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여는 장
제1장 정치과정론 = 21
제1절 정치의 개념 = 21
1. 개념의 다의성 = 21
2. 정치의 개념 = 25
제2절 정치과정의 개념 = 28
1. 정치과정의 정의 = 28
2. 정치과정의 패러다임 = 29
제3절 정치체제론 = 30
1. 정치체제론의 접근법 = 30
2. 정치체제와 환경과의 상호작용 = 33
제4절 국가론 = 36
1. 국가의 정의 = 36
2. 국가의 기원 = 38
3. 국가의 구성요소 = 41
4. 국가론의 접근법 = 43
5. 국가의 자율성과 국가의 유형 = 46
제5절 정치과정의 접근법 = 49
1. 국가론과 정치체제론의 장단점 = 49
2. 정치과정 모형 = 50
제6절 민주적 정치과정 = 53
1. 민주주의의 개념 = 53
2. 민주정치체제의 공고화 = 55
3. 정치체제의 능력 향상 = 60
4. 시민문화의 정착 = 62
제7절 맺는 말 = 62
제2편 국가의 정치체제와 환경
제2장 정치권력론 = 67
제1절 정치권력의 의의 = 67
1. 정치권력의 개념 = 67
2. 권력의 형태 = 70
3. 권력의 이미지 = 76
제2절 정치권력론 = 78
1. 교환 이론 = 78
2. 인간관계론 = 79
3. 경제적 분석론 = 79
제3절 정치 엘리트론 = 81
1. 정치 엘리트의 정의 = 81
2. 명성론 = 82
3. 지위론 = 83
4. 무결정론 = 84
5. 다원론 = 87
제4절 정치권력의 활용 = 89
1. 정치권력의 추구 = 89
2. 정치권력의 활용 = 89
제5절 정치권력의 변동 = 91
1. 권력 엘리트의 순환론 = 91
2. 세습 = 93
3. 선거 = 93
4. 쿠테타 = 94
5. 혁명 = 97
제6절 맺는 말 = 107
제3장 정치사회화론 = 110
제1절 정치사회화의 의의 = 110
1. 정치사회화의 개념 = 110
2. 정치사회화의 특성 = 111
제2절 정치사회화론 = 115
1. 성인 전 정치학습론 = 115
2. 성인의 정치학습론 = 119
제3절 정치사회화 방법론 = 122
1. 간접적인 방법 = 123
2. 직접적인 방법 = 125
제4절 정치사회화의 기구 = 127
1. 가정 = 127
2. 동료집단 = 128
3. 학교 = 128
4. 직장 = 132
5. 대중매체 = 133
제5절 정치사회화와 정치적 인간 = 135
1. 정치적 자아 = 135
2. 엘리트와 대중의 역할사회화 = 136
3. 정치적 인간의 유형 = 136
제6절 맺는 말 = 141
제4장 정치문화론 = 144
제1절 정치문화의 의의 = 144
1. 정치문화의 지적 역사 = 144
2. 정치문화의 개념 = 148
제2절 정치문화의 구성요소와 대상 = 151
1. 정치문화의 구성요소 = 151
2. 정치문화의 대상 = 152
제3절 정치문화의 유형 = 157
1. 정치문화의 유형 = 157
2. 참여 정도에 따른 유형 = 158
3. 정책 이념에 따른 유형 = 162
4. 시민문화의 유형 = 163
제4절 정치문화의 변동 = 165
제5절 맺는 말 = 167
제5장 정치충원론 = 170
제1절 정치충원의 의의 = 170
1. 정치충원의 개념 = 170
2. 유사 개념과 이론 = 171
제2절 정치충원과 정치체제 = 173
1. 체제수준 = 174
2. 과정수준 = 174
3. 정책수준 = 175
제3절 정치충원의 접근법 = 176
1. 개인적 접근법 = 176
2. 제도적 접근법 = 177
제4절 정치충원 방법 = 181
1. 선거 = 181
2. 임명 = 182
3. 공개채용 = 183
4. 기타 = 184
제5절 시민과 정치 엘리트의 충원 = 186
1. 시민의 정치충원 = 186
2. 정치 엘리트의 충원 = 189
3. 정치 엘리트의 충원기준 = 191
4. 역할 수행의 유인 = 192
제6절 정치충원과 민주화 = 193
1. 상향식 충원 = 193
2. 전문성과 충성심의 조화 = 195
3. 국민통합 = 195
4. 시민의 참여 = 196
제7절 맺는 말 = 197
제6장 정치 커뮤니케이션론 = 199
제1절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 199
