1.4 리얼타임 OS를 이용하는 장점 = 3-19
1.2 소개할 예정의 RTOS 개요 = 3-22
1.2.1 구조 = 3-22
1.2.2 시스템의 생성 = 3-22
1.2.3 프로세스 = 3-23
1.2.4 스케줄링 = 3-23
1.2.5 I/O 시스템 = 3-24
1.2.6 시스템 콜 = 3-25
제2장 리얼타임 OS에서 세차기의 모델을 제어한다
2.1 타겟·시스템에 대해서 = 3-29
2.2 세차장치의 사양에 대해서 = 3-31
2.3 타겟·시스템에 대해서 = 3-35
2.3.1 싱글 태스크 VS 멀티태스크 = 3-35
2.4 요구 사양의 분석 = 3-39
2.4.1 기본설계 = 3-39
2.4.2 세차 장치를 설계한다 = 3-41
2.5 세부 설계 = 3-51
2.6 코딩 = 3-55
2.7 컴파일/구축 = 3-57
2.8 디버그 환경 = 3-59
2.9 프로그램의 보수성 = 3-63
2.10 리얼타임 OS를 사용해야 하는가? = 3-64
2.11 시판 리얼타임 OS의 우위성 = 3-65
Lasy Control에 대해서
1. Lasy Control에 대해서 = 3-81
2. 타겟에 대해서 = 3-83
리얼타임 OS 표준
1. RTOS표준 타겟이란 = 3-85
2. 목적 = 3-86
3. 시스템 구성도 = 3-90
4. 금후의 전망 = 3-91
제3장 리얼타임 OS 환경에서 개발하면 무엇이 변하는가?
3.1 재래 수법에 의한 개발 = 3-96
3.1.1 개발 이미지 = 3-96
3.1.2 모니터가 있는 경우 = 3-96
3.1.3 현장개발 엔지니어는… = 3-97
3.2 리얼타임 OS의 개발환경에서의 개발 = 3-98
3.2.1 툴, 라이브러리, 그리고 보드 서포트 패키지 = 3-98
3.2.2 호스트 측에서의 개발환경 = 3-100
3.3 무엇이 변하는가? = 3-102
리얼타임 OS에 대해서
1. 리얼타임 카넬에 관해서 = 3-105
2. 리얼타임 OS를 2개의 기능으로 나눈다 = 3-106
제4장 리얼타임 시스템의 OS와 디바이스 드라이버
4.1 리얼타임 OS = 3-110
4.1.1 OS와 디바이스 드라이버 = 3-110
4.1.2 CPU의 기본적인 동작 = 3-113
4.1.3 멀티캐스크 OS의 구성 = 3-118
4.1.4 리얼타임성 = 3-123
4.1.5 리얼타임 멀티태스크 OS = 3-128
4.2 태스크형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만드는 법(1) = 3-129
4.2.1 애플리케이션 태스크로서의 실행 = 3-129
4.2.2 가로채기가 없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 3-134
4.2.3 디바이스의 초기화 타임밍 = 3-136
4.2.4 가로채기가 있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 3-137
4.2.5 가로채기 처리의 콘택스트 = 3-139
4.3 태스크형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만드는 법(2) = 3-140
4.3.1 인과관계 타입의 가로채기 디바이스 드라이버 = 3-140
4.3.2 통신 형태에 따른 가로채기 디바이스 드라이버 = 3-141
4.3.3 상대를 지정하는 통신 = 3-143
4.3.4 디바이스와 유니트 = 3-144
4.4 무엇이 변하는가? = 3-145
4.4.1 OS내장형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구조 = 3-145
4.4.2 WindowsNT의 드라이버 = 3-147
4.4.3 WindowsNT의 드라이버 구조 = 3-148
4.4.4 NT 오브젝트와 IRP(I/ORequestPacket) = 3-149
4.4.5 NT드라이버의 작성 = 3-150
제5장 μTRON 사양 OS를 SH-1 보드에 짜넣기
5.1 서론 = 3-154
5.1.1 고속 CPU로 즐거운 설계를 = 3-154
5.1.2 RISC는 어렵지 않다 = 3-154
5.2 RISC 서론 = 3-154
5.2.1 CQ RISC 평가 키트/SH-1(CqREEK/SH-1) = 3-155
5.2.2 인스톨 = 3-156
5.2.3 exeGCC에 의한 컴파일 = 3-156
5.2.4 PARTNER-CQ에 의한 디버그 = 3-157
5.3 리얼타임 OS를 RISC보드 상에서 조립 = 3-158
5.3.1 SH7032평가 보드 = 3-158
5.3.2 μITRON 사양 OS = 3-158
5.3.3 테스트 프로그램의 작성 = 3-159
5.3.4 OS의 조립 = 3-160
5.4 디버그와 성능 측정 = 3-161
5.4.1 멀티태스크의 디버그 = 3-161
5.4.2 시스템 콜 처리시간 = 3-165
5.4.3 가로채기 금지시간 = 3-169
5.4.4 레벨 가로채기 = 3-170
5.4.5 가로채기 응답시간 = 3-170
5.4.6 SH-2와의 비교 = 3-172
5.4.7 컴파일러의 성능 = 3-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