1.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 199
2.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 202
3.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 = 205
제2절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접근법 = 207
1. 과정 접근법 = 207
2. 이용과 충족 접근법 = 208
3. 정보확산 접근법 = 209
4. 의제설정 접근법 = 210
5. 비판 이론 접근법 = 212
6. 태도형성 접근법 = 213
제3절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 215
1. 대면접촉 = 215
2. 컴퓨터 통신 = 216
3. 비정치적 구조 = 216
4. 정치투입구조 = 217
5. 정치산출구조 = 217
6. 대중매체 = 217
제4절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 218
1. 정치언어 = 218
2. 정치 수사학 = 221
3. 정치광고와 정치선전 = 222
4. 정치토론 = 228
제5절 전자민주주의 = 231
1. 전자통신의 발달과 직접민주주의 = 231
2. 전자민주주의의 유형 = 233
3. 전자민주주의의 문제점 = 235
4. 전망 = 237
제6절 맺는 말 = 238
제3편 시민사회의 참여
제7장 여론과 정치론 = 243
제1절 여론의 의의 = 243
1. 여론의 정의 = 243
2. 여론의 특성 = 246
제2절 여론의 형성과 전달 = 248
1. 여론형성변수 = 248
2. 여론형성과정 = 251
3. 여론분포 모형 = 253
4. 여론의 전달 = 256
제3절 여론의 정책결정 기능 = 259
1. 여론의 기능 = 259
2. 여론의 정책결정 모형 = 260
3. 여론의 성격과 정책 = 264
제4절 여론의 취약점 = 266
1. 고유의 취약점 = 266
2. 개인의 책임 결여 = 269
3. 사회과학의 배경 결여 = 269
4. 언어와 사고의 장애 = 269
제5절 여론조사 방법론 = 270
1. 여론의 측정 방법 = 270
2. 여론조사의 장단점 = 276
제6절 맺는 말 = 280
제8장 이익집단정치론 = 282
제1절 이익집단의 의의 = 282
1. 이익집단의 정의 = 282
2. 이익집단의 발생원인 = 285
3. 이익집단의 기능 = 286
제2절 이익집단의 형성론 = 288
1. 파도 이론 = 289
2. 무임승차 이론 = 290
3. 교환 이론 = 290
4. 언약 이론 = 291
제3절 이익집단의 유형 = 293
1. 아노미형 이익집단 = 293
2. 비결사적 이익집단 = 294
3. 제도적 이익집단 = 294
4. 결사적 이익집단 = 294
5. 기타 유형 = 294
제4절 이익집단의 자원과 전략 = 295
1. 이익집단의 자원 = 295
2. 이익집단의 활동전략 = 297
3. 이익집단의 효율성 = 300
제5절 이익집단과 국가 = 302
1. 다원주의 = 303
2. 엘리트주의 = 306
3. 마르크스주의 = 307
4. 조합주의 = 307
제6절 맺는 말 = 314
제9장 정당정치론 = 316
제1절 정당의 의의 = 316
1. 정당의 개념 = 316
2. 정당의 기원 = 318
3. 현대정당의 발전단계 = 321
제2절 정당의 접근법 = 322
1. 역사적 접근법 = 322
2. 구조적 접근법 = 323
3. 형태적 접근법 = 323
4. 기능주의적·체계적 접근법 = 324
5. 이념적 접근법 = 324
제3절 정당의 기능 = 325
1. 정당의 일반 기능 = 325
2. 정당의 순기능 = 326
3. 정당의 역기능 = 330
제4절 정당의 이념 = 331
1. 정당의 이념과 지지계층 = 331
2. 정당 이념의 분류 = 332
제5절 정당조직의 유형 = 335
1. 정당의 구조 = 335
2. 당원과 지도자와의 관계 = 337
3. 당원의 구성요소 = 340
4. 조직기반 = 342
5. 의사결정권의 소재 = 343
제6절 정당체제의 유형론 = 344
1. 정당체제의 분류기준 = 344
2. 정당체제의 유형 = 346
3. 정당체제의 장단점 = 347
4. 정당체제에 작용하는 요인 = 350
제7절 정당의 발전과 쇠퇴 = 351
1. 정당의 존속과 발전 = 351
2. 정당의 쇠퇴와 탈정당화 = 354
3. 정당과 경쟁 = 360
제8절 맺는 말 = 361
제10장 정치참여와 선거론 = 364
제1절 정치참여의 의의 = 364
1. 대의민주주의와 국민주권 = 364
2. 정치참여의 개념 = 366
제2절 정치참여의 발전 = 367
1. 정치참여의 발전과정 = 367
2. 정치참여의 확대론 = 372
제3절 정치참여의 분석 = 374
1. 정치참여의 중요성 = 374
2. 정치참여의 분석 기준 = 375
제4절 정치참여의 유형 = 377
1. 유형의 분류 = 377
2. 유형별 특성 = 379
제5절 정치참여자의 특징 = 383
1. 자극과 정치참여 = 383
2. 개인요인과 정치참여 = 384
3. 사회지위와 정치참여 = 387
4. 환경과 정치참여 = 390
제6절 선거론 = 392
1. 선거의 의의와 기능 = 392
2. 선거 방법 = 394
3. 선거구 = 396
4. 대표제의 유형 = 401
5. 선거운동 = 409
6. 투표행태 = 411
제7절 맺는 말 = 417
제4편 국가의 권위적 결정과 행동
제11장 공공정책결정론 = 421
제1절 공공정책의 의의 = 421
1. 정책의 정의 = 421
2. 정책의 범주 = 423
3. 정책연구의 목적 = 426
제2절 정책결정의 접근법 = 427
1. 권력론 = 428
2. 합리적 선택론 = 431
3. 공공선택론 = 438
4. 제도론 = 440
5. 개성·인식·정보론 = 441
제3절 정책결정과정 = 444
1. 문제인지 및 의제형성 = 444
2. 정책제안의 형성 = 446
3. 정책의 채택 = 447
4. 정책의 집행 = 451
5. 정책의 평가 = 451
제4절 정책결정의 참여자 = 451
1. 공식적인 정책결정자 = 452
2. 비공식적인 정책결정자 = 454
제5절 정책환경 = 456
1. 역사적 상황 = 457
2. 환경요인 = 457
3. 제도적 상황 = 459
제6절 맺는 말 = 460
제12장 공공정책집행과 분석론 = 463
제1절 정책집행의 의의 = 463
1. 정책집행의 정의 = 463
2. 정책집행의 중요성 = 465
제2절 정책집행의 접근법 = 467
1. 하향식 접근법 = 468
2. 상향식 접근법 = 470
3. 정책하위체계 접근법 = 471
4. 적응·정치게임 접근법 = 472
5. 진화적 접근법 = 472
6. 정책관리 접근법 = 473
7. 정책유형 접근법 = 474
8. 조직상호분석 접근법 = 474
제3절 정책집행절차 = 475
1. 집행 담당조직의 구성 = 475
2. 정책의 해석과 구체화 = 476
3. 자원의 확보와 배분 = 476
4. 편의와 규제의 전달 = 476
제4절 정책집행기관 = 477
1. 의회 = 477
2. 사법부 = 477
3. 정당 = 478
4. 기타 = 478
제5절 정책집행기술 = 478
1. 순응과 불응 = 479
2. 불응의 통제 방법 = 480
제6절 정책집행의 성공요인 = 481
1. 내부요인 = 482
2. 외부요인 = 483
제7절 정책분석 = 484
1. 정책분석의 개념 = 484
2. 정책분석과정과 방법 = 486
제8절 맺는 말 = 492
제5편 닫는 장
제13장 정치과정과 리더십론 = 497
제1절 정치 리더십의 의의 = 497
1. 리더십의 정의 = 497
2. 리더십 개념의 차원 = 499
제2절 리더십의 접근법 = 501
1. 위인론 = 502
2. 특성론 = 502
3. 환경론 = 504
4. 개인·상호작용론 = 504
5. 정신분석론 = 506
6. 상호작용 - 기대론 = 506
7. 인간성론 = 508
8. 교환론 = 510
9. 행태론 = 510
10. 지각과 인식론 = 511
제3절 정치 리더십의 유형 = 512
1. 성향에 따른 분류 = 512
2. 기능적 유형 = 516
제4절 정치과정과 리더십 = 517
1. 정치권력과 리더십 = 517
2. 국가의 정치체제 유지와 리더십 = 519
3. 시민사회의 참여와 리더십 = 523
4. 국가의 권위적 행동과 리더십 = 525
제5절 맺는 말 = 527
참고문헌 = 529
찾아보기 = 